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외 기준에 따른 소아청소년의 저체중, 과체중, 비만 유병률 분석
Identifying the Prevalence of Thinness, Overweight, Obesity among Adolescents: A Comparison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Growth Reference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3 no.3, 2019년, pp.364 - 378  

한창숙 (한림대학교 간호대학) ,  김수희 (한림대학교 간호대학.간호학연구소) ,  김효경 (한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the body mass index (BMI) according to gender and age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to compare the distributions of being underweight, normal, overweight, and obese using both Korean and international criteria. Methods: This secondary data an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부에서 전국적으로 시행한 2016 학생 건강검사 표본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소아청소년들의 저체중 및 비만의 체중 분포도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국제적 기준들(WHO, IOTF)과 국내 기준(KCDC)을 적용하여 체중 분포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기준들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 한편 저체중 또한 소아 청소년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두뇌의 성장발달과 함께 청소년기의 근골격계나 이차 성장과도 관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만과 저체중에 관련된 건강문제를 예방하 기 위해 먼저 소아청소년들의 체중 분포도를 확인하고, 국내외 기준을 적용하여 체중 분포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2016 학생 건강검사 표본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소아청소년의 체질량 분포와 국내외 기준을 적용하여 체질량 분포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이차자료 분석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청소년들의 체질량 분포도를 확인하고, 국내외 기준을 적용하여 체질량 분포도 차이를 비교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청소년기의 저체중이 중요한 건강문제에 해당하는 이유는? 비만과 더불어 소아청소년기의 저체중도 중요한 건강문제이다. 최근 우리사회는 미디어의 영향으로 이상적인 체형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가질 수 있어 바람직한 체형인식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특히 소아청소년기는 외모에 대한 관심이 커가는 시기로 왜곡된 체형인 식은 저체중으로 이어질 수 있다(Lee, 2019). 저체중은 추후 성인이 되었을 때에도, 낮은 골밀도, 골다공증, 골절과 같은 만성질환과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을 증가 시킬 수 있으므로 치명적인 건강 문제라 할 수 있다 (Sabhaney et al., 2014).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비만에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비만은 당뇨, 심혈관계 질환 및 암 등을 포함하여 수많은 만성질환에 대한 주요 위험 요소이며,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세계적인 건강 문제라고 할 수 있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4).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비만은 성인기의 비만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사회적 고립이나 자살과 같은 심리, 사회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더욱 관리가 필요하다 (Lee, 2015).
비만의 특징은? 비만은 당뇨, 심혈관계 질환 및 암 등을 포함하여 수많은 만성질환에 대한 주요 위험 요소이며,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세계적인 건강 문제라고 할 수 있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4).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비만은 성인기의 비만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사회적 고립이나 자살과 같은 심리, 사회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더욱 관리가 필요하다 (Lee,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Y., Choi, S., & Sohn, M. (2013). Adiposity of Korean school­age children measured by national and international growth chart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36(1), 16-25. DOI:10.1002/nur.21510 

  2. Baya Botti, A. M., Perez Cueto Eulert, A., Monllor, V., & Kolsteren, P. (2010). International BMI-for-age references underestimate thinness and overestimate overweigth and obesity in Bolivian adolescents. Nutricion Hospitalaria, 25(3), 428-436. DOI:10.3305/nh.2010.25.3.4364 

  3. Bovet, P., Kizirian, N., Madeleine, G., Blossner, M., & Chiolero, A. (2011). Prevalence of thinnes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Seychelles: Comparison of two international growth references. Nutrition Journal, 10(1), 65. https://doi.org/10.1186/1475-2891-10-65 

  4. Cole, T. J., Bellizzi, M. C., Flegal, K. M., & Dietz, W. H. (2000). Establishing a standard definition for child overweight and obesity worldwide: International survey. BMJ, 320(7244), 1240. https://doi.org/10.1136/bmj.320.7244.1240 

  5. Cole, T. J., Flegal, K. M., Nicholls, D., & Jackson, A. A. (2007). Body mass index cut offs to define thinnes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ternational survey. BMJ, 335(7612), 194. https://doi.org/10.1136/bmj.39238.399444.55 

  6. Heo, G. J., Nam, S. Y., Lee, S. K., Chung, S. J., Yoon, J. h.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energy/low nutrient food consumption and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7(2), 226-242. http://dx.doi.org/doi:10.5720/kjcn.2012.17.2.226 

  7. Im, Y. J., Oh, W. O., Suk, M. H. (2017). Adolescent health behavior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3(1), 1-9. https://doi.org/10.4094/chnr.2017.23.1.1 

  8. Jang, M. N., Oh, S. M., Kim, H. S., Shin, H. A.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sleep and body mass index of adolescent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activity, dietary habit, and academic stress and moderating effect of gender.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3(1), 85-97. https://doi.org/10.5932/JKPHN.2019.33.1.85 

  9. Jee, Y. J., Kim, Y. H. (2013). Factors influencing obesity among adolescent: Analysis of 2011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Korean Journal of Obesity, 22(1), 39-49. http://dx.doi.org/10.7570/kjo.2013.22.1.39 

  10. Kang, S. K., Kim, S. D., Lee, J. S. (2008). Prevalence rates and risk factors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Korean national health and examination survey 2005 date. Korean Journal of Epidermiology, 30(2), 188-197. 

  11. Khang, Y. H., & Park, M. J. (2011). Trends in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using four different criteria.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besity, 6(3-4), 206-214. DOI: 10.3109/17477166.2010.490270 

  12. Kim, J. H., Yun, S., Hwang, S. S., Shim, J. O., Chae, H. W., Lee, Y. J., & Oh, K. (2018). The 201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Development, improvement, and prospects.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61(5), 135. doi: 10.3345/kjp.2018.61.5.135 

  13. Kim, K. E., Kim, S. H., Park, S., Khang, Y. H., & Park, M. J. (2012). Changes in prevalence of obesity and underweight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1998-2008. Korean Journal of Obesity, 21(4), 228. http://dx.doi.org/10.7570/kjo.2012.21.4.228 

  14. Kwon, E. J., Nah, E. H. (2016). Secular trends in height, weight and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2006-2015.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3(2), 1-13. https://doi.org/10.14367/kjhep.2016.33.2.1 

  15. Lee, B. I. (2015).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body mass index among South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5(1), 16-23. http://dx.doi.org/10.15384/kjhp.2015.15.1.16 

  16. Lee, J. Y. (2019). Influencing factors on low body weight in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7), 562-570. http://dx.doi.org/10.7570/kjo.2013.22.1.39 

  17. Li, K., Haynie, D., Palla, H., Lipsky, L., Iannotti, R. J., & Simons-Morton, B. (2016). Assessment of adolescent weight statu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DC, IOTF, and WHO references. Preventive medicine, 87, 151-154. https://doi.org/10.1016/j.ypmed.2016.02.035 

  18. Montazerifar, F., Karajibani, M., Rakhshani, F., & Hashemi, M. (2009). Prevalence of underweight, overweight and obesity among high-school girls in Sistan va Baluchistan. EMHJ - Eastern Mediterranean Health Journal, 15(5), 1293-1300. https://apps.who.int/iris/handle/10665/117762 

  19. Moon, S. S., Lee, Y. S.(2009). Comparison of dietary habits, exercise, recognized body shapes and weight control between obesity and underweight of adolescents.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8(6), 1337-1348. https://doi.org/10.5934/KJHE.2009.18.6.1337 

  20. Oh, K. W., Jang, M. J., Lee, N. Y., Moon, J. S., Lee, C. G., Yoo, M. H., Kim, Y. T. (2008). Prevalence and trends in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 in 1997 and 2005.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51(9). DOI: 10.3345/kjp.2008.51.9.950 

  21. Onis, M. d., Onyango, A. W., Borghi, E., Siyam, A., Nishida, C., & Siekmann, J. (2007). Development of a WHO growth reference for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85(9), 660-667. doi: 10.2471/BLT.07.043497 

  22. Park, M. H., Song, H. Y. (2019). Relationship among the Korean adolescents obesity, health behavior and smart phone usag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3(1), 47-58. https://doi.org/10.5932/JKPHN.2019.33.1.47 

  23. Ra, J. S., Jeong, Y. H. (2019). Risk factors for overweight and obesity of Korean preschool children: Based on the ecological model.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3(2), 175-187. https://doi.org/10.5932/JKPHN.2019.33.2.175 

  24. Rosati, P., Triunfo, S., Zucchetti, F., Gorca, C., Chini, R., & Campana, R. (2014). Screening of obesity, overweight and thinness in a children population in Rome, Italy. Minerva Pediatrica, 66(3), 201-207. 

  25. Sabhaney, V., Boutis, K., Yang, G., Barra, L., Tripathi, R., Tran, T. T., & Doan, Q. (2014). Bone fractures in children: Is there an association with obesity?. The Journal of Pediatrics, 165(2), 313-318. https://doi.org/10.1016/j.jpeds.2014.04.006. 

  26. Schonbeck, Y., Van Dommelen, P., HiraSing, R. A., & van Buuren, S. (2015). Thinness in the era of obesity: Trend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Netherlands since 1980. The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5(2), 268-273. doi:10.1093/eurpub/cku130 

  27. Shields, M., & Tremblay, M. S. (2010). Canadian childhood obesity estimates based on WHO, IOTF and CDC cut-points.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besity, 5(3), 265-273.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Obesity. Retrieved from http://www.who.int/topics/obesity/en/ DOI: 10.3109/17477160903268282 

  29. Schienkiewitz, A., Damerow, S., & Schaffrath Rosario, A. (2018). Prevalence of underweight, overweight and obesit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 Germany. KiGGS Wave 2 results according to international reference systems. Journal of Health Monitoring, 3(3), 56-69. DOI: 10.17886/RKI-GBE-2018-087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