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관련 연구에 대한 융합적 고찰
Convergence Study of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f Nurse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3, 2019년, pp.146 - 151  

문혜경 (호서대학교 간호학과) ,  정미란 (백석대학교 간호학과) ,  노원정 (가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관련 연구의 동향을 고찰하고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였다. 선행문헌고찰을 위하여 국내 3곳, 국외 1곳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간호사',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nurse', 'stress', 'self-efficacy'를 주요 검색어로 검색하였다. 총 18편의 논문이 대상 문헌으로 선정되었다. 이중 9편의 연구에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도구의 선택에 있어 번안자에 따라 문항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어 동일한 도구를 사용한 다른 논문들과의 비교 분석이 어려웠다. 또한, 18편 논문의 초록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였다. 출현 빈도수가 가장 높은 단어는 직무스트레스였고, 이를 기준으로 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출현 빈도수가 높은 주요어는 자기효능감, 의료기관, 상관성이었다. 해당 주요어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한국형 도구 개발을 통한 영향요인 탐색 연구 수행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elf-efficacy based on the related research review and text network analysis. For the literature review, we performed the search process at three domestic and one foreign database using key words, 'nurse', 'stress', 'self-effic...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문헌 고찰 및 주요 키워드 분석을 통하여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을 연구한 문헌들의 각 개념을 측정한 도구와 관련 변수별 분석으로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영향을 밝히고, 이를 기반으로 자기효능감 강화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과 관련된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하여,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을 연구한 선행 문헌의 특성을 도구와 변수의 유형별로 분석하여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탐색하고, 대상 논문의 초록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핵심키워드와 주제를 탐색하는이차 문헌분석 연구이다.
  • 이를 통해 융합적인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학문 동향 분석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고 있다[19, 20].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문헌 고찰 및 주요 키워드 분석을 통하여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을 연구한 문헌들의 각 개념을 측정한 도구와 관련 변수별 분석으로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영향을 밝히고, 이를 기반으로 자기효능감 강화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어떠한 효과를 내는가?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적절하게 해결되지 못하면 우울감과 소진 등으로 인하여 이직과 같은 현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여러 연구에서 부정적 영향에 대해 보고하였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우울을 수반하여 복합적인 신체적, 심리적 증상을 나타내고 간호의 질 저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동료 간호사와 조직의 생산성에 부정적 영향을 끼쳐 이에 대한 대처 방안이 요구된다[5,6].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소진은 이직으로 이어져 2016년 한해 평균 이직률이 12.
연구에 사용한 논문들의 초록에서 추출해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또한, 18편 논문의 초록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였다. 출현 빈도수가 가장 높은 단어는 직무스트레스였고, 이를 기준으로 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출현 빈도수가 높은 주요어는 자기효능감, 의료기관, 상관성이었다. 해당 주요어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한국형 도구 개발을 통한 영향요인 탐색 연구 수행을 제언한다.
자기효능감은 무엇인가?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개인 차원의 해결방법으로 긍정심리 프로그램 및 마음 챙김 등 다양한 효능감증진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었다[10,11], 자기효능감은 목표한 행동을 수행하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믿음으로, 최근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심리적 대처기전 중의 하나로대두되고 있다[12]. 또한, 자기효능감은 행동적 변화를중재하는 기제로, 자신의 경험뿐만 아니라 타인의 간접경험에 의해서도 효능감이 증진되어 현재뿐만 아니라미래의 행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 K. Park. (2014). The study on the status of the nurse activity. Seoul: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1996). Stress at work, world labour reports. Geneva: International Labour Office. 

  3. H. Y. Lim &, Y. C. Cho. (2018). Effects of Job Stress, Fatigue,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6), 264-274. 

  4. J. J. Cho. (2013). Stress and disease: evidence based review. Journal of Korean Medicine Association, 56(6), 460-461. 

  5. S. J. Jeong. (2009). The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types, interpersonal relations and depression for nurse in hospital setting.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14(1), 131-145. 

  6. K. J. Choi. (2007). The factors that affect burnout of nurses.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7.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5). 2015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 placement. Seoul. 

  8. G. J Lee & S. W. Hwang. (2015). Analysis of Reemployment Status of Nurses Participated in Reemployment Support Program. Journal of Korea Contents Society, 15(5), 386-402. 

  9. M. J. Lee. (2015). Job Stress and Stress Management of Shift Working Nurses. Doctoral dissertation. Yeungnam, Daegu. 

  10. Y. J. Jeong, S. Min, Y. J. Ha, E. A. Kim, & H. J. Na. (2010).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y program on the sense of purpose, self-efficacy of adolescences.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10(3), 398-411. 

  11. Y. R. Yeong & K. B. Choi. (2013), The Effect of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s on Nursing College Students'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elf-efficac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9(2), 104-113. 

  12. D. Duggleby, D. Cooper, & K. Penz. (2009). Hope, self-efficacy, spiritual wellbeing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11), 2376-2385. 

  13. D. Y. Lee. (1997).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Children's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14. A. Bandur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15. A. Bandur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6. N. H. Lee. (201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of Psychiatric Nurses, Job Stress and Burnout. Health & Nursing, 23(2), 47-59. 

  17. Y. S. Bong, H. S. Soh, & H. S. Yoo. (200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5(3), 425-433. 

  18. K. H. Lee & J. S. Song. (2010).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Self-Efficacy and Job Stress of Nurses: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6(1), 17-25. 

  19. Y. C. Choi & S. J. Park (2011).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Korean Administration: Application of Network Text Analysis Method.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5(1), 123-139. 

  20. Y. Lee, J. Kang & Noh. W. (2019). Research Trends Review of Undergraduates'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to Develop the Entrepreneurship Program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2), 148-154. 

  21. M. Sherer, J. E. Maddux, B. Mercandante, S. Prentice-Dunn, B. Jacobs, & R. W. Rogers.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22. M. O. Gu & M. J. Kim. (1984).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e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Journal of Korea Academy of Nursing, 14(2), 28-37. 

  23. S. J. Chang, S. B. Koh, D. Kang, S. A. Kim, M. G. Kang, K & C. G. Lee, et al. (2005).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4), 297-317. 

  24. A. Y. Kim & J. E. Cha. (2003). Multi-level analysis of the effects of teacher-efficacy and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on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2), 25-43. 

  25. J. W. Lee. (2014). Influences of job stress, coping, self-efficacy on burnou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6(5), 1003-1012. 

  26. M. Y. Han, et al. (2014).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spiritual well-being, and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 21-28. 

  27. E. Y. Lee & K. H. Shon. (2015).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with job stress in nurs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3), 87-95. 

  28. F. N. Silva, D. R. Amancio, M. Bardosova, L. Costa & O. Jr. Oliveira. (2016). Using network science and text analytics to produce surveys in a scientific topic. Journal of Informetrics, 10(2), 487-502. 

  29. W. J. Lee & T. G. Kim. (2019).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in the Dyslexia and Learning Disability Trough a Keywor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1), 91-98. 

  30. S. Y. Bae & S. H. Kim. (2018). Analysis of Convergent Influence of Organizational Justice, Self Esteem and Self Efficacy on Occupational Stress among Some Regional General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5), 309-3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