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 연구의 동향 : 2010년~2018년의 '청소년학연구'지를 중심으로
The Trends of Youth Research: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in 2010-2018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2, 2019년, pp.307 - 314  

장신재 (서울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이원지 (장안대학교 사회복지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2010년부터 2018년 동안 청소년학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논문의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청소년 관련 연구의 지식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논문의 초록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활용하여 NetMiner 프로그램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의 중심성(Centrality)분석 및 응집성(Cohesion)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결 정도 중심성 분석에서 '관계'가 가장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고, 학교와 청소년이 그 다음으로 높았으며, 부모, 폭력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매개 중심성도 '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청소년, 학교, 필요, 교육, 부모, 아동, 학대/정서(같은 수준), 기관, 지역, 휴대폰/예방/복지(같은 수준), 초등, 애착, 자살, 중독, 사회, 폭력, 자녀, 봉사, 지원/정책/재학/교사(같은 수준)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응집성 분석 결과, 학교생활과 정책, 중독, 부모 & 또래 관계, 시민 교육 & 복지지원, 정서와 사고, 대학, 학대 & 자살로 총7개의 하위 주제로 구분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knowledge structure of youth-related research by looking at the research trends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from 2010 to 2018. Using keywords extracted from the papers, the Centrality and Cohesion analysis of the keyword net...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 분야의 연구동향을 주요 키워드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기존의 소규모 청소년 동향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는 최근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청소년학연구’ 논문 전체를 살펴보았고, 이는 청소년 연구를 광범위하게 개괄해보고자 최초로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9년간 발간된 청소년학회지에 게재된 청소년 관련 학술논문 총 1,527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자가 제시한 4,119개의 키워드를 투입하였다. 이는 장기간에 걸친 청소년 관련 국내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조망함으로써 이제까지 수행되어 왔던 청소년 관련 연구들을 정리하고 앞으로 수행되어야 할 청소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각 연구들의 키워드를 통해 연구의 맥락, 관계성 등을 분석하고, 중심성, 응집성, 클러스터 등을 도형으로 제시하여 다양한 지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맨틱 네트워크 분석이 제공하는 것은 무엇인가? 넷마이너 프로그램은 시맨틱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를 통해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다. 시맨틱 네트워크 분석은 단어가 내포하고 있는 의미를 여러 다른 단어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할 때, 그 네트워크를 통한 관계, 양상, 현상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시각화를 제공한다[20]. 이 분석법을 활용하여 그동안 청소년 관련 연구들에서 집중한 키워드 및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청소년에 관련된 연구들의 연관성과 사회 현상 등에 대한 통찰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의 특징은? 근래에 들어 학문의 지식구조를 규명해내고자 하는 주된 경향으로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이 자주 활용되고 있다. 이 분석은 네트워크의 특성을 다각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응집성, 중심성, 하위 클러스터 등 다양한 분석지표를 시각화한다[7]. 이 분석방법은 경영학, 교육학, 심리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 진행되어 왔으나[7, 16-18] 이에 반해 사회복지 분야에서는 매우 일천한 수준이다[19].
넷마이너 프로그램의 특징? 최근에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활용한 KoNLP와 tm패키지 등의 통계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 동향에 대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분석하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과 시각화와 네트워크의 특성을 함께 파악하기에 유용한 넷마이너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넷마이너 프로그램은 시맨틱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를 통해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다. 시맨틱 네트워크 분석은 단어가 내포하고 있는 의미를 여러 다른 단어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할 때, 그 네트워크를 통한 관계, 양상, 현상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시각화를 제공한다[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OECD. (2015). Children well being. 

  2. J. H. Jang. (2018). A Study on Effects of Environmental Features of Adolescents on Subjective Well-being-Focused on Busan.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9(2), 351-364. 

  3. J. H. Shim & K. H. Yi. (2018).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the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Focusing on gender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24(1), 199-225 

  4.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8). The Sixth Youth Policy Basic Plan(2018-2022). 

  5. Y. G. Lee. (1999). A Study on Policy of Alternative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Youth Welfare, 1(1), 61-74. 

  6. H. K. Kim & J. J. Choi. (2016). The Trends of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From 1994 to 2014.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3), 365-392. 

  7. S. H. Hong, K. H. Jo, H. J. Lee, S. K. Son, H. J. Kim, M. R. Yoon & Y. K. Kang. (2019). Research trends in adolescent resilience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30(2), 273-301. 

  8. G. R. Park & J. J. Choi. (2016).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Youth Resilience : Targeting on the published papers in domestic journals (1998-2015).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10), 451-478. 

  9. G. R. Park & D. Y. Shin. (2018). The structure and content analysis of youth Resilience improvement program: focusing on the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1999-2016).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5(4), 199-224. 

  10. Y. R. Kim, S. H. Yoo & J. Y. An. (2018). Research trends in group programs for institutionalized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9(3), 71-99. 

  11. H. R. Kim, S. R. Yoo & E. Y. Son. (2017). Trend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on Career - from 2010 to 2016 focus on the Korean Domestic Journal.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0(3), 173-191. 

  12. J. E. Jung, H. S. Joo & C. Y. Jung. (2013). A Review of Research in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6(1). 1-20. 

  13. M. J. Kang, E. K. Shin & S. A. Kim. (2015). Analyses of Research Tre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Usage and Psychosocial Development of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2), 95-144. 

  14. H. S. Yoon. (2014). Research Trend and Priority Subject of Research on North Korean Migrant Youth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11), 125-149. 

  15. S. H. Yoon, J. Y. Kim & S. M. Shin. (2018). The Effects of Group Programs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 A Meta-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5(4), 583-602. 

  16. M. J. Kim & W. H. Jang. (2018). Research Trends of Continuity between Preschool and Elementary Education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2(3), 351-377. 

  17. H. S. Oh & D. H. Lee. (2018).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5(4), 823-838. 

  18. D. R. Kim, G. S. Kwon & S. B. Jung. (2015). Knowledge Structure Analysis on Business Administration Research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Decision Science. 23(1), 111-125 

  19. W. J. Lee. (2018). Recent Research Trend Analysis of Elderly Welfare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Korean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10(2), 31-40 

  20. H. S. Choe & C. Y. Ock. (2002).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Korean Semantic Network. Korean Linguistic, 17, 301-329. 

  21. Y. H. Kim. (2003). Social Network Analysis. Parkyongsa. 

  22. M. S. Yoon & H. J. Jo. (2008). Effects of Violence Experience Type on Adolescent's Depression, Alcohol Use, Mental Health & Social Work, 29, 295-329. 

  23. Y. K. Song, Y. H. Kim & S. S. Hwang. (2011). Effects from the Interaction of Ego - Resilience, Social Supports in the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1), 1-19. 

  24. J. O. Kim & G. G. Park. (2002).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Family Violence and Adolescents' Violence in the School. Journal of Family Relations. 7(1), 93-115. 

  25. H. E. Chung & J. S. Chun. (2012). Risk Factors of Adolescents' Victimization by School Violenc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4(1), 195-212. 

  26. Statistics Korea. (2018). 2019 Statistics on the Youth. 

  27. T. Y. Han. (2005). Adolescents' Stress at School: Moderation Effects of Person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2), 177-197. 

  28. S. H. Han & O. K. Hyun. (2006). Relationships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to Cognitive Reappraisal and Expressive Suppression Emotional Regulation Strategles and Self-Control in Adolescenc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7(6), 1-11. 

  29. H. W. Kim & I. S. Oh. (2016).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Problem betwee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4(1), 151-171. 

  30. T. H. Kwak & J. H. Lim. (2019). The Effects of Emotional Awarenes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s Mediato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40(2), 13-24. 

  31. J. H. Jang & H. J. Shin. (2003). The Effect of a Protection Program for Adolescent Excessive Use of Internet.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5(4), 651-672. 

  32. S. H. Jee, M. S. Kim, S. G. Oh, E. Y. Kim & S. S. Lee. (2008). Adolescent Suicide Prevention Program and Interventive Measures. Seoul. Korea Youth Counseling Institute. 

  33. H. J. Kim. (2008). Effect Factors of Adolescences' Suicide ris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7, 69-93. 

  34. S. K. Hwang, J. Y. Park, H. J. Lee & J. A. Son. (2016). The Development of Suicide Prevention Model for the Adolecents.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Kyungsung University, 32(4), 305-3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