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설계 과정에서 융합적 사고능력 향상을 위한 국내 대학의 BIM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과 교육전략 제안
Analysis of Curriculum Management and Proposal of BIM Educational Strategy in Architecture Desig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2, 2019년, pp.263 - 270  

최여진 (대구가톨릭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축설계 실무에서 디자인 통합설계에 대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 BIM(건축정보모델링) 교육이 절실함에도 불구하고 한국건축학교육인증에 참여하고 있는 60개 대학 건축학과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전수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BIM교육을 전혀 제공하지 않거나 단 1개의 정규교과목만 개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BIM 교과목 수강과 비교과 활동을 수행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정규교과목보다 비교과 활동을 통해 유효한 교육성과를 더 많이 얻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 결과와 국내 교육기관의 BIM 교육 프로그램 분석결과, 그리고 대학의 현실적인 제약사항을 모두 고려하고 교육 공급자인 대학교수와 사용 주체인 실무 건축가의 평가 및 의견수렴을 거쳐 건축설계 과정에서 융합적 사고능력 향상을 위해 교과과정 및 비교과활동으로 구성된 대학의 BIM 교육 전략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integrated design process in architect industry,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education in university is urgently needed. However, the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BIM education at 60 universities shows that most universities do not offer BIM education a...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가장 중요한 이유는 실무프로젝트에서 BIM 설계 도구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교수 및 전문 강사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대학의 BIM 교육과정의 운영 현황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 위하여 BIM 교과목을 운영하고있는 26개 대학에서 총 몇 학점의 BIM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고, BIM 교과목을 학년별로 어떻게 개설하고 있으며, 또한 교과목은 어떤 형태(전공필수, 전공선택)로 개설하고 있는 지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2018년 당시 한국건축학교육인증에 참여하고 있는 60개 대학 건축학과의 BIM 교육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교육의 수요자인 재학생과 교육 공급자인대학교수, 그리고 실사용주체인 실무건축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건축설계과정에서의 융합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과-비교과 연계 BIM 교육전략을 제안하였다.
  • 이상과 같이 국내대학 건축학 전공의 BIM 교육운영실태를 살펴보았을 때, 정규 교육과정에서 BIM 교육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따라서 비교과 활동을 통한 추가적인 BIM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 사립 D대학과 지방 국립 K대학 건축학과의 재학생 및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BIM 교육 및 성과와 관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조사대상 중 건축학 교육 프로그램 과정을 통하여 BIM 교과목을 수강했거나 또는 BIM 관련 비교과활동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68명의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 이러한 조사 결과와 국내 교육기관 및 해외 대학의 BIM 교육 프로그램 분석결과, 그리고 대학의 현실적인 제약사항을 모두 고려하고 국내 대학교수 및 실무 건축가의 평가 및 의견 수렴을 거쳐 3학점 정규교과목 2개(기초 BIM, 심화 BIM) 90시간과 비교과 프로그램 40시간, 총 130시간으로 구성된 대학의 BIM 교육 전략을 수립할 수 있었다. 전공 특성화 방향에 따라 다양한 건축교육 전략이 존재할 수 있지만 BIM 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대학의 건축학 전공에게 이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IM 소프트웨어의 종류는 ? BIM 소프트웨어로는 Bentley社의 Bentley Architecture, Gehry Tech.社의 Digital Project 등이 있으나, 현재 국내외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은 Autodesk社의 REVIT과 Graphisoft社의 ArchiCAD이다. Table 1은 BIM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능들을 기존 상용 프로그램들과 비교한 것이다.
융합적 사고능력이란 ? 건축사를 양성하는 5년제 건축학과 또는 건축학교육 기관은 졸업 후 현장에서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갖춘 건축인을 양성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으며, 따라서 대학의 건축학 전공교육은 건축현장의 요구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전공 및 진로역량을 개발해야 한다. 건축설계 과정에서 융합적 사고능력이란 구조, 시공,설비에 대한 공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3D 설계부터시공, 유지관리 등 건축물의 생애 주기 전반의 관점에서 건축설계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한편 건축정보모델링(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이란 시공자, 건축주, 설계자, 기술 엔지니어 등 각 분업 주체들 사이에서 전체 건설 과정(기획, 설계, 공정 및 물량 산출, 시공, 유지관리) 동안에서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공유하여 각 단계별 의사 결정 과정을 빠르게 도와주는 3차원의 디지털 통합 도구이다[1].
KAAB 건축학 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BIM 교과목 개편이 어려운 이유는? 대학교육과정에 BIM 교육을 시급히 도입해야 하지만 아직도 과반수이상의 대학이 BIM 교육을 실시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첫째, 초고성능 사양의 컴퓨터를 갖춘 실습실과 같은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기 어렵고, 둘째,KAAB 건축학 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각 학년별로 설계 디자인 과목이 일주일에 10시간 이상 배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BIM 교과목을 새롭게 배정하는 교육과정의 개편이 만만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이유는 실무프로젝트에서 BIM 설계 도구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교수 및 전문 강사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대학의 BIM 교육과정의 운영 현황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 위하여 BIM 교과목을 운영하고있는 26개 대학에서 총 몇 학점의 BIM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고, BIM 교과목을 학년별로 어떻게 개설하고 있으며, 또한 교과목은 어떤 형태(전공필수, 전공선택)로 개설하고 있는 지 살펴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 H. Kwon. (2016). A Study on the Ubiquitous Safety Monitoring through Utilizing BIM Technolog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6), 61-67 DOI: 10.14400/jdc.2016.14.6.61 

  2. A. Malleson. (2016). The International Picture. NBS International BIM Report 2016, 6-13. [Online]. https://www.thenbs.com/knowledge/nbs-international -bim-report-2016 

  3. M. J. Kim, K. H. Lee & C. B. Son. (2014). An Status Analysis on the BIM Utilization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in Domestic Architec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30(8), 79-86 DOI: 10.5659/JAIK_SC.2014.30.8.79 

  4. M. C. Yoon & S. Y. Koo. (2009). A Comparative Study on AEC CAD Educational Methods Applie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ools.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1(2), 93-100. 

  5. W. Y. Kim & K. M Yang. (2015). A study on Experiment of SPC Application by means of Paramentric Modeling and BIM.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 17(5), 51-57. UCI : G704-001715.2015.17.5.016 

  6. Y. W. Koo & H. S. Oh. (2011). The Study of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method on BIM tools. Journal of The Korean Digital Architecture.Interior Association, 11(1), 53-61. 

  7. K. C. Shin & D. Y. Kang.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Process in Architectural Engineering by BIM tool, Journal of The Korean Digital Architecture.Interior Association, 12(01), 99-108. UCI : G704-002153.2012.12.1.009 

  8. J. H. Seo, H C. Seo & J. J. Kim. (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BIM Education Programs -Focused on the Industry and Public Organizations, Proceedings of 2010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0(1), 317-320. 

  9. I. L. Ko, H. J. Jeong, T. S. Jeong & S. D. Hong.(2008). The Proposal Study of Integrated Design Curriculum Based on BIM Concept. Journal of The Korean Digital Architecture.Interior Association, 8(1), 5-14. 

  10. J. S. Han & G. J. Kim. (2013). Virtual Constructions Design using 3ds Max.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4), 273-278 UCI : G704-002010.2013.11.4.024 

  11. Korea Architectural Accreditation Board. (n.d.). [Online]. www.kaab.or.kr/html/sub04_2.asp 

  12. Y. J. Choi. (2017). Effects of Competency-bas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on Architectural converg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07), 225-230 DOI :10.15207/JKCS.2017.8.7.225 

  13.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Education. (n.d.). [Online]. https://ha.kicte.or.kr/kor/kicte_8/schedule1.html 

  14. Building Smart korea.(n.d.). [Online]. www.buildingsmart.or.kr:6501/education/index.html 

  15. Korea BIM Educational Evaluation Institute. (n.d.). [Online]. www.bimkorea.or.kr/bimedu/index.jsp 

  16. Korea Construction Engineers Association. (n.d.). [Online]. https://edu.kocea.or.kr:4443/kocea/main.do 

  17. H. S. Kim & Y. S Jung. (2014). Analysis of University BIM Education Cases in Foreign Countries. 2014 spring conference of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4(1), 447-448 

  18. J. H. Ku. (2017). Designing an App Inventor Curriculum for Computational Thinking based Non-majors Software Educa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01), 61-66 DOI : 10.22156/CS4SMB.2017.7.1.061 

  19. Bongkyu Lee. (2019). A Method of Commerce Activation of the Old City-Center of Jeju City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11), 1-7. DOI : 10.22156/CS4SMB.2019.9.11.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