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T 기업의 조직 성과 지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dicators of IT Compan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 2019년, pp.187 - 195  

김형섭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컨설팅)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대 기업에 있어서 기업 내외부에 발생하는 상호작용에 대한 객관적이며 계량화된 성과측정 방법론에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기업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통한 기업의 현재가치와 현재의 에너지 상태를 가늠하여 미래 지향적인 전략의 수립과 실천의 중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 부각되고 있는 객관적 성과측정 방법론인 BSC(Balance Scorecard)를 사용한 성과지표로써의 KPI 선정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기존 KPI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여러 산업 군에서 이루어져 있지만, SI 기업에 대한 KPI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SI 기업에 적용될 수 있는 KPI를 발굴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SI 기업들의 일반적인 전략에 따른 KPI 설계체계에 대한 연구와 조직군별 평가지표 개발에 따른 방법론과 평가지표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 하였으며, 아울러 각각의 평가지표에 따른 가중치 적용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is a growing emphasis on objective and quantified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ologies for the interactions that occur within modern companies. This is due to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nd practicing future-oriented strategies by estimating the present value of the company and the curren...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I 기업의 일반 관리 조직을 제외한 SI 기업만의 3가지 조직구조 즉 Application 조직, Infra 구축 조직, 전략 기획 조직을 기본 축으로 하여 각각의 조직의 특성에 맞는 평가지표들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평가지표들은 우선적으로 내부 프로세스 관점을 제외한 BSC의 세 가지 관점에서 발굴하는 기본지표와 SI 업체만이 갖고 있는 특성화 지표(SI 업체의 내부 프로세스 측면을 기준으로 작성된 특성화된 평가지표)로 나누어서 지표 설정을 하였다.
  • 하지만 SI 기업의 대한 KPI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SI 기업들의 특징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SI 기업 고유의 KPI를 도출해 봄으로서 균형된 성과 중심, 전략 중심의 기업 경영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기존의 KPI에 관한 다수의 연구들이 여러 산업 군에 분포되어 있지만, SI 기업에 대한 KPI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I 기업에 모두 반영할 수 있는 KPI를 찾는데 중점을 두었다. SI 기업들의 일반 전략에 따라 KPI 설계체계에 관한 연구와 구분별 평가지표 개발 결과에 따른 방법론과 평가지표개발에 대한 연구를 실천 하였으며, 더불어 각각의 평가지표에 따른 가중치 적용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 많은 BSC 연구논문들에서 산업별 KPI 의 발굴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본 연구 또한 SI 기업에 맞는 일반적인 KPI 를 발굴하여 SI 기업의 전략실천 도구로서 BSC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SI 기업들이 특징적으로 갖고 있는 핵심조직에 대한 KPI 발굴에 관한 고찰적 방향으로 진행 되었다. 따라서 SI 기업에 있는 여러 조직 중 일반적 기업과 동일한 SI 기업의 관리조직에 대한 KPI 발굴은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 또한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된 KPI를 실제 현장에 적용시켜 봄으로써 계속적인 사례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진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SI 기업에 대한 조직별 성과 지표를 제시하는 탐색적 연구로서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BSC 의 역할변화에 따라, 전락 실천 중심의 BSC 활용요소로서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를 중심으로 전략의 효과적인 실천방안을 연구 하고자 하였다. KPI는 BSC의 핵심 성과 측정 지표 항목이며, KPI를 통해 실제 기업의 성과가 측정된다.
  • 본 연구에 있어, SI 기업의 특징과 기업내부의 구조, 업무진행 프로세스 등에 대한 조사는 국내의 SI 기업의 관계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SI 기업의 현장 지식을 획득하여 이루어졌다. 인터뷰의 내용을 바탕으로 SI 기업의 특징을 반영하여 SI 기업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KPI를 도출하게 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평가 방식과 조금 다른 가감평가 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감평가 방식은 기존의 성과측정에 있어 점수의 산정을 덧셈중심의 평가 방식에서 벗어나, 점수의 감점을 포함한 평가 방식을 제안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 핵심성과지표는 적을수록 좋다
  • 두 번째로 균형된 성과평가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BSC는 다양한 관점을 통해 기업의 성과를 평가하며, 선행지표와 후행지표를 균형되게 설정함으로써 결과 중심적 성과평가에서 벗어나 과정상의 핵심사항들을 우선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SC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BSC의 구성요소는 비전과 전략, 재무, 고객, 내외부프로세스, 학습과 성장이라는 네 가지 관점, 핵심성공요인(CSF), 핵심성과지표(KPI), 인과관계, 목표, 피드백으로 그 구성요소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KPI(key performance indicators : 핵심성과 지표)는 기업이 현재의 경영 성과뿐만 아니라 미래의 가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무엇을 관리하여야 하는지를 명확히 알려주는 지표이다.
BSC는 무엇인가? 지식 시대의 기업은 과거의 기업처럼 재무적인 평가지표 만으로써는 전체 조직을 평가하기에 다소 한계가 있으며, 조직 내 비전과 전략을 정보 공유하고 조직의 힘을 한 곳에 중점 될 수 있도록 동기부여 할 수 있는 새로운 성과관리 체계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5]. 이와 같은 기업의 요구에 따라 재무적인 측정치들과 비재무적인 측정치들을 균형 있게 제시하고 성과평가에 양자를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Kaplan & Norton이 제시한 BSC(Balanced Scorecard)이다. BSC는 기존의 재무적 관점의 지표들과, 재무적 지표를 보완하면서 미래의 경영 성과에 영향을 주는 비재무적 관점의 지표인 고객, 내 외부 프로세스, 학습 및 성장 관점의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 K. Kim & E. S. Sung. (2001). BSC Practical Manual, Sigma Insight Com, 43, 49-64. 

  2. J. K. Lee & H. U. Lee. (2003). An Empirical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Balanced Scorecard, Industrial Economics Research, 27, 64-80. 

  3. M. K. Hong & Lu. (2000). Case Study on BSC Ctjqompanies, Tax Accounting Research. 15, 81-102. 

  4. H. J. Hwang. (2014), Development of Evaluation Elements and Weight Setting for Evaluation of Research Institutions,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Management, 3, 101-120. 

  5. J. H. Lee & S. C. Kang. (2001). Information Needs Analysis of EIS Users Using Balanced Scorecard (BSC), Management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4, 134-150. 

  6. J. Y. Choi, K. J. Choi & T. H. Kwon .(2013). A Case Study for Developing Strategic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the Management Science Society, 19, 87-96. 

  7. N. J. Lee, J. S. Kim & Kim. (2001). A Study on BSC System Construction of Korean Companies, Seokang Management Publications, 2, 159-182. 

  8. H. K. Kim, J. Y. Lee & K. S. Kang. (2002). A Study on Development of Performance Measurement Index of B2B e-marketplace,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3, 61-74. 

  9. Kaplan & Norton, Balaced Scorecard, (1996).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0. Kaplan & Norton. (2001). The Strategy Focused Organization, HarvardBusinessSchoolPress 

  11. Kaplan & Norton. (2005). The Balanced Scorecard 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August. 5-10. 

  12. Creelman & James. (1998). Building and Implementing A Balaced Scorecard, Business Intelligence Ltd. 3rd edition. 

  13. Marlys Gascho Lip & Steven E. salterio. (2000). The Balanced Scorecard-Judgmental Effects of Common and Unique Performance Measures, The Accounting Review, 75, 283-298. 

  14. Martinsons, Davison & Tse. (1999).The Balanced Scorecard: a foundation for the strategic management of information systems, Decision Support Systems, 25, 71-88. 

  15. S. K. Chi. (2017). A Case Study on the BSC Development of a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 for Performance Evalu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 83-92. 

  16. J. H. Ryu & W. K. Won Lee. (2014). A Study on the Effects of Performance Measures in BSC on the performance of Hotel Industr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3, 189-199. 

  17. K. I. Kim. (2016). he Impact of several management tools and techniques adoption on strong small business enterprises Performanc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3, 7-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