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와송이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쥐의 간내 지질 및 항산화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Orostachys japonicus on Lipid and Antioxidant Metabolism in the Liver of Obese Mice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7 no.4, 2019년, pp.515 - 521  

이형선 (중원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김수환 (김천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비만 모델의 지질 및 항산화 관련 효소의 대사에 대하여 와송 열수 추출물의 섭취를 통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정상군을 제외하고 나머지 군은 8주 동안 고지방식이를 공급하여 비만 상태로 유도하였으며, 9주에서 14주까지 고지방식이에 와송 열수 추출물이 2.5%, 5% 첨가된 식이를 자유 급식하였다. 그 결과, 고지방 식이군 대비 와송 추출물 섭취군에서 간과 폐의 무게가 감소되었으며, H&E 염색상에서도 lipid droplet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간조직내의 총 콜레스테롤중성지방과 같은 지질 함량이 유의성 있게 줄어들었다.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제로서의 능력을 확인한 결과 DPPH 라디컬 소거능의 활성을 증가하였고, ROS 형성량은 탁월하게 감소되었다.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SOD와 CAT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와송 추출물의 고농도 섭취군에서 정상군에 근접하게 회복되었다. 결론적으로 와송 추출물의 섭취는 간내 지질대사를 조절하고 항산화 효소를 활성화시켜 비만 치료를 위한 생리활성물질로 유용하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liver lipid and antioxidant metabolism in obese rats following ingestion of Orostachys japonicus (OJ) hot water extract. The rats were fed a high fat diet for 8 weeks to induce obes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2.5% or 5% OJ hot wa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대인은 건강한 삶을 살기 위해 고혈압, 당뇨, 비만, 암 등의 만성 성인 질병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1]. 규칙적인 운동과 올바른 식생활의 중요성과 더불어 여러 가지 식물로부터 유용성 있는 식물 화학물질(phytochmicals)을 건강 보조 식품으로 활용하고자 한다[2]. 와송(Orostachys japonicus)은 기와솔, 바위솔 등으로 불리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높은 바위나 기와지붕에서 잘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 다양한 생리활성이 알려진 와송을 열수 추출하여 장기간 식이에 섞어도 섭취에 무리가 없도록 제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흰쥐를 활용하여 와송 추출물을 고지방 식이와 섭취시 간내 지질 대사와 항산화 효소 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비만 모델의 지질 및 항산화 관련 효소의 대사에 대하여 와송 열수 추출물의 섭취를 통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정상군을 제외하고 나머지 군은 8주 동안 고지방식이를 공급하여 비만 상태로 유도하였으며, 9주에서 14주까지 고지방식이에 와송 열수 추출물이 2.
  • SOD는 superoxide (O 2 ·)를 물과 과산화수소로 분해하고 CAT는 과산화수소를 물과 공기로 전환하여 활성산소종을 제거한다 [23, 24]. 본 연구에서는 SOD와 CAT의 활성이 모두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 식이 섭취군에서 현저하게 낮은 결과를 보여준다. 그러나 고지방 식이에 와송 추출물을 첨가한 경우 항산화 효소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와송 추출물의 고농도 섭취군에서 항산화효소의 활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제로서의 능력을 확인한 결과 DPPH 라디컬 소거능의 활성을 증가하였고, ROS 형성량은 탁월하게 감소되었다.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SOD와 CAT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와송 추출물의 고농도 섭취군에서 정상군에 근접하게 회복되었다. 결론적으로 와송 추출물의 섭취는 간내 지질대사를 조절하고 항산화 효소를 활성화시켜 비만 치료를 위한 생리활성물질로 유용하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와송의 생리활성 효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Fatty acid ester류, flavonoid류, triterpenoid류, sterol류및 aromatic acid류 등의 다양한 식물 화학물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triterpenoid류인 friedelin, epi- friedianol, glutanone, glutinol과 sterol 계열물질인 β- sitosterol, campesterol 등과 aromatic acid인 4-hydroxy benzoic acid, 3,4-dihydroxybenzoic acid와 tannin 계열 물질인 gallic acid와 flovonoid인 kaemferol, quercetin 등이 보고되었다[4, 5], 면역증강, 항산화, 항균, 항고지혈증, 항당뇨, 항암, 항염증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가 입증되었다[6− 12]. 다양한 생리활성 평가를 근거로 와송이 비만유발 쥐의 간내 지질 및 항산화 대사에 관련한 연구에 유용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와송(Orostachys japonicus)이란? 규칙적인 운동과 올바른 식생활의 중요성과 더불어 여러 가지 식물로부터 유용성 있는 식물 화학물질(phytochmicals)을 건강 보조 식품으로 활용하고자 한다[2]. 와송(Orostachys japonicus)은 기와솔, 바위솔 등으로 불리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높은 바위나 기와지붕에서 잘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Fatty acid ester류, flavonoid류, triterpenoid류, sterol류및 aromatic acid류 등의 다양한 식물 화학물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Lim EJ, Kim MJ, Kim HJ, Lee SH, Jeon BG. 2018. Comparative analysis on anti-aging, anti-adipogenesis, and anti-tumor effects of Green 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3-gallate. J. Life Sci. 28: 1201-1211. 

  2. Holst B, Williamson G. 2008. Nutrients and phytochemicals: from bioavailability to bioefficacy beyond anti-oxidants. Curr. Opin. Biotechnol. 19: 73-82. 

  3. Kim JY, Junh EJ, Won YS, Lee JH, Shin DY, Seo KI. 2012. Cultivated Orostachys japonicus induces apoptosis in human colon cancer cells. Korea J. Food Sci. Technol. 44: 317-323. 

  4. Park HJ, Young HS, Kim JO, Rhee SH, Choi JS. 1991. A study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Korean J. Pharmacogn. 22: 78-84. 

  5. Park JG, Park JC, Hur JM, Park SJ, Choi DR, Shin DY, et al. 2000. Phenolic compounds from Orostachys japonicus having anti- HIV-1 protease activity. Nat. Prod. Sci. 6: 117-121. 

  6. Kwon J, Han KS. 2004. Effec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on the immune system.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315-320. 

  7. Lee HS, Lee GS, Kim SH, Kim HK, Suk DH, Lee DS. 2014. Antioxidizing effect of the dichloromethane and hexane fractions from Orostachys japonicus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via upregulation of Nrf2 expression and activation of MAPK signaling pathway. BMB Rep. 47: 98-103. 

  8. Yoon SY, Lee SY, Kim KBWR, Song EJ, Kim SJ, Lee SJ, et al.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Orostachys japonic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4-18. 

  9. Kim SG, Choi JW, Park HJ, Lee SM, Jung HJ. 2009.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the flavonoid-rich fraction from the methanol extrect of Orostachy japonicus in rats. Korean J. Pharmacogn. 40: 51-58. 

  10. Zhang GF. 2008. Anti-diabetic potential of Orostachys japonicu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es mellitus rats. M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11. Ryu DS, Lee HS, Lee GS, Lee DS. 2012. Effects of the ethylacetate extract of Orostachys japonicus on induction of apoptosis through the p53-mediated signaling pathway in human gastric cancer cells. Biol. Pharm. Bull. 35: 660-665. 

  12. Lee HS, Ryu DS, Lee GS, Lee DS. 2012. Anti-inflammatory effectsof dichloromethane fraction from Orostachys japonicus in RAW264.7 cells: suppression of NF- ${\kappa}$ B activation and MAPK signaling.J. Ethnopharmacol. 140: 271-276. 

  13. Kim JE, Bae SM, Nam YR, Bae EY, Ly SY. 2019.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of Lycium barbarum's leaf with removal of chlorophyll. J. Nutr. Health. 52: 26-35. 

  14. Lee SM, Park MY, Kim OK, Lee JM, Jun WJ. 2016. Anti-obesity effect of Eriobatrya japonica leaves extract on obese mice induced by high-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 1202-1206. 

  15. Lee JY, Park JY, Kim HD, Lee SE, Lee JH, Lee YJ, et al. 2019. Anti-Oxidant and anti-adipocyte differentiation of Aster glehni and Aster yomena. J. Nutr. Health 52: 250-257. 

  16. Lee SJ, Song EJ, Lee SY, Kim KBWR, Kim SJ, Yoon SY, et al.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leaf, stem and root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and their heat and pH stabili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571-1579. 

  17. Lim SM, Park HJ, Cho YJ. 2017. Antioxidative and b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J. Appl. Biol. Chem. 60: 293-300. 

  18. Lee HJ, Kim HS, Seo SW. 2017. Anti-obestity effect of Aster Yomena ethanol extract in high fat diet-induced obes mice. J. Physiol. Pathol. Korean Med. 31: 348-355. 

  19. Alara OR, Abdurahman NH, Mudalip SK, Olalere OA. 2018. Characterization and effect of extraction solvents on the yield and total phenolic content from Vernonia amygdalina leaves. J. Food Meas Charact. 12: 311-316. 

  20. Lee YH, Ho JN, Dong MS, Park JH, Kim HK, Hong BS, et al. 2005. Transfected HepG2 cells for evaluation of catechin effects on alcohol-induced CYP2E1 cytotoxicity. J. Microbiol. Biotechnol. 15: 1310-1316. 

  21. Asayama K, Nakane T, Dobashi K, Kodera K, Hayashibe H, Uchida N, et al. 2001. Effect of obesity and troglitazone on expression of two glutathione peroxidases: cellular and extracellular types in serum, kidney and adipose tissue. Free Radic Res. 34: 337-347. 

  22. Shyamala MP, Venukumar MR, Latha MS. 2003. Antioxidant potential of the syzygium aromaticum (GAERTN.) Linn. (Cloves) in rats fed with high fat diet. Indian J. Pharmacol. 35: 99-103. 

  23. Lee HS, Li L, Kim HK, Bilehal D, Li W, Lee DS, et al. 2010. The protective effects of Curcuma longa Linn. extract on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via upregulation of nrf2. J. Microbiol. Biotechnol. 20: 1331-1338. 

  24. Kim HK, Li L, Lee HS, Park MO, Bilehal D, Li W, et al. 2009. Protective effects of Chlorella vulgaris extract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acute liver injury in mice. Food Sci. Biotechnol. 5: 1186-1192.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