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글판 Children Participation Questionnaire(K-CPQ)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Children Participation Questionnair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3, 2019년, pp.163 - 170  

고유정 (한영대학교 작업치료과) ,  고수정 (제주한라대학교 작업치료과) ,  채수경 (제주한라대학교 작업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299명을 대상으로 K-CPQ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여 국내 발달장애아동의 참여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임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K-CPQ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alpha}$값을 구하고 검사-재검사 신뢰도검사를 위해 Pearson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K-CPQ의 각 영역에서 내적일치도(${\alpha}=.81{\sim}.90$)는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보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검사에서는 Pearson 상관계수(r= .807~.843)가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K-CPQ의 판별타당도의 검증을 위해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그룹의 각 영역을 비교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t=2.32~5.18)를 보였다(p<.05~p<.01). K-CPQ의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 K-SMS와 K-SFA의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 .817, r=.743)를 보였다(p<.01). 본 연구를 통해, K-CPQ가 신뢰도 및 타당도를 갖춘 평가도구임을 확인하였으며, 앞으로 K-CPQ의 다각적인 연구로 장애아동의 사회참여와 통합을 위해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평가도구로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CPQ in 299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nd non-disabled children to prove their level of participation in Korea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K-CPQ, Cronbach...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Rosengberg, Jarus & Bartrk[12]는 학령 전 유아들과 학령기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차례로 연구를 진행하여 CPQ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러나 국내에서 CPQ에 대한 연구가 없어, 개발자인 Rosengberg교수에게 CPQ에 대한 번안과 국내에서의 CPQ사용에 대한 사용을 허락받아 국내에서의 한글판 CPQ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 연구를 하고자 한다. CPQ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입증함으로써 발달장애아동의 참여에 대한 평가의 기초적 자료로써 유용되어지길 기대한다.
  •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299명을 대상으로 한글판 CPQ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여 국내 발달장애아동의 참여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입증하고자 하였다. 한글판 CPQ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내적일치도 Cronbach α값을 구하고 검사-재검사 신뢰도검증을 위해 Pearson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 CPQ는 장애아동의 환경에의 참여 수준을 평가하도록 고안된 평가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번안과정을 거친 한글판 CPQ의 최종본을 사용하여 229명의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글판 CPQ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한글판 CPQ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사를 분석하였는데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 한글판 CPQ의 신뢰도의 결과를 지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PQ란? CPQ는 장애아동의 환경에의 참여 수준을 평가하도록 고안된 평가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번안과정을 거친 한글판 CPQ의 최종본을 사용하여 229명의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글판 CPQ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참여(participation)는 언제부터 강조되기 시작하였나? 참여(participation)는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가 국제 기능·장애·건강 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를 제시하면서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1]. 아동의 발달과정에서 참여는 아동에게도 중요하고도 필요한 영역으로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또래집단과 관계를 형성하고, 사회기술과 능력을 향상시키고, 신체적 건강성을 성취한다[2].
Children Participation Questionnaire(CPQ)는 어떤 원리인가? 현재 장애아동의 이와 같은 참여 측정에 대한 욕구로 개발된 도구로 Rosengberg, Jarus & Bartrk[12]이 개발한 Children Participation Questionnaire(CPQ)는 아동의 부모가 작성하는 설문지로 일상생활활동,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놀이, 여가, 사회활동참여 영역에서의 참여 정도를 측정한다. 아동이 참여하는 각 활동영역에 대해 부모는 참여의 다양성, 참여 강도, 아동의 자립 수준, 아동의 즐거움 및 만족에 대해 보고한다. 각각의 영역은 기준 점수가 제시되어 일반적 참여, 참여제한의 가능, 참여의 제한으로 분류된다. Rosengberg, Jarus & Bartrk[12]는 학령 전 유아들과 학령기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차례로 연구를 진행하여 CPQ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Geneva, Switzerland: Author, 2001. 

  2. M. Law and G. King, "Participation! Every child's goa," Today's Kids in Motion, Vol.1, pp.10-12, 2000. 

  3. M. K. Bult, O. Verschuren, M. j. Jongmans, E. Lindeman, and M. Ketelaar, "What influence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f children and youth with physical disabilities? A systematic review,"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Vol.32, pp.1521-1529, 2011. 

  4. D. Edwards and C. Christiansen, "Occupational development. In: Christiansen C, Baum C, Bass-Haugen, editors. Occupational therapy: performance, participation, and well being," 3rd ed. Thorofare, NJ: Slack, pp.43-63, 2005. 

  5. G. King, M. Law, S. King, P. Rosenbaum, M. Kertoy, and N. Young, "A conceptual model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recreation and leisure particip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in pediatrics, Vol.23, pp.63-90, 2003. 

  6. D. Lollar and R. Simeonsson, "Diagnosis to function: classification for children and youth," Journal of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Pediatrics, Vol.26, pp.323-330, 2005. 

  7. W. Coster and M. A. Khetani, "Measuring particip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sues and challenges," Disabillity Rehabilitation, Vol.30, pp.639-648, 2008. 

  8. I. C. Eyssen, M. P. Steultjens, J. Dekker, and C. B. Terwee, "A systematic review of instruments assessing participation: Challenges in defining participa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92, pp.983-997, 2011. 

  9. M. Levasseur, J. Desrosiers, and D. S. Tribble, "Comparing the disability creation process an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model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74, No.3, pp.233-242, 2007. 

  10. K. Himmelmann, E. Beckung, G. Hagberg, and P. Uvebrant, "Gross and fine motor function and accompanying impairments in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Vol.48, No.6, pp.417-423, 2006. 

  11. V. McManus, P. Corcoran, and I. Perry, "Participation in everyday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in pre-teenage children living with cerebral palsy in South West Ireland," BMC Pediatrics, Vol.8, No.1, pp.1-10, 2008. 

  12. L. Rosenberg, T. Jarus, and O. Bart,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Children Paricipation Questionnaire(CPQ),"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Vol.32, No.20, pp.1633-1644, 2010. 

  13. R. Forsyth and S. Jarvis, "Participation in childhood," Child Care Health Development, Vol.28, pp.277-279, 2002. 

  14. W. Coster, T. Deeney, J. Haltiwanger, and S. Haley, School function assessment, user's manual, San Antonio, TX: Therapy Skill Builders, 1998. 

  15. G. King, M. Law, and S. King, Children's assessment of participation and enjoyment, Hamilton, CanChild Center for Childhood Disability Research, 2002. 

  16. L. Noreau, C. Lepage, L. Boissiere, F. P. Fougeyrollas, M. Jean, D. Gilbert, and N. Line, "Measuring participation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ing the assessment of life habits,"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Vol.49, pp.666-671, 2007. 

  17. L. Rosenberg and O. Bart,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Child Participation Questionnaire-School(CPQ-School)," The Israeli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24, pp.70-87, 2015. 

  18. 김승국, 김옥기, 사회성숙도검사, 중앙적성출판사, 1985. 

  19. 신예나, 박수현, 이지연, 박지혁, "한글판 School Function Assessment (SFA)의 타당도 및 신뢰 도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 제22권, 제4호, pp.27-37, 2014. 

  20. W. J. Coster, M. C. Mancinin, and L. Ludlow, "Factor Structure of the School Function Assessment," Education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59, 1999.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