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T3-L1 지방세포에 대한 와송 디클로로메탄 추출물의 지질 대사 개선에 관한 연구
The Lipid Efflux Effects of Dichloromethane Extract from Orostachys japonicus in 3T3-L1 Adipocyte Cell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1 no.4, 2019년, pp.514 - 520  

김수환 (김천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이형선 (중원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와송 유기용매 추출물중 DCM층을 이용하여 지방세포로 유도된 3T3-L1세포에 대한 지질대사 개선효과를 확인하는 연구이다.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TS-assay를 이용하여 6가지 분획의 와송 유기용매 추출물(EtOH, Hexane, DCM, EToAc, BuOH, H2O)에 대한 독성검사를 실시하여 세포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DCM추출물이 전 농도에 걸쳐 안정성이 있음을 확인하고, 지질대사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DCM층을 사용하였다. 우선 지질대사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질 배출능을 측정하였다. 지방세포로 유도된 3T3-L1세포에 대하여 DCM추출물을 처리한 후 oil-red O염색을 실시하여 지질 축적량을 평가한 결과 지질 배출능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질 배출능 분석을 위하여 지질수송 단백질인 ABCA1, ABCG1의 mRNA발현을 real-time PCR로 확인한 결과 DCM추출물 처리 시 유의적인 발현 증가가 나타났음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와송 DCM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에 대하여 지질대사 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roved lipid metabolism effect of 3T3-L1 cells induced by adipocytes using the dichloromethane (DCM) fraction in the organic solvent extract of Wassong (Orostachys japonicus). To confirm the cell cytotoxicity, each of 6 fractions of organic solvent extracts (EtOH, Hex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지방세포로 유도된 3T3-L1세포에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DCM)으로 추출한 와송 추출물을 처리하여, 전반적인 지질대사 개선 및 콜레스테롤 운반단백질인 ATP-binding cassette sub-family A member 1(ABCA1), ATP-binding cassette sub-family G member 1(ABCG1)의 mRNA활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와송추출물을 활용한 지질대사 개선연구의 활성화와 이를 토대로 한기능성 식품개발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와송(Orostachys japonicus)은 무엇인가? 와송(Orostachys japonicus)은 바위솔, 작엽하초, 기와솔 등으로 불리는 돌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높은 암벽이나 기와지붕에서 서식한다[12].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flavonoid [13], fatty acid [14], phenolic [15], triterpenoid 및, sterol [16] 류와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고, 면역개선[17], 항산화[18, 19], 항균[20] 등의 기능을 가진다고 보고한다.
Orostachys japonicus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물질에는 무엇이 있는가? 와송(Orostachys japonicus)은 바위솔, 작엽하초, 기와솔 등으로 불리는 돌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높은 암벽이나 기와지붕에서 서식한다[12].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flavonoid [13], fatty acid [14], phenolic [15], triterpenoid 및, sterol [16] 류와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고, 면역개선[17], 항산화[18, 19], 항균[20] 등의 기능을 가진다고 보고한다. 또한 최근의 연구에서는 와송을 이용한 항암기전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21, 22].
고지혈증은 어떻게 발병하는가? 심혈관계의 주요 원인인 고지혈증을 유발하는 환경적인 요인 중 가장 대표적인 요인은 고지방식이로 알려져 있고, 그중에서도 동물성 지방섭취로 인한 에너지의 과잉으로 비만과 고지혈증, 동맥경화가 발병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설명하고 있다[6]. 고지혈증은 저밀도 단백(low density lipoprotein, LDL) 과 중성지방(triglyceride, TG)농도의 상승, 그리고 고밀도 지단백(high density lipoprotein, HDL)의 감소, 지질 분해능력의 감소와 같은 지질이상과 함께 발병한다[7]. 고지혈증을 치료, 개선할 수 있는 치료약물이 많이 선보이고 있지만, 이러한 약물들은 심각한 체내 부작용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어서 발병 후 치료하는 것보다는 발병 전에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겨지고 있으며, 이런 예방법 중 하나로 천연물을 이용한 생체 내 대사기능 활성화 및 질병 예방을 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기능성식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8-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Lee JJ, Park MR, Kim AR, Lee MY. Effect of ramie leaves on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and anti-obesity effect in rats fed a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Kor J Food Sci. Technol. 2011;3:83-90. http://doi.org/10.9721/KJFST.2011.43.1.083 

  2. Lim S, Shin H, Song JH, Kwak SH, Kang SM, Yoon JW, et al. Increasing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Diabetes Care. 2011;34:1323-1328. https://doi.org/10.2337%2Fdc10-2109 

  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Yearbook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Seoul: Report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search report. 2003. p35. 

  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4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j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Research report. 2015. p110-112. 

  5. Krauss RM. Triglycerides and atherogenic lipoproteins: rationale for lipid management. Am J Med. 1998;105(1A):S58-62. https://doi.org/10.1016/s0002-9343(98)00213-7 

  6. Baumer Y, McCurdy S, Weatherby TM, Mehta NN, Halbherr S, Halbherr P, et al. Hyperlipidemia-induced cholesterol crystal production by endothelial cells promotes atherogenesis. Nat Commun. 2017;8:1129. https://doi.org/10.1038/s41467-017-01186-z 

  7. Moon SJ. Nutritional problems of Korean. Kor J Nutr. 1996;29:371-380. 

  8. Mckenny JM. Lipid management: tools for getting to the goal. Am J Manage Care. 2001;7(9 Suppl):299-306. 

  9. Miettinen TA. Cholesterol absorption inhibition: a strategy for cholesterol-lowering therapy. Int J Clin Pract. 2001;55:710-716. 

  10. Shin MK, Han SH.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bamboo (Pseudosasa japonica Makino) leaves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and high cholesterol diet. Kor J Diet Culture. 2002;17:30-36. 

  11. Park JE, Kee H. Cha YS. Effect of Stevia rebaudiana Bertoni leaf extract on antiobesity in C57BL/6J mice. Kor J Food Sci Technol. 2010;42:586-592. 

  12. Kim JY, Jung EJ, Won YS, Lee JH, Shin DY, Seo KI. Cultivated Orostachys japonicus induces apoptosis in human colon cancer cells. Kor J Food Sci. Technol. 2012;44:317-323. http://doi.org/10.9721/KJFST.2012.44.3.317 

  13. Choi SY, Kim JG, Sung NJ.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chracteristics and NDMA formation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J Kor Soc Food Sci. Nutr. 2008;21:148-156. 

  14. Park HJ, Young HS, Kim JO, Rhee SH, Choi JS. A study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Kor J Pharm. 1991;22:78-84. 

  15. Park JG, Park JC, Hur JM, Park SJ, Choi DR, Shin DY, et al. Phenolic compounds from Orostachys japonicus having anti-HIV-1 protease activity. Nat Prod Sci. 2000;6:117-121. 

  16. Park HJ, Lim SC, Lee MS, Young HS. Triterpene and steroids from Orostachys japonicus. Kor J Pharm. 1994;25:20-24. 

  17. Kwon J, Han KS. Effec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on the immune system. Kor J Med Crop Sci. 2004;12:315-320. 

  18. Choi SY, Chung MJ, Sung NJ.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ability of m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ccording to harvest times. J Kor Soc Food Sci Nutr. 2008;21:157-164. 

  19. Lee SJ, Seo JK, Shin JH, Lee HJ, Sung NJ. Antioxidant activity of wa-song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ccording to drying methods. J. Kor Soc Food Sci Nutr. 2008;37:605-611. http://doi.org/10.3746/jkfn.2008.37.5.605 

  20. Yoon SY, Lee SY, Kim KBWR, Song EJ, Kim SJ, Lee SJ,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Orostachys japonicus. J Kor Soc Food Sci Nutr. 2009;38:14-18. http://doi.org/10.3746/jkfn.2009.38.1.01 

  21. Ryu DS, Baek GO, Kim EY, Kim KH, Lee DS. Effects of polysaccharides derived from Orostachys japonicus on induction of cell cycle arrest and apoptotic cell death in human colon cancer cells. BMB Rep. 2010;43:750-755. https://doi.org/10.5483/BMBRep.2010.43.11.750 

  22. Ryu DS, Lee HS, Lee GS, Lee DS. Effects of the ethylacetate extract of Orostachys japonicus on induction of apoptosis through the p53-mediated signaling pathway in human gastric cancer cells. Biol Pharm Bull. 2012;35:660-665. https://doi.org/10.1248/bpb.35.660 

  23. Kim SG, Choi J, Park HJ, Lee SM, Jung HJ. Anti-hyperlipidermic Effects of the flavonoid-rich fraction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Orostachy japonicus in rats. Kor J Pharmacogn. 2009;40:51-58. 

  24. Jeong JH, Ryu DS, Suk DH, Lee DS.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Orostachys japonicus on modulation of signal pathways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BMB Rep. 2011;44:399-404. https://doi.org/10.5483/BMBRep.2011.44.6.399 

  25. Liu F, Kim JK, Li Y, Liu XQ, Li J, Chen X. An extract of Lagerstroemia speciosa L. has insulin-like glucose uptake-stimulatory and adipocyte differentiation-inhibitory activities in 3T3-L1 cells. J Nutrition. 2001;131:2242-2247. https://doi.org/10.1093/jn/131.9.2242 

  26. Adorni MP, Cipollari E, Favari E, Zanotti I, Zimmetti F, Corsini A, et al. Inhibitory effect of PCSK9 on ABCA1 protein expression and cholesterol efflux in macrophages. Atherosclerosis. 2017;256:1-6. https://doi.org/10.1016/j.atherosclerosis.2016.11.019 

  27. McAlpine CS, Huang A, Emdin A, Banko NS, Beriault DR, Shi Y, et al. Deletion of myeloid $GSK3{\alpha}$ attenuates atherosclerosis and promotes an M2 macrophage phenotype.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15;35:1113-1122. https://doi.org/10.1161/ATVBAHA.115.305438 

  28. Matveev S, van der Westhuyzen DR, Smart EJ. Co-expression of scavenger receptor-BI and caveolin-1 is associated with enhanced selective cholesteryl ester uptake in THP-1 macrophages. J Lipid Res. 1999;40:1647-1654. 

  29. Arakawa R, Abe-Dohmae S, Asai M, Ito JI, Yokoyama S. Involvement of caveolin-1 in cholesterol enrichment of high density lipoprotein during its assembly by apolipoprotein and THP-1 cells. J Lipid Res. 2000;41:1952-1962. 

  30. Chinetti G, Lestavel S, Bocher V. Remaley AT, Neve B, Torra IP, et al. PPAR-alpha and PPAR-gamma activators induce cholesterol removal from human macropharge foam cells through stimulation of the ABCA1 pathway. Nat Med. 2001;7:53-58. https://doi.org/10.1038/83348 

  31. Parks JS, Chung SK, Shelnessa GS. Hepatic ABC transporters and triglyceride metabolism. Curr Opin Lipidol. 2012;23:196-200. https://doi.org/10.1097%2FMOL.0b013e328352dd1a 

  32. Farquhar JW. Sokolow, M. Response of serum lipids and lipoproteins of man to beta-sitosterol and safflower oil. Circulation. 1958;17:890-899. https://doi.org/10.1161/01.cir.17.5.89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