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백(Egg White)에서 추출한 리소좀 추출물(LOE)의 미백 효능 및 피부장벽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Whitening Efficacy and Skin Barrier by Lysosome-related Organelle Extract (LOE) from Egg White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5 no.4, 2019년, pp.389 - 397  

최다희 (세명대학교 화장품뷰티생명공학부) ,  전경찬 (전북대학교 화학공학부) ,  윤지희 (전북대학교 화학공학부) ,  민지호 (전북대학교 화학공학부) ,  박시준 ((주)에이씨티 기술연구소) ,  김정수 ((주)에이씨티 기술연구소) ,  황이택 (한국세라믹기술원) ,  황형서 (세명대학교 화장품뷰티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리소좀(lysosome)진핵세포에서 에너지 대사 및 세포 내 소화 작용에 관여하는 세포 소기관으로 protease, nuclease, glycosidase, lipase, phosphatase 들이 다수 존재한다. 우리는 선행 연구결과들을 통해 난백 리소좀의 멜라닌 색소 탈색능을 보고하였다[8]. 그러나 B16F10 melanocyte 세포주에서 난백 리소좀에 의한 멜라닌 함량 변화 및 피부장벽 조절 연구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는 계란 난백(egg white)으로부터 추출한 lysosome-related organelle extract (LOE)에 의한 세포 내 멜라닌 함량 변화 및 피부장벽 강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LOE의 미백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B16F10 세포주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B16F10 세포주에서 LOE에 의한 세포독성은 0에서 20 mg/mL 농도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나, 40 mg/mL 부터 세포독성이 관찰되어 이후 모든 실험에서 최대 농도값을 20 mg/mL로 설정하였다. 먼저 LOE를 이용한 melanin contents assay 결과, 음성 대조군인 α-MSH 처리군 대비 LOE 처리군 5, 10, 20 mg/mL 농도에서 61.5 ± 4.0%, 61.4 ± 7.3%, 58.3 ± 8.3%로 세포 내 멜라닌 함량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20 mg/mL 농도 조건에서 MITF 발현 억제도 관찰하였다. LOE의 피부 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각질형성세포주(HaCaT)를 이용하여 TEER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assay를 수행한 결과, LOE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TEER 저항값이 증가하여 LOE가 피부장벽 강화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부 염증 유발을 위한 TNF-α 처리조건에서도 LOE는 TEER 저항값을 증가시켜 염증 유발 조건에서도 LOE에 의해 피부장벽이 정상적으로 회복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cell migration assay를 통해 LOE에 의한 세포이동 촉진 효과를 관찰한 결과, LOE는 세포분열 및 세포이동을 촉진시켰다. 위 결과들을 통해 LOE는 미백 기능 뿐 아니라 피부재생 및 피부장벽 강화에도 효과를 나타내는 소재이며, 효소안정화 및 제형화 기술이 접목된다면 향후 새로운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도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ysosomes are cellular organelles involved in energy metabolism and intracellular digestion in eukaryotic cells, including protease, nuclease, glycosidase, lipase, and phosphatase. Our previous studies have confirmed that egg white lysosomes had melanin decolorization and reduction activity. However...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는 선행연구를 통해 계란 난백의 리소좀 추출물이 멜라닌 색소의 분해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그러나 멜라닌 생성 억제 및 피부재생, 피부장벽 강화 등의 효능은 거의 알려지지 않아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먼저 마우스 흑색 종 세포인 B16F10 세포에서 LOE에 의한 세포 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CCK-8 assay를 진행하였다.
  • 계란 난백의 리소좀은 protease, nuclease, glycosidase, lipase, phosphatase 등을 가지고 있으며, 난백 리소좀에서 추출한 효소복합체(LOE)의 멜라닌 분해 효과 등의 보고는 있었으나 세포 수준에서의 멜라닌 합성억제 및 피부 장벽기능의 강화에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7-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란 난백에서 분리한 리소좀으로 부터 LOE를 추출하였고, melanin contents assay를 통해 멜라닌 합성 억제에 의한 미백효능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피부장벽 강화 및 세포 이동 촉진 효과를 통해 신규 화장품 소재로써의 개발 가능성을 규명하였다. 먼저 미백효능을 검증하기 위해 B16F10 세포주를 사용하여 α-MSH 단독처리군과 α-MSH (200 nM)과 LOE 동시 처리군에서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 그러나 기존 화학적 미백 소재들은 오랜 기간 사용에 따른 피부 발진, 백반증, 색소이상 등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하고, 피부 장벽 의 손상을 유발시킨다[1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미백 화학 소재가 가지고 있는 부작용을 개선하기 위해 B16F10 세포를 이용하여 난백 리소좀의 미백기능과 피부재생 및 피부장벽 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최근 리소좀과 세포노화 억제의 연관성에 대해 vATPase 효소에 의한 리소좀 활성화가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증진시켜 세포 재생 및 기능 회복에 관여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20]. 따라서 우리는 리소좀의 보다 정확한 미백 및 피부재생 활성연구를 위해 피부장벽 및 세포이동 촉진에 대한 추가 연구계획을 수립하였고, 최종적으로 천연물 유래 물질인 LOE 소재를 미백 화장품 조성물에 적용함으로써 높은 기능을 나타내는 미백화장품 원료로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이러한 천연물 유래효소의 소재화에 있어 효소 안정화 기술 개발은 필수적이다.
  • 또한 우리는 염증반응 유발인자인 TNF-α를 처리하여 피부염증을 유발한 후 LOE에 의한 TEER 측정값의 변화를 관찰하여 염증억제 및 피부장벽 강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핵세포 내 소기관인 리소좀(lysosome)의 내부 특성은 무엇인가? 진핵세포 내 소기관인 리소좀(lysosome)은 골지체로부터 나오는 단일 막 구조의 작은 입자들로 진핵세포 내 핵산, 지방, 단백질, 다당류 등을 분해하는 다양한 가수분해효소가 존재한다. 이 내부는 인체 피부와 유사하게 pH 4.0∼5.0 약산성의 특징을 나타내며 효소들 또한 약산성 조건에서 최적화된 활성을 보인다[1,2]. 리소좀에는 여러 종류의 가수분해 효소인 protease, nuclease, glycosidase, lipase, phosphatase등이 존재한다.
리소좀의 물질 분해 단계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이러한 효소들은 조면 소포체에서 합성되어 골지체를 거쳐 골지체의 트렌스면에 운반되고, 형질막이 생성되면서 수송소포를 통해서 방출한 후 분해한다. 리소좀의 물질 분해 단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 세포 내 이입(endocytosis) 작용 및 세포 근처에 존재하는 이물질 또는 세균을 세포 내로 흡입하는 식세포 작용(phagocytosis) 단계이다. 둘째, 자식작용(autophagy)을 통해 자기 소화과정에서 나오는 물질을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단계이다[3-6]. 따라서 최근 보고에서 리소좀 내 단일 단백질이 아닌 리소좀 전체를 그대로 추출한 후 멜라닌 탈색 및 함량 감소를 관찰하였을 뿐 아니라 세균의 활성 저해, 세포노화 억제, 항암 활성 등도 보고되었다[7-9].
리소좀이란 무엇인가? 리소좀(lysosome)은 진핵세포에서 에너지 대사 및 세포 내 소화 작용에 관여하는 세포 소기관으로 protease, nuclease, glycosidase, lipase, phosphatase 들이 다수 존재한다. 우리는 선행 연구결과들을 통해 난백 리소좀의 멜라닌 색소 탈색능을 보고하였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 Ballabio, The awesome lysosome, EMBO Mol. Med., 8(2), 73 (2016). 

  2. P. Saftig, J. Klumperman, Lysosome biogenesis and lysosomal membrane proteins: trafficking meets function, Nat. Rev. Mol. Cell Biol., 10(9), 623 (2009). 

  3. C. Settembre, C. Di Malta, V. A. Polito, M. G. Arencibia, F. Vetrini, S. Erdin, S. U. Erdin, T. Huynh, D. Medina, P. Colella, M. Sardiello, D. C. Rubinsztein, and A. Ballabio, TFEB links autophagy to lysosomal biogenesis, Science., 332(6036), 1429 (2011). 

  4. G. Kroemer, M. Jaattela, Lysosomes and autophagy in cell death control, Nat. Rev. Cancer, 5(11), 886 (2005). 

  5. H. Zhu, J. Fan, Q. Xu, H. Li, J. Wang, P. Gao, and X. Peng, Imaging of lysosomal pH changes with a fluorescent sensor containing a novel lysosome-locating group, Chem. Commun., 48(96), 11766 (2012). 

  6. C. J. Galloway, G. E. Dean, M. Marsh, G. Rudnick, and I. Mellman, Acidification of macrophage and fibroblast endocytic vesicles in vitro, Proc. Natl. Acad. Sci U. S. A.., 80(11), 3334 (1983). 

  7. J. H. Yoon, Y. H. Kim, and J. H. Min, Evaluation of in vitro function by subcellular distribution of lysosomal and peroxisomal protein in Saccharomyces cerevisiae, J. Nanosci. Nanotechnol, 17(1), 244 (2017). 

  8. J. H. Yoon, Y. H. Kim, and J. Y. Ahn, H. C. Lee, S. J. Oh, B. W. Chung, and J. H. Min, Melanin reduction by peroxidase activity in lysosome-related organelle extracts from hen egg whites, HeLa cell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Mol. Cell Toxicol., 11(4), 441 (2015). 

  9. J. H. Yoon, J. M. Park, K. J. Kim, Y. H. Kim, and J. H. Min,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cell organelles, lysosomes, isolated from egg white, J. Microbiol. Biotechnol., 19(11), 1364 (2009). 

  10. P. Aroca, K. Urabe, T. Kobayashi, K. Tsukamoto, and V. J. Hearing, Melanin biosynthesis patterns following hormonal stimulation, J. Biol. Chem., 268(34), 25650 (1993). 

  11. C. Bertolotto, R. Busca, P. Abbe, K. Bille, E. Aberdam, J. P. Ortonne, and R. Ballotti, Different cis-acting elements ar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TRP1 and TRP2 promoter activities by cyclic AMP: pivotal role of M boxes (GTCATGTGCT) and of microphthalmia, Mol. Cell. Biol., 18(2), 694 (1998). 

  12. S. A. D'Mello, G. J. Finlay, B. C. Baguley, and M. E. Askarian-Amiri, Signaling pathways in melanogenesis, Int. J. Mol. Sci, 17(7), 1144 (2016). 

  13. J. A. Mackintosh, The antimicrobial properties of melanocytes, melanosomes and melanin and the evolution of black skin, J. Theor. Biol., 211(2), 101 (2001). 

  14. K. Van Den Bossche, J. M. Naeyaert, and J. M. Lambert, The quest for the mechanism of melanin transfer, Traffic, 7(7), 769 (2006). 

  15. M. Brenner, V. J. Hearing, The protective role of melanin against UV damage in human skin, Photochem. Photobiol., 84(3), 539 (2008). 

  16. Y. Yamaguchi, J. Z. Beer, and V. J. Hearing, Melanin mediated apoptosis of epidermal cells damaged by ultraviolet radiation: factors influencing the incidence of skin cancer, Arch. Dermatol. Res., 300(S1), 43 (2008). 

  17. A. V. Rawlings, C. R. Harding, Moisturization and skin barrier function, Dermatol. Ther., 17(S1), 43 (2004). 

  18. G. R. Mokhlis, B. A. Matis, M. A. Cochran, and G. J. Eckert, A clinical evaluation of carbamide peroxide and hydrogen peroxide whitening agents during daytime use, J. Am. Dent. Assoc., 131(9), 1269 (2000). 

  19. U. K. Cho, J. H. Choi, and H. S. Hwang, Deoxynivalenol impair skin barrier function through the down regulation of filaggrin and claudin 1/8 in HaCaT keratinocyte, Biotechnol. Bioprocess Eng., 22(6), 693 (2017). 

  20. H. T. Kang, J. T. Park, K. Choi, Y. Kim, H. J. C. Choi, C. W. Jung, Y. S. Lee, S. C. Park, Chemical screening identifies ATM as a target for alleviating senescence, Nat. Chem. Biol., 13(6), 616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