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경기 여성 근로자의 심뇌혈관질환 예방 관련 지식, 태도 및 건강행위에 관한 융합 연구
Knowledge, Attitude and Health Behaviors Related to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in Postmenopausal Women Worker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2, 2019년, pp.339 - 347  

최준영 (경상대학교 일반대학원) ,  최소영 (경상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G시에 소재한 D와 S 조선소에 근무하는 폐경 후기 여성 근로자 268명을 대상으로 2017년 1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인자 유무에 따라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군과 건강군으로 분류하여 이들 두 군 간의 일반적 특성,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련 지식, 태도, 건강행위 이행 정도 및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건강군과 발병 위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변수는 연령(F=92.239, p<.001), 동거유형($x^2=20.056$, p<.001), 소득수준($x^2=39.023$, p<.001), 주당 근무시간(F=32.217, p<.001), 근무년수(F=12.310, p=.001), 심뇌혈관질환 가족력($x^2=233.442$, p<.001), 주관적 건강상태($x^2=19.058$, p=.001)였다. 두 군에서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련 지식 정도(F=2.679, p=.008)와 건강행위 이행 정도(F=4.339, p<.001)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련 건강행위 이행 정도의 관계에서 건강군은 지식이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r=.348, p<.001), 발병 위험군은 지식(r=.279, p=.002)과 태도(r=.194, p=.030)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심뇌혈관질환 발병에 취약한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 2017 to November 30, 2017 in 268 women in late postmenopausal period in D and S shipyards located in G c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risk factors of cerebrovascular diseas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risk facto...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업무상 심뇌혈관질환 산재 승인 비율이 가장 높은 제조업[17]에 종사하는 폐경 후기 여성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인자 유무에 따라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군과 건강군으로 분류하여 이들 두군 간의 일반적 특성,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련 지식, 태도, 건강행위 이행 정도 및 관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본연구결과를 통해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군의 건강행위이행을 촉진하기 위한 중재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폐경 후기 제조업 여성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인자 유무에 따라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군과 건강군으로 분류하여 두 군 간의 일반적 특성,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련 지식, 태도, 건강행위 이행 정도 및 관계를 비교 분석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폐경 후기 제조업 여성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심뇌혈관질환 위험인자 유무에 따른 두군(발병 위험군, 건강군)간의 일반적 특성,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련 지식, 태도, 건강행위 이행 정도 및 관계를 비교 분석하여,건강행위 실천을 촉진하기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따라서 업무상 심뇌혈관질환 산재 승인 비율이 가장 높은 제조업[17]에 종사하는 폐경 후기 여성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인자 유무에 따라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군과 건강군으로 분류하여 이들 두군 간의 일반적 특성,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련 지식, 태도, 건강행위 이행 정도 및 관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본연구결과를 통해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군의 건강행위이행을 촉진하기 위한 중재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뇌혈관질환이란? 심뇌혈관질환(Cardiovascular diseases)은 허혈성 심장질환(심근경색, 협심증), 심부전 등의 심장질환과 뇌졸중(허혈성, 출혈성) 등의 뇌혈관질환, 고혈압·당뇨병·이상지질혈증·동맥경화증 등의 선행 질환을 총칭하는 질병이다[1].
심뇌혈관질환의 인구학적 특성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심뇌혈관질환은 연령, 성별, 가족력 등의 인구학적 특성 요인과 함께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의 선행 질환 요인, 여러 가지 생활습관 등의 환경적 요인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질환으로[10],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는 여성의 경우 현재를 기준으로 10년 후 심근경색과 뇌졸중의 발생률이 19%나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1]. 그러나 심뇌혈관질환 관련 생활습관위험요인인 올바르지 않은 식습관, 운동부족, 흡연, 스트레스, 과다한 음주 등은 개선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10] 폐경 이후 여성의 경우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위험도 인식이 낮으며, 예방관련 건강행위에 대한 실천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9,12,13].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군이 건강군에 비해 주당 근무시간 및 근무년수가 길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으로 추정되는가? 이는 정규직 근로자의 근무년수가 10년 이상, 주당 근무시간이 45시간인 시점에서 1시간씩 추가될 때마다 협심증, 관상동맥질환, 심부전, 심근경색, 고혈압, 뇌졸중 등의 심뇌혈관질환 발생위험이 1%씩 커진다는 미국 텍사스 보건과학센터의 콘웨이박사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25]. 이는 일반인에 비해 근로자들은 과중한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와 운동부족, 흡연, 잦은 음주와 같은 잘못된 생활습관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건강행위 실천을 위해서는 근로자의 개인적 요소를 고려하는 것과 동시에 사업장 내의 정책변화가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7). Disease Information. KCDC [Online]. www.cdc. go.kr 

  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 Health Topics. WHO [Online]. www.who.int/ 

  3.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7). Statistics for causes of deth inst 2016. Daejeon. 

  4.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4). Health Insurance Statistics. NHIC [Online]. www.nhis.or.kr 

  5. J. K. Joo, J. B. Son, J. E. Jung, S. C. Kim & K. S. Lee. (2012). Differences of Prevalence and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Menopausal Statu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nopause, 18(3), 155-162. DOI: 10.6118/jksm.2012.18.3.155 

  6. H. M. Shin, S. H. Jee, J. H. Kim & M. R. Kim. (2012). The Influence on Cardiovascular Mortality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nopause, 18(1), 6-14. DOI: 10.6118/jksm.2012.18.1.6 

  7. Y. S. Park. (2017). Born in 2030 Korean women exceeded 90 years of life expectancy. Yunhap news(online). www.yonhapnews.co.kr/ 

  8. H. Y. Ko, J. K. Lee, J. Y. Shin & E. Jo. (2015).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6(6), 349-356. DOI : 10.4082/kjfm.2015.36.6.349 

  9. K. A. Kim & S. Y. Hwang. (2017). Impact of physical sctivity, central obesity and depression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he presence of cardiovascular risk among menopausal middle-aged women: secondary data analysi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9(4), 382-392. DOI : 10.7475/kjan.2017.29.4.382 

  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2). Understand your risk of heart attack: Risk factors and coronary heart disease. AHA [Online]. www. heart.org/HEARTORG/Conditions/HeartAttack/Un-Risk-of-Heart-Attack_UCM_002040_Article.jsp 

  11. L. Mosca. et al. (2011). Effectiveness-based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women-2011 update: A guideline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57(12), 1404-1423. DOI : 10.1161/CIR.0b013e31820faaf8 

  12. M. J. Kang, J. S. Yi & C. S. Park. (2018). Factors related to Identification of Middle-Aged Women Who are Disadvantaged by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Korean J Women Health Nurs., 29(4), 382-392. DOI : 10.7475/kjan.2017.29.4.382 

  13. B. J. Lee, S. Y. Hwang. (2018). Effect of Physical Activity Practice Rates and Knowledge Related to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Prevention on Health Behavior Case Study Focusing on Middle Aged Women with Risk of Central Obes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4), 342-352. DOI : 10.5762/KAIS.2018.19.4.342 

  14. J. Y. Choi, M. Y. Jeon, S. Y. Choi & Y. M. seo. (2017). Risk Assessment for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in Middle Age Women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8), 137-145. DOI : 10.15207/JKCS.2017.8.8.137 

  15. J. H. kong, H. O. Choi & E. J. Oh. (2016). The Relationship among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Knowledge, Attitude of, Health Behavior among 30, 40s male Worker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7), 309-318. DOI : 10.5392/JKCA.2016.16.07.309 

  16.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7). Industrial accident analysis 2016.). KOSHA(online). www.kosha.or.kr 

  17. I. S. Kim, S. C. Ryu, Y. H. Kim & Y. J. Kwon (2012). Influencing Factors in Approving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 as Work-Related Disease of Workers’ in Manufacturing Secto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4(2), 158-166. 

  18. H. J. Park. (2008). The effects of lifestyle modification education program on the workers'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to prevent cerebrocardiovascular diseases in middle and small-sized industries. Doctral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19. H. K. Kim. (2015). Recognition on cardiovascular disease and health behavior among postmenopausal women with arthritis. Doct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0. H. J. Lee.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ommunity education program for the cardiocerevrovascular disease high-risk patients. Doctral dissertation. Kyungpook University, Daegu. 

  21. S. K. Choi. (2014). Effects of a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Postmenopausal Middle-aged Women. J Korean Acad Nurs, 45(1), 25-34. DOI : 10.40401/jkan.2015.45.1.25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tatistical Information Report. Seoul : MOHW 

  23. Y. H. Lee et al. (2012). Awareness of Stroke Warning Signs and Risk Factors: Result of a 2010 Community Surve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30(1), 26-32. 

  24. T. Haidinger, M. Zweimuller, L. stutz, D. Demir. A. Kaider & J. Strametz-Juranek. (2012). Effect of gender on awareness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preventive action taken, and barriers to cardiovascular health in a group of Austrian subjects. Gender Medicine, 9(2), 94-102. DOI : 10.1016/j.genm.2012.02.001 

  25. Y. H. Yoon. (2016). The longer the working hours, the higher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SBS News(Online). http://news.sbs.co.kr 

  26. M. J. Kang, J. S. Lee & C. S. Park. (2018). Factors related to the Identification of Middle-Aged Women Who are Disadvantaged by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Korean J Women Health Nurs., 24(2), 185-195. DOI : 10.4069/kjwhn.2018.24.2.185 

  27. J. H. Kim, M. G. Kwon, S.K. Jung. (2017). The Influence of Health Locus of Control,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Middle-Aged Adul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4), 494-503. DOI : 10.5762/KAIS.2017.18.4.494 

  28. C. G. Kim, S. H. Lee, S. K. Cha. (2017). Influencing factors o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young men: focusing on obesity indic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9, 1-10. DOI : 10.7586/jkbns.2017.19.1.1 

  29. S. Yeoum. (2003). The investigation on the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for postmenopausal women over 50 yea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nopayse, 9(3), 266-272. 

  30. K. A. Kim & S. Y. Hwang. (2016). Knowledge on cardio-cerebrovascular Disea and Health Behaviors among Middle-aged postmenopausal Women at Risk.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8(4), 424-435. DOI : 10.7475/kjan.2016.28.4.424 

  31. J. S. Park, C. Lee & Y. G. Yoo. (2004).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junior college physical education major’s levels of health information and attitudes/behavior to good health. Journal of arts & Physical Education, 15, 95-1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