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업의 환경과 개방형 혁신을 통한 성과 창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Creation through Open Innovation with Corporate Environm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2, 2019년, pp.81 - 91  

서용모 (대전대학교 융합컨설팅학과) ,  현병환 (대전대학교 융합컨설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업의 특성이 개방형 혁신을 통해 성과를 창출하는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기업이 처한 다양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개방형 혁신을 수용하고 이를 기업의 성과를 창출하는 과정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기업이 처한 다양한 상황에서는 환경적 요인과 내부적 요인의 극복을 거쳐야 한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시장의 역동성과 기술의 역동성은 개방형 혁신을 수용하게 하고 이는 결국 성과를 창출하는 전략적 도구가 되기도 한다. 또한, 기업의 내부의 환경으로는 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조직의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기업 내부적인 특성인 기업가적 지향성, 조직문화 개방성, 권한위임 및 R&D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개방형 혁신을 통해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렇게 기업에게 주어진 환경을 극복하는데 개방형 혁신은 결국 기업에게 다양한 성과를 창출하는 중요한 매개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기업 176개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을 통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이 처한 환경을 극복하고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개방형 혁신을 전략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경영 전략적 차원의 철학으로 이해함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a company and its performance through open innovation. It was intended to accept open innovation as a strategic means to overcome various situations in which companies faced and to understand it as a process of generatin...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조직적 특성과 환경적 요인이 개방형 혁신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고 개방형 혁신이 기업의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
  •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신제품 개발성과에 대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기업이 당면한 환경을 극복하는 변수들을 통해 개방형 혁신을 수용하는 전략적 태도가 신제품 개발의 성과를 도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기업이 당면하고 있는 환경적 특성과 기업 조직의 내부적 요인이 개방형 혁신을 통해 신제품 개발 성과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고도화되고 있는 시장 환경 속에서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략들이 도출되고 실행되고 있다.
  • 기업이 당면한 환경을 극복하는 변수들을 통해 개방형 혁신을 수용하는 전략적 태도가 신제품 개발의 성과를 도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내용은 학술적으로는 기업의 내부적 특성의 기반을 이론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시장이 당면한 외부적 환경의 대처에 대한 이론적 논제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실무적인 면에서는 기업이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기업 내부의 특성을 구축하는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시장 환경과 기술 환경의 대응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시장 내에서 새로운 기술은 혁신적으로 발전을 하고 있으며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제품의 수명 주기가 짧아지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신제품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통해 경쟁우위를 확보하고자 한다[5,6]. 이러한 신제품 개발활동은 시장의 환경을 이해해야하며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키면서 저비용 고효율을 기반으로 하는 시장 진출이 필요하다[7].
  • 신제품 개발의 성패요인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이슈는 신제품에 대한 개연의 정립이며 이를 통해 시장의 진출과 창출이다. 신제품 개발에 따른 성과의 문제는 다양한 연구[31]에서 변수로 적용되어 왔지만 본 연구에서는 시장 환경 특징과 개방형 혁신의 요인들로 접근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이슈는 개방형 혁신으로 기업의 내부적 및 외부적 자원을 통한 기술과 지식의 결합으로 신제품 개발과정에서 야기되는 문제들을 해결해주는 중요한 전략으로 활용되어왔다[32}.
  • 이러한 이슈는 개방형 혁신으로 기업의 내부적 및 외부적 자원을 통한 기술과 지식의 결합으로 신제품 개발과정에서 야기되는 문제들을 해결해주는 중요한 전략으로 활용되어왔다[32}. 이러한 선행연구들로부터 기업의 신제품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변인들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 이처럼 기업의 조직의 문화에서 파생해서 만들어진 다양한 문화 중에서 기업의 성과를 유도할 수 있는 요인들을 통해 기업의 조직적 특성으로 규정하고자 한다.
  • 이처럼 기업이 당명하고 있는 환경적 특징을 시장의 입장에서 그리고 기술적 차원에서의 역동이 의미하는 것을 개방형 혁신과 신제품 성과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4 : R&D 역량은 개방형 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 시장 환경은 개방형 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기업의 조직특성은 개방형 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개방형 혁신은 신제품 개발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문화란 무엇인가? 조직문화의 의미는 각 조직이 나타내고 있는 개성을 표현하고 구성원의 행동을 규정하여 조직에게 정당성을 부여하고 개개의 조직 구성원들을 동일한 방향으로 통합 시키는 조직의 근본적인 이념과 가치관을 포함한다[7]. 이러한 조직문화는 눈으로 보이는 조직구조 및 행동규칙, 복장 규정과 같은 기업의 가시적인 형태, 전략, 목표, 철학 등과 같은 조직의 가치 그리고 사회적 관계와 조직의 실체의 본질에 관한 기본적인 가정의 세 가지 수준에서 조직으로 스며드는 사상으로 이데올로기나 사회적 가치로 형성된 무화, 성장전략, 통제시스템 등의 요인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8].
권한위임으로 인한 효과는 무엇인가? 이처럼 권한위임은 조직구성원들과 권한을 함께하는 것으로 본인 업무에 자신의 성향을 반영하여 내재적 과업 동기부여를 시키는 과정으로 정의를 내릴 수 있다[22]. 이는 결국 내부 구성원들이 자주적인 책임을 기반으로 하는 판단과 실행을 통해 업무 수행에 있어서의 잠재적 역량을 강화 하여 결국 기업의 성과를 창출하게 된다[23].
권한위임은 무엇인가? 권한위임은 고객만족을 이끌어 내기위하여 고객과 만나는 접점에서 일선 근무자들에게 매뉴얼에서 벗어나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권한위임은 조직구성원들과 권한을 함께하는 것으로 본인 업무에 자신의 성향을 반영하여 내재적 과업 동기부여를 시키는 과정으로 정의를 내릴 수 있다[22]. 이는 결국 내부 구성원들이 자주적인 책임을 기반으로 하는 판단과 실행을 통해 업무 수행에 있어서의 잠재적 역량을 강화 하여 결국 기업의 성과를 창출하게 된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ureau of Labor Statistics. (2010). Wives Who Earn More Than Their Husband. 

  2. Y. M. Seo & H. J. Cho. (2017). An Empirical Study on the New Product Development in the Organiz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3), 205-214. DOI : 10.15207/JKCS.2017.8.3.205 

  3. Y. M. Seo & C. K. Oh. (2017). Study on the Attitude toward Innovative New Product on Movie "Sanguiwon(the Royal Tailor)", The Korea Contents Society, 18(1), 403-411.. DOI : 10.5392/JKCA.2018.18.01.403 

  4. Y. M. Seo & H. J. Kim. (2011). Empirical Study for the Adoption Attitudes of New Product between enerations and Countries -Focused o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1(10), 405-415. DOI : 10.5392/JKCA.2011.11.10.405 

  5. E. D. Kim, H. B. Kim & K. S. Bae. (2015). Analysis on Determinant Affecting Open Innovation of Korean ICT Service Industry : Focusing on Network Service, Korean management science review, 32(4), 175-192. 

  6. B. Y. Cho, K. J. Shin & K. T. Park. (2010). An Exploratory Study on Framework for Partner Relationships and Open Innovation Processes,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41(2), 47-69. 

  7. A. M Pettigrew. (1979). On Studying Organizational Culture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4(4), 570-581. 

  8. W. Ouchi. (1981). Theory Z: How American Business Can Meet the Japanese Challenge, Business Horizons, 24(6), 82-83. 

  9. T. E. Deal & A. A. Kennedy. (1982). Corporate Cultures: The Rites and Rituals of Corporate Life. Reading, MA: Addison-Wesley. 

  10. J. A. Schumpeter. (1934).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4th ed., Berlin Germany: Drucker and Humblot,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D. Miller & P. H. Friesen. (1983). Strategy Making and Environment: The Third Link,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4, 221-235. 

  12. A. Shapero & L. Sokol. (1982). The social dimensions of entrepreneurship. Enclyclopedia of Entrepreneurship (pp. 72-90).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3. J. G. Covin & D. P. Slevin. (1989). Strategic Management of Small Firms in Hostile and Benign Environment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0(1), 75-87. 

  14. R. C. Becherer & J. G. Maurer. (1997).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the Entrepreneurial and Marketing Orientation of Entrepreneur-led Firm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22(1), 47-59. 

  15. G. T. Lumpkin & G. G. Dess. (2001). Linking Two Dimension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o Firm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Environment and Industry Life Cycle, Science Direct, 16(5), 429-451. 

  16. C. Lee, K. Lee & J. M. Pennings. (2001). Internal Capabilities, External Networks, and Performance: A Study of Technology-bases Ventur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6-7), 615-640. 

  17. J. G. Covin, D. P. Slevin & T. J. Covin. (1990). Content and Performance of Growth-seeking Strategies: A Comparison of Small firms in High- and Low-technology Industrie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5(6), 391-412. 

  18. J. Dabrowska & I. Savitskaya. (2014). When Culture Matters: Exploring the Open Innovation Paradigm,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Innovation and Research, 8(1), 94-118. 

  19. C. S. An & Y. D. Lee. (2011).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nfluence Factors on Open Innovation Activities in Korea,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4(3), 431-465. 

  20. Spreitzer. (1996). So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 483-504. 

  21. E. A. Locke & D. M. Schweiger. (1979).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 one more look,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 an annual series of analytical essays and critical reviews, 1, 265-339. 

  22. G. A. Yukl. (2002). Leadership in Organizations. 5th Edition, Prentice Hall : Upper Saddle River. 

  23. K. M. Ryoo, H. J. Jung & J. S. Shin. (2013). Effect of Manager's Power Delegation on Service Agility and Corporate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i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7(6), 175-186. 

  24. A. C. Eberhart, W. F. Maxwell & A. R. Siddique. (2004). An Examination of Long-term Abnormal Stock Returns and Operating Performance following R&D Increase, The Journal of Finance, 59(2), 623-650. 

  25. R. C. Yam, M. J. C. Guan, K. F. Pun & E. P. Y. Tang. (2004). An Audi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in Chinese Firms: Some Empirical Findings in Beijing, China, Research Policy, 33(8), 1123-1140. 

  26. D. K. Bok & W. H. Lee. (2006). Current Status and Analysis of Open Technology Innovation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SERI. 

  27. H. Chesbrough. (2003). Open Innovation: The New Imperative for Creating and Profiting Technology, Boston : Harvard Business School Publishing Company. 

  28. M. A. Mone, W. Mckinley & V. L. Barker. (1998). Organizational decline and innovation: a contingency framework,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1), 115-132. 

  29. R. D. Hisrich & M. P. Peters. (1991). On Your Own: How to Start, Develop and Manage a New Business, Business One Irwin: Homewood. 

  30. M. S. Shin & S. E. Kim. (2012). The Effects of Financial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Firm Valu,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20(1), 45-74. 

  31. J. K. Shin & S. K. Whang. (2008). R&D Intensity and Technology Innovation in the SMEs : The Role of Cross Functional Cooperation and Industrial Cooperation Culture,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21(6), 2523-2548. 

  32. S. J. Chang & Y. S. Shin, (2008).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technology management capabil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iministration, 2008(8), 1-25. 

  33. J. Hagedoorn & J. Schakenraad. (1994). The effect of strategic technology alliances on company performanc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5(4), 291-309. 

  34. B. Y. Lee. (2014). An Empirical Study of the Impacts of Open Innovation of SMEs and HPE on Business Performance,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27(6), 2483-2511. 

  35. V. Van de Vrande, J. P. De Jong, W. Vanhaverbeke & M. De Rochemont. (2009). Open innovation in SMEs: Trends, motives and management challenges. Technovation, 29(6). 423-437. 

  36. U. Lichtenthaler. (2011). Open innovation: Past research, current debates, and future directions. The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25(1), 75-93. 

  37. C. Fornell & D. F. Larcker.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38. B. R. Bae. (2006). LISREL Structual Model, Seoul: ChengNam Pubilshing. 

  39. J. Arbuckle & W. Wothke. (1999). AMOS 4 user's reference guide. Chicago: Smallwaters Corpor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