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Lactobacillus plantarum KI69의 생리적 특성 및 항당뇨 효과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diabetic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KI69 원문보기

Journal of milk science and biotechnology = 한국유가공학회지, v.37 no.4, 2019년, pp.223 - 236  

김슬기 (한국식품연구원) ,  임상동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비만 억제능력이 있는 젖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고, 이 균주의 생리적 특성을 규명하여 상업적으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Modified MRS 분별배지를 사용하여 노란색 집락을 형성하는 균주를 대상으로 각각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와 단쇄지방산 생산이 우수한 균주를 선발한 결과, KI69 균주가 최종 선발되었다. KI69 균주는 α-amylase억제활성 91.17±2.23%, α-glucosidase 억제활성 98.71±4.23%, 단쇄지방산인 프로피온산, 에세트산, 브티르산이 MRS broth에서 각각 8.78±1.12 ppm, 1.34±0.07%(w/v), 0.876±0.003 g/kg이 나타났으며, 동정결과 L. plantarum으로 판명되었고, L. plantarum KI69로 명명하였다. L. plantarum KI69는 답즙산과 산성의 pH에서 모두 우수한 생존력을 나타내었고, 효소활성은 β-galactosidase, β-glucosidase와 N-acetyl-β-glucosaminidase에 대해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생제 내성 실험 결과 vancomycin에 내성이 있는 반면 penicillin-G와rifampicin에 감수성을 나타냈으며,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와 Staphyloccous aureus에 대해 각각 15.44%, 50.79%, 58.62%와 37.85%의 억제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 부착성은 대조구인 L. rhamnosus GG보다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diabetic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KI69. The α-amylase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L. plantarum KI69 was 91.17±2.23% and 98.71±4.23%, respectively. The propionic, acetic,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분리·선발된 Lactobacillus plantarum KI69가 기능성 식품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L. plantarum KI69의 항당뇨 효과와 생리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비만 억제능력이 있는 젖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고, 이 균주의 생리적 특성을 규명하여 상업적으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Modified MRS 분별배지를 사용하여 노란색 집락을 형성하는 균주를 대상으로 각각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α -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와 단쇄지방산 생산이 우수한 균주를 선발한 결과, KI69 균주가 최종 선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α-글루코시다아제는 무엇인가? α-글루코시다아제는 소장의 브러쉬 경계막(brush-border membrane)에 존재하는 소화 효소로, 이당류나 다당류가 탄수화물이 소화 흡수되기 위한 상태인 단당류로 가수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소장 내 α-글루코시다아제에 의한 탄수화물의 흡수는 대개 소장 상부에서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식후 혈당치의 급격한 상승을 초래한다.
인슐린의 역할은 무엇이 있는가? 인슐린은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분비되어 탄수화물과 지방 대사를 조절하는 호르몬으로서 표적세포(간, 근육 및 지방세포 등)를 자극하여 혈류로부터 포도당을 유입하고, 또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당뇨병은 혈중 포도당이 세포 내로의 이동 저하, 여러 조직에서의 포도당 대사 저하 및 간에서의 포도당 신생 증가 등으로 인해 혈중 포도당의 과다 생성되어 나타나는 결과이다.
butyrate, acetate와 propionate는 다양한 질병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가? 기전적으로, 단쇄지방산 생성은 장내 pH를 산성화시키고, 이러한 산성조건에서 생육이 저해되는 유해균의 생균수를 감소시키며, 담즙산의 용해도 감소, 무기질 흡수 증진, 암모니아 흡수 감소 등을 유발한다[6]. 이러한 영향으로 단쇄지방산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 염증성 장질환 발병을 낮추고, 암, 심혈관질환, 비만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특히 단쇄지방산은 손상된 대장의 재생을 촉진하고, 대장벽을 보호하여 대장 기능을 증진한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Choi BC. Type II diabetes mellitus: issue and trend. Seoul: Korea Phamaceutical Information Center; 2000. p. 1-26. 

  2. Ali H, Houghton PJ, Soumyanath A. ${\alpha}$ -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some Malaysian plants used to treat diabete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Phyllanthus amarus. J Ethnopharmacol. 2006;107:449-455. 

  3. Cummings JH. Short chain fatty acids in the human colon. Gut. 1981;22:763-779. 

  4. Schwiertz A, Taras D, Schafer K, Beijer S, Bos NA, Donus C, et al. Microbiota and SCFA in lean and overweight healthy subjects. Obesity. 2010;18:190-195. 

  5. Cook SI, Sellin JH. Short chain fatty acids in health and disease. Aliment Pharmacol Ther. 1998;12:499-507. 

  6. Hijova E, Chmelarova A. Short chain fatty acids and colonic health. Bratisl Lek Listy. 2007;108:354-358. 

  7. Kumar M, Ghosh M, Ganguli A. Mitogenic response and probiotic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indigenously pickled vegetables and fermented beverages.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012;28:703-711. 

  8. Karlsson FH, Tremaroli V, Nookaew I, Bergstrom G, Behre CJ, Fagerberg B, et al. Gut metagenome in European women with normal, impaired and diabetic glucose control. Nature 2013;498:99-103. 

  9. Qin J, Li Y, Cai Z, Li S, Zhu J, Zhang F, et al. A metagenome-wide association study of gut microbiota in type 2 diabetes. Nature 2012;490:55-60. 

  10. Lin WH, Hwang CF, Chen LW, Tsen HY. Viable counts, characteristic evaluation for commercial lactic acid bacteria products. Food Microbiol. 2006;23:74-81. 

  11. Lonkar P, Harne SD, Kalorey D, Kurkure NV. Isolation,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y, bacterial sensitivity and plasmid profile of Lactobacilli. Asian-Australas J Anim Sci. 2005;18:1336-1342. 

  12. Rial RD. The role of probiotic cultures in the control of gastrointestinal health. J Nutr. 2000;130:396-402. 

  13. Lim SD, Kim KS, Do JR.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of vitamin $K_2$ by Lactobacillus fermentum LC272 isolated from raw milk. Korean J Food Sci Anim Resour. 2011;31:513-520. 

  14. Xiao Z, Storms R, Tsang A. A quantitative starch-iodine method for measuring alpha-amylase and glucoamylase activities. Anal Biochem. 2006;351:146-148. 

  15. Si MM, Lou JS, Zhou CX, Shen JN, Wu HH, Yang B, et al. Insulin releasing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Acorus calamus in vitro and in vivo. J Ethnopharmacol. 2010;128:154-159. 

  16. Hammes WP, Hertel C. The genera Lactobacilli and Carnobacterium. In: Dworkin M, Falkow S, Rosenberg E, Schleifer KH, Stackebrandt E, editors. The Prokaryotes. 3nd ed. Vol. 4. New York, NY: Springer-Verlag; 2006. p. 320-403. 

  17. Gilliland SE, Walker DK. Factors to consider when selecting a cultur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s a dietary adjunct to produce a hypocholesterolemic effect in humans. J Dairy Sci. 1990;73:905-911. 

  18. Clark PA, Cotton LN, Martin JH. Selection of bifidobacteria for use as dietary adjuncts in cultured dairy foods: II-Tolerance to simulated pH of human stomachs. Cult Dairy Prod J. 1993;28:11-14. 

  19. Gilliand SE, Speck ML. Deconjugation of bile acids by intestinal lactobacilli. Appl Environ Micobiol. 1977;33:15-18. 

  20. Kim SJ, Cho SY, Kim SH, Song OJ, Shin IS, Cha DS, et al. Effect of microencapsulation on viability and other characteristics in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43121. LWT-Food Sci Technol. 2008;41:493-500. 

  21. Charteris WP, Kelly PM, Morelli L. Collins JK. Gradient diffusion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of potentially probiotic lactobacilli. J Food Prot. 2001;64:2007-2014. 

  22. Mathur S, Singh R. Antibiotic resistance in food lactic acid bacteria: a review. Int J Food Microbiol. 2005;105:281-295. 

  23. Borriello SP, Hammes WP, Holzapfel W, Marteau P, Schrezenmeir J, Vaara M, et al. Safety of probiotics that contain Lactobacillus or Bifidobacteria. Clin Infect Dis. 2003;36:775-780. 

  24. Kumar V, Sinha AK, Makkar HP, de Boeck G, Becker K. Dietary roles of non-starch polysaccharides in human nutrition: a review. Crit Rev Food Sci Nutr. 2012;52:899-935. 

  25. Saarela M, Mogensen G, Fonden R, Matto J, Mattila-Sandholm T. Probiotic bacteria: safety, functional and technological properties. J Biotechnol. 2000;84:197-215. 

  26. Gilliland SE, Staley TE, Bush LJ. Importance of bile toleranc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used as a dietary adjunct. J Dairy Sci. 1984; 67:3045-3051. 

  27. Booth IR. Regulation of cytoplasmic pH in bacteria. Microbiol Rev. 1985;49:359-378. 

  28. Mcdonald LC, Fleming HP, Hassan HM. Acid tolerance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Appl Environ Microbial. 1990;56:2120-2124. 

  29. Erkkila S, Petaja E. Screening of commercial meat starter cultures at low pH and in the presence of bile salts for potential probiotic use. Meat Sci. 2000;55:279-300. 

  30. Pennacchia C, Ercolini D, Blaiotta G, Pepe O, Mauriello G, Villani F. Selection of Lactobacillus strains from fermented sausages for their potential use as probiotics. Meat Sci. 2004;67:309-317. 

  31. Jacobsen CN, Nielsen VR, Hayford AE, Moller PL, Michaelsen KF, Paerregaard A, et al. Screening of probiotic activities of forty-seven strains of Lactobacillus spp. by in vitro techniques and evaluation of the colonization ability of five selected strains in humans. Appl Environ Microbiol. 1999;65:4949-4956. 

  32. Larsen AG, Vogensen FK, Josephsen J. Antimicrob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sour doughs: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varicin A, a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bavaricus MI401. J Appl Bacteriol. 1993;75: 113-122. 

  33. Daeschel MA. Antimicrobial substances from lactic acid bacteria for use as food preservatives. J Food Technol. 1989;43:164-167. 

  34. Havenaar R, Brink BT, Veld JHJI. Selection of strains for probiotic use. In: Fuller R. editor, Probiotics, London: Chapman & Hall; 1992. p. 209-224. 

  35. O'Halloran S, Feeney M, Morrissey D, Murphy L, Thornton G, Shanahan F, et al. Adhesion of potential probiotic bacteria to human epithelial cell lines. In: Functional foods: Designer foods for the future; 1997; Cork, Ireland. p. 185-189. 

  36. Gopal PK, Prasad J, Smart J, Gill HS. In vitro adherence properties of Lactobacillus rhamnosus DR20 and Bifidobacterium lactis DR10 strains and their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an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Int J Food Microbiol. 2001; 67:207-2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