$\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장루관리에 관한 지식, 수행자신감 및 교육요구도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and Educational Needs on Ostomy Care among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6 no.3, 2019년, pp.270 - 280  

양남영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  이혜란 (건양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s of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and educational needs on ostomy care among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97 nurses from D and C c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6~26, 2019, with 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장루관리에 관한 지식, 수행자신감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장루관리에 관한 교육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한 연구로, 장루관리 에 관한 지식을 규명하여 요양병원 간호사의 장루를 보유한 노인 암 환자의 간호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문간호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근거를 마련하였다. 요양병원 간호사는 장루관리에 관한 간호 수행의 중요도는 인식하고 있지만, 그에 버금가는 간호중재는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장루관리에 관한 지식, 수행자신감 및 교육요구도를 확인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련성과 장루관리에 관한 교육요구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요양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장루관리에 관한 지식, 수행자신감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 장루관리에 관한 지식 및 수행자신감과 교육요구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향후 요양병원에 입원하는 장루를 보유한 노인 환자의 간호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질 높은 장루관리에 관한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으로 인한 장루 발생률이 80%가 넘는 이유는?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는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에서 암으로 인한 장루 발생률이 80.1%라고 보고하였는데 이는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에게 만성질환 중 소화기계 질환, 특히 대장암의 발병률도 함께 증가됨에 따라 초래된 결과라고 생각할 수 있다 (Kim & Park, 2018; Yeom & Shin, 2017). 또한 장루를 보유하고 있는 노인 암 환자는 암과 장루 및 노화로 인한 다양한 신체적 증상에 대해 적절히 대처하고 적응하며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가정에서의 자가 관리가 요구되지만, 가정에서 관리가 어려운 부분이 있어 장루를 보유한 노인 암 환자는 요양병원을 선택하여 입원하게 되고, 현재 그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Jang & Park, 2018).
암 환자가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장루를 보유했을 때의 특징은? 1%로 보고된 바 있다(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8). 대장·직장암 환자가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장루를 보유하게 되는 경우, 이들은 암 진단과 함께 생명의 위협을 느끼는 스트레스 상황에 직면하게 되며, 장루를 보유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체적, 사회심리적, 성적 기능변화를 동시에 경험하면서 삶의 질은 더욱 저하된다(Davidson, 2016; Kim & Kim, 2015; Zang & Park, 20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8)의 실태조사에 의 하면, 장루·요루장애인의 등록률은 2005년 57.
요양병원에 입원한 노인 장루보유자의 수가 늘어나는 이유는? 그러나 장루를 보유하고 있는 노인 암 환자 중 가정에서의 자가 관리가 어려워지거나, 가족들의 보살핌에 대 한 부담으로 요양병원의 입원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Chae & Kim, 2013; Park & Park, 2018). 요양병원에 입원하 는 암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신체적 증상관 리 및 의료진의 전문성이 중요하게 작용하므로(Jang & Park, 2018), 장루를 보유한 노인 암 환자와 그의 가족은 장루에 대 한 지속적인 관리, 균형잡힌 영양상태 유지 및 합병증관리 등 과 관련된 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이러한 전문적인 간호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요양병원을 선호하며 선택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gnasco, A., Watson, R., Zanini, M., Catania, G., Aleo, G., & Sasso, L. (2017). Developing a stoma acceptance questionnaire to improve motivation to adhere to enterostoma self-care.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Hygiene, 58(2), 190-194. 

  2. Burch, J. (2011). Providing information and advice on diet to stoma patients. British Journal of Community Nursing, 10(16), 479-484. https://doi.org/10.12968/bjcn.2011.16.10.479 

  3. Cengiz, B., & Bahar, Z. (2017). Perceived barriers and home care needs when adapting to a fecal ostomy: A phenomenological study.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44(1), 63-68. https://doi.org/10.1097/WON.0000000000000271 

  4. Chae, S. Y., & Kim, K. H. (2013). Physical symptoms, hope and family support of cancer patients in the general hospitals and long-term care hospital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3), 298-311. 

  5. Choi, I., Park, J., & Lee, E. (2009). Building of effective delivery system for he connection between medical care or the aged and long-term care.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6. Chun, J. H. (2000). The development of practice standards for WOCN (Wound Ostomy Continence Nur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7. Davidson, F. (2016). Quality of life, wellbeing and care needs of Irish ostomates. British Journal of Nursing, 25(17), S4-S12. 

  8. Eun, Y., Kang, H. S., & Jeon, M. Y. (2016). Survey o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requirements according to practical experience of nurses at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Muscle Joint Health, 23(3), 197-205. https://doi.org/10.5953/JMJH.2016.23.3.197 

  9. Fisher, S. E., & Daniels, I. R. (2006). Quality of life and sexual function following surgery for rectal cancer. Colorectal Disease, 8(3), 40-42. 

  10. Han, A. K. (198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vel of knowledge about colostomy self care actual colostomy self care in colostomy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1. Holland, D. E., Mistiaen, P., & Bowles, K. H. (2011). Problems and unmet needs of patients discharged "home to self-care". Professional Case Management, 16(5), 240-250. https://doi.org/10.1097/NCM.0b013e31822361d8 

  12. Jang, A. Y., & Park, J. S. (2018).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hospitalized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Korean Gerontology Nursing, 20(1), 298-311. https://doi.org/10.17079/jkgn.2018.20.1.35 

  13. Kim, H. K., & Kim, H. (2015). Influences of symptom experience and depression on quality of life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with stoma reversal.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7(4), 306-314. https://doi.org/10.7586/jkbns.2015.17.4.306 

  14. Kim, J. M., & Park, J. S. (2018). Comparison of unmet need and quality of life between permanent ostomates and temporary ostomat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9), 374-383. https://doi.org/10.5762/KAIS.2018.19.9.374 

  15. Kim, M. J., Kim, J. H., & Choi, Y. S. (2019). The effect the stoma self-care education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SNS) on anxiety of the stoma owner, ability to exchange the stoma pouch and skin condi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5(1), 395-403. https://doi.org/10.21097/ksw.2019.05.14.2.395 

  16. Kim, S. M., Jeong, S. H., Lee, M. H., & Kim, H. K. (2017). Importance, performance and rates of nurse performance of nursing intervention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3(4), 359-372.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4.359 

  17. Kim, Y. H., Kwon, I. G., Hwang, K. J., Kim, H. S., Lee, B. S., Lee, H. S., et al. (2013). A study on the role and present state of advanced practice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9(1), 55-75. 

  18.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2018, December).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6. Retrieved October 13, 2019, from https://www.ncc.re.kr/cancerStatsView.ncc?bbsnum478&searchKeytotal&searchValue&pageNum1 

  19.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8). Disability Survey in 2017(2017-90).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 Oh, E. G., Sung, J. H., Park, Y. S., Lee, H. J., & Kim, Y. K. (2016). Physiological functional status and the levels of unmet care needs after discharge in patients with chronic pulmonary disease, colorectal cancer, and strok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2(2), 194-204. 

  21. Park, H. S., & Park, K. S. (2018). Health care utilization of cancer patient women at nursing hospital.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9(11), 2139-2147. 

  22. Park, J. S. (2012).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upport,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having colostomy.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Hanyang, Seoul. 

  23. Rattiliff, C. R. (2010). Early peristomal skin complications reported by WOC nurse.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37(5), 505-510. 

  24. Vonk-Klaassen, S. M., de Vocht, H. M., den Ouden, M. E., Eddes, E. H., & Schuurmans, M. J. (2016). Ostomy-related problems and their impact on quality of life of colorectal cancer ostomates: A systematic review. Quality of Life Research, 25(1), 125-133. https://doi.org/10.1007/s11136-015-1050-3 

  25. Yeom, J. W., & Shin, S. S. (2017). Factors related to nutritional status among olders adults with an ostomy. Journal Korean Gerontology Nursing, 19(1), 39-47. https://doi.org/10.17079/jkgn.2017.19.1.39 

  26. Yeom, J. W., & Suh, Y. O. (2019). The effect of symptom experience, nutritional status, and self care on quality of life in elderly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macologic treatment for elderly.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2(1), 48-57. https://doi.org/10.7587/kjrehn.2019.48 

  27. Zang, I. S., & Park, S. M. (2014). Ostomate ostomy management and welfare needs. The Journal of Research Institute for Basic Sciences Hoseo University, 22(1), 77-8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