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성리더십이 은행원의 혁신행동과 심리적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중매개효과 분석
The Effects of Emotional 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and Psychological Depression of Bankers: Analysis of Double Mediation Effect 원문보기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24 no.6, 2019년, pp.107 - 118  

임광민 (동의대학교 경영학과) ,  권혁기 (동의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은행원을 대상으로 감성리더십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의 매개를 통해 혁신행동과 심리적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설들을 설정하고 은행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최종 294부를 분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회귀분석과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감성리더십은 자기효능감에 정(+)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직무열의 및 혁신행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열의는 심리적 우울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는 모두 완전매개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and psychological depression through mediation of job engagement and self-efficac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hypotheses were set up and we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bankers and analy...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과거 성과위주의 카리스마 리더십에 상처받은 은행직원들이 감성리더십에 기초한 영업방식의 변화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어 달라진 영업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리더십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감성리더십이 자기 효능감과 직무열의를 이중매개로 한 혁신행동과 심리적 우울에 대한 결과를 도출해냄으로서 달라진 은행 영업환경에 적합한 지점장의 리더십 모델을 제시하고 감성리더십을 전체 금융기관으로의 확대를 위한 학술적인 근간을 마련코자 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감성 리더십과 은행원들의 혁신행동과 심리적 우울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론ㆍ실무 차원에서 유의미한 시사점들을 제시해 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들을 가지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은행원을 대상으로 감성리더십이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의 매개를 통해 혁신행동과 심리적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해 내기 위한 연구가설의 검정을 위하여 이중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를 매개 변수로 설정하여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의 매개 역할에 따라 혁신행동과 심리적 우울의 영향이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앞선 연구에서 자기 효능 감의 수준이 높은 사람이 주어진 과업을 완수하기 위하여 열정과 노력을 배가시킬 뿐만 아니라 과업자체에도 몰두한다고 정의한 Bandura (1997)와 개인적 차원에서의 자기존중감이나 자기효능감 등이 직무열의의 선행요인으로 나타났다고 밝히고 있는 Albrecht (2010)의 연구를 비롯한 선행연구들(Llorens et al.

가설 설정

  • 가설 1: 감성리더십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자기 효능감은 직무열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직무열의는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직무열의는 심리적 우울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는 감성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이중매개 역할을 할 것이다.
  • 가설 6: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는 감성리더십과 심리적 우울의 관계에서 이중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 셋째, 하위직급의 리더십으로 확대될 수 있다. 지점장의 리더십 변화에 따라 중간 직급(부지점장, 차장, 과장, 대리 등)의 상하 관계에 감성리더십을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감성리더십의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점장의 리더십 변화는 물론 중간직급을 비롯한 모든 리더들의 리더십 변화를 유도하여 조직에서 요구하는 성과 창출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성리더(Emotional leadership)의 정의는 무엇인가? Goleman et al. (2002)은 감성리더(Emotional leadership)을 리더 스스로 자신 내면을 이해하고, 구원성의 감성 및 필요를 배려함과 동시에 조직 구원성들과의 관계를 자연스럽게 형성하여 조직 감성역량을 높이는 능력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 조직구성원들이 집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성원의 감성을 배려함과 동시에 조직구성원이 자연스럽게 정서적으로 안정을 형성하고 자발적이고 열정적으로 노력할 수 있도록 영향을 주는 기술, 영향력 또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Wiener and Vardi, 1980).
리더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자기효능감은 개발 가능한 능력이며 자기 효능감을 발전시키기 해서 리더의 역할이 중요하다. 리더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는 개인이 업무나 과업에 임할 때나 복잡한 상황에서 유효하고 효과적인 성과를 이루기 위한 도전적 행동을 해야 할 때 롤 모델로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며 조직원에게는 진정성, 신뢰감 및 격려를 표해서 조직원의 효능감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Bandura et al., 2003).
Schaufeli et al에 의한, 직무역할에 에너지를 쏟아 내는 직무열의의 구성요소는? Schaufeli et al. (2002)도 직무열의가 구성원이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긍정적 이고 성취감을 느끼는 정신적 상태를 의미한다고 하였으며 활력(Vigor), 헌신(Dedication) 그리고 몰두 (Absorption)와 같은 하부 요소로 구성된다고 하였다. 활력은 높은 수준의 에너지, 정신적인 회복력, 자신의 업무에 기꺼이 노력을 기울이려는 의지, 업무에 쉽게 지치지 않는 능력과 시련이 닥쳤을 때의 인내심을 의미하고, 헌신은 자신의 업무에 대한 열정과 의미 성, 자부심 등이 수반된 강한 몰입을 의미하며, 마지막으로 몰두는 업무를 수행할 때 시간가는 줄 모르고자신과 업무를 분리시켜 생각하기 어려운 정도로 완전히 몰입된 상태를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braham I . L., Neese J, B., and Westerman, P. S. (2008). Depression, Nursing Implications of a Clinical and Social Problem,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cia, 26(1), 1-7. 

  2. Albrecht, S. L. (2010). Handbook of Employee Engagement: Perspectives, Issues, Research and Practice, In S. L. Albrecht (Ed.) , Edward Elgar Publishing. 

  3.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4. Bandura, A. (1986). The Explanatory and Predictive Scope of Self-efficacy Theor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4(3), 359-373. 

  5.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6. Bandura, A., Caprara, G. V., Barbaranelli, C., Gerbino, M., and Pastorelli, C. (2003). Role of Affective Self-Regulatory Efficacy in Diverse Spheres of Psychosocial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74(3), 769-782. 

  7. Bakker, A. B., and Geurts, S. (2004). Toward a Dual-process Model of Work-home Interference, Work and Occupations, 31(3), 345-366. 

  8. Goleman, D., Boyatzis, R., and McKee, A. (2002). Primal Leadership-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Books. 

  9. Hakanen, J. J., Perhoniemi, R., and Toppinen-Tanner, S. (2008). Positive Gain Spirals at Work: From Job Resources to Work Engagement, Personal Initiative and Work-unit Innovativenes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73(1), 78-91. 

  10.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New York: Guilford Press. 

  11. Hong, J. Y. (2015). The Relationship among Child Care Center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Teacher Efficacy,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Ph. D. Thesis, Graduate School of Anyang University, Gyeonggi, Korea. 

  12. Janssen, O. (2000). Job Demands, Perceptions of Effort-reward Fairness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3(2), 287-302. 

  13. Ji. S. H., and Kang. Y. S. (2012). The Mediating Effect of Continuous Learning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Go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 2745-2759. 

  14. Kahn, W. A. (1990).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3(4), 692-724. 

  15. Kanter, R. M. (1988). When a Thousand Flowers Bloom: Structural, Collective, and Social Conditions for Innovation in Organization,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0, 169-211. 

  16. Konstantellou, E. (2001).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f Enjoyment at Work: A Cross- National Approach (Unpublished Master Thesis), University of Surrey. 

  17. Lee, M. S., and Kang, Y. S. (2003).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Innovative Behavior;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Situations, Journal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27(1), 251-271. 

  18. Llorens, S., Schaufeli, W., Bakker, A., and Salanova, M. (2007). Does a Positive Gain Spiral of Resources, Efficacy Beliefs and Engagement Exis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1), 825-841. 

  19. Lopez, A. D., and Murray, C. C. (1998).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1990-2020. Nature Medicine, 4(11), 1241-1243. 

  20. Maslach, C. and Leiter, M. P. (1997). The Truth about Burnout: How Organizations Cause Personal Stress and What to do about It,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1. Moon, Y. S., and Hur, Y. H. (2010). Police Officers'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Trust and It's Influence on Self-efficacy,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Review, 38, 71-104. 

  22. Park, Y. K., Song. J. H., Yoon, S. W., and Kim. J. W. (2014). Learning Organization and Innovation Behavior, European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38,(1/2), 75-94. 

  23. Redmond, M. R., Mumford, M. D., and Teach, R. (1993). Putting Creativity to Work: Effects of Leader Behavior on Subordinate Creativity, Organizational Behavior & Human Decision Processes, 55, 120-151. 

  24. Schaufeli, W. B., Bakker, A. B., and Salanova, M. (2006). The Measurement of Work Engagement with a Short Questionnaire a Cross-national Study,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6(4), 701-716. 

  25. Schaufeli, W. B., Salanova, M., Gonzalez-Roma, V., and Bakker, A. B. (2002).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3(1), 71-92. 

  26. Schwarzer, R., and Jerusalem, M. (1995). Generalized Self-efficacy Scale. In J. Weinman, S. Wright, & M. Johnston (Eds.), Measures in Health Psychology: A User's Portfolio. Causal and Control Beliefs, Windsor, UK: Nfer-Nelson, 35-37. 

  27. Scott, S. G., and Bruce, R. A. (1994).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3), 580-607. 

  28. Sherer, M., and Adams, C. H. (1983). Construct Validation of the Self-efficacy Scale, Psychological Reports, 53, 899-902. 

  29. Song, E. K. (2012).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Director' Emotional Leadership, the Preschool Teachers' Role Conflicts, their Teacher Efficacy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Ph. D. Thesis, Graduate School of Daegu University, Gyeongbuk, Korea. 

  30. Yeom, M. K. (2015), The Effect of J ob Stress of Train Traffic Controllers on Fatigue, Depression and Cognitive Failur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31. Yi. R. (2006). The Role of Emotional Labor Strategies in the J ob Demand-resource Model with Burnout and Engagement: Call Cetre Employees Cas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Ajou-University, Suwon, Korea. 

  32. Wiener, Y., and Vardi, Y. (1980). Relationships Job, Organization, and Career Commitments and Work Outcomes - An Integrative Approach,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26(1), 81-96. 

  33. Xanthopoulou, D., Bakker, A. B., Demerouti, E., and Schaufeli, W. B. (2009). Work Engagement and Financial Returns: A Diary Study on the Role of Job and Personal Resource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82, 183-2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