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녀대학생의 한복대여행태 및 한복대여의도 영향요인
College Students' Hanbok Rental Behaviors and Factors Affecting Their Hanbok Rental Intention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23 no.1, 2019년, pp.74 - 88  

박상희 (배화여자대학교 패션산업과) ,  이미영 (인하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university students' Hanbok rental behavior and to examin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intention to rent Hanbok.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final 202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or data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는 한복 대여시 고려하는 속성과 주로 사용하는 정보원에 대해 살펴보았다. 응답자들은 한복 대여할 때 한복의 디자인(M=4.
  • 또한, 기존 연구들이 한복 착용 및 구매실태(Choi & Cho, 1989; Choi, Chung, & Kang, 1998; Kwon, Choi, & Lee, 1998), 생활한복의 구매실태 및 구매행동(Cho, Kim, & Lee 1998; Kim, Cho, & Chung, 1999; Lee & Rha, 2001; Lim & Ryou, 2001)에 관한 내용이 중심이어서, 한복 소비자의 대여행동에 대한 연구(Kim, 2002)는 다른 분야에 비해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복에 대한 젊은 세대의 관심도가 재조명되고 있는 시점에, 한복 착용이 크게 성장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복 대여행동 및 대여의도 영향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의 대여한복 소비자의 욕구를 더 정확히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복대여업계에서 마케팅 전략을 효율적으로 수립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복 대여 행동 및 대여 의도 영향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복 대여 행동 및 대여의도 영향요인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대학생들의 대여한복 소비자의 욕구를 더 정확히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복 대여 행동에 소비가치와 전통에 대한 인식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으며, 한복 대여 행동으로는 대여 시 추구 혜택, 고려하는 제품속성과 정보탐색을 위한 정보원을 살펴보았다.
  • 반면, 불만족 요인으로는 가격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색상 선택의 폭이 작고 다른 옷과의 코디에 어려움이 많은 점도 주요 불만족 요인으로 밝혀졌다. 선행연구에서 한복 혹은 생활한복 구매할 때 고려하는 속성에 관한 연구는 있으나, 한복 대여할 때 고려하는 제품 속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한복을 대여할 때 어떠한 속성을 고려하는가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혜택의 정의는 무엇인가? 혜택이란 제품사용과 관련하여 소비자들이 얻을 것으로 인식하는 바람직한 속성으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본연적인 기능을 받을 수 있는 직접적이고 눈에 띄는 기능적 혜택뿐 아니라, 소비자가 특정 제품이나 브랜드를 구매하고 이용하는과정에서 받는 감정이나 느낌과 같은 정서적 혜택, 특정 제품이나 브랜드를 구매하거나 이용함으로써 소비자가 자신의이미지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표현적 혜택까지 포함한다(Aaker, 1991; Peter & Olson, 2010). 선행연구에 따르면 의복구매 시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혜택으로는 아름다움, 기능, 품질, 경제성, 상징성 등이 있고, 이러한 추구 혜택은 소비자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으로 (Hong, 2001; Lim, 1998), 추구혜택과 같은 상위수준의 개념은 상품속성 추구 등과 같은 하위수준 개념의 중요 동기로 작용한다 (Hong, 2001).
한놀족의 등장과 한복을 착용하고 즐기는 모습이 증가하며 생긴 산업적 변화는 무엇인가? 이러한 유행의 영향으로 백화점에서도 패션한복 브랜드의 팝업스토어를 운영하거나 한복박람회를 개최하고 할인점에서는 자체 패션한복 브랜드를 출시하는 등 유통업계에서도 한복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온라인에서도 한복의 매출이 많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ark, 2017). 가장 눈에 두드러지는 변화는 궁이나 전통마을 주변에 한복 대여점의 수가 많이 증가한 것이다.
의복 구매 시 발생하는 추구 혜택의 특징은 무엇인가? 혜택이란 제품사용과 관련하여 소비자들이 얻을 것으로 인식하는 바람직한 속성으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본연적인 기능을 받을 수 있는 직접적이고 눈에 띄는 기능적 혜택뿐 아니라, 소비자가 특정 제품이나 브랜드를 구매하고 이용하는과정에서 받는 감정이나 느낌과 같은 정서적 혜택, 특정 제품이나 브랜드를 구매하거나 이용함으로써 소비자가 자신의이미지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표현적 혜택까지 포함한다(Aaker, 1991; Peter & Olson, 2010). 선행연구에 따르면 의복구매 시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혜택으로는 아름다움, 기능, 품질, 경제성, 상징성 등이 있고, 이러한 추구 혜택은 소비자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으로 (Hong, 2001; Lim, 1998), 추구혜택과 같은 상위수준의 개념은 상품속성 추구 등과 같은 하위수준 개념의 중요 동기로 작용한다 (Hong,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Aker, D. A. (1991). Managing brand equity: Capi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ame. N.Y.: The Free Press. 

  2. Bae, R., Lee, M., & Kim, E. J. (2016).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Hanbok brand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0(1), 127-141. https://doi.org/10.12940/JFB.2016.20.1.127 

  3. Ban, Y.-J., Kim, N., & Lee, H. J. (20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on clothing lifes to raise youth's awareness of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23(4), 1-17. 

  4. Blackwell, R. D., Miniard, P. W., & Engel, J. F. (2006). Consumer behavior (10th ed.). Mason, OH: Thomson Higher Education 

  5. Cho, H.-S., & Kim, S.-K., Lee, H.-S. (1998). A study on the purchasing behavior of Saenghwal Hanbok.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2), 67-81. 

  6. Choi, E.-Y. (1999). A study on the consumer's purchasing motives toward casual Hanbok - in the areas of Pus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5, 71-83. 

  7. Choi, Y., & Cho, H. (1989). 한복의 구매실태 및 구매요인에 관한 분석연구-서울시내에 거주하는 주부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purchasing status and the factors affecting purchasing of Hanbok - Focused on the Housewive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3, 135-150. 

  8. Choi, S., Chung, I.,-H., & Kang, S.-C. (1998). A study on the wearing and purchasing Hanbok of Korean urban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7, 33-46. 

  9. Choi, I., Lee, M., & Kim, E. (2017).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anbok in SNS proof shot - Focused on the women's Hanb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7(3), 15-30. https://doi.org/10.7233/jksc.2017.67.3.015 

  10. Ghal, J.-H., & Lee, M. (2016). New seniors' information sources, store selection criteria, and sales associates' attributes for clothing: Based on their clothing involvement.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0(3), 89-103. https://doi.org/10.12940/jfb.2016.20.3.89 

  11. Hong, H. (2001). The effect of benefit sought and fashion image on intention of Gal-ot.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9(2), 73-84. 

  12. Hwang, B.-H. (2015). (An) Effect on a consumption behaviors according to a value recognition toward traditional culture : focused on Hanbok, Hanok, and Korean Fo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13. Hwang, E.-S. (2009). Modification of Hanbok design appearing in art works of designer Lee RheeZa.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2(2), 43-60. 

  14. Jeon, H. H. (2017). 한복 유행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 [A different view of Hanbok]. Korean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Retrieved September 21, 2018, from http://kofice.or.kr 

  15. Kahng, H. (1979). Attitudes toward traditional Korean clothing as related to selected social-psychological factor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17(3), 1-11. 

  16. Kim, E. Y. (2018, September 23). 위기의 한복: 고름대신 리본 묶은 퓨전 한복, 한복이 위험하다 [Hanbok on crisis: Ribbon-bound fusion Hanbok, Hanbok, is in danger]. The Chosun Ilbo. Retrieved September 21, 2018, from http://www.chosun.com 

  17. Kim, J.-A. (2002). A study on the selection of a Hanbok rental shop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18. Kim, M. (2016). 한복 비즈니스로 갈아입다 [Change into Hanbok business]. 기업나라 [Business Country], 389, 62-65. 

  19. Kim, Y.-C. (1998). Traditional culture and education: Transmission and education of the culture and the subject-matter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25(1), 90-113. 

  20. Kim, Y. H. (2018).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이용추이 및 이용행태 분석 [Analysis of social network service usage trends and usage behavior]. KISDISTAT REPORT, 18-11. 

  21. Kim, Y.-S. (2003). Perceived risk, satisfaction, and intention on rental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3(7), 29-36. 

  22. Kim, S.-K., Cho, H.-S., & Chung, I.-H. (1999). A study on consumption experience and the consciousness for saenghwal Hanbok(I)-On focus of purchasing, wearing, and unsatisfaction-perceiving.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1), 121-134. 

  23. Kim, J., & Na, H. (2016). ICT 로 진화하는 스마트 렌탈 시장의 미래 [The future of smart rental market evolving with ICT]. Retrieved September 20, 2018, from https://www.digieco.co.kr 

  24. Kim, H., Yang, H.-I., & Lee, E.-J. (2016). The moderating effects of brand famili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of eco-friendly apparel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5(4), 423-434. DOI :10.5934/kjhe.2016.25.4.423 

  25. Korean Literature Critic Association (2006). 문학비평용어 사전 [A dictionary of literary criticism]. Paju: Korean Studies Data Center. 

  26. Kwon., S. A., Choi, J. M., & Lee, E. K. (1998). 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wearing Korean traditional clothes and purchasing factor.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7(1), 129-138. 

  27. Lee, J.-W., & Rha, S.-I. (2001). A study of consumer's value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on the modernized Hanb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1(8), 13-24. 

  28. Lee, M. A. (2010). Comparative study between married and unmarried women on consumption values and clothing benefi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5), 808-818. https://doi.org/10.5850/jksct.2010.34.5.808 

  29. Lee, Y. E. (2018, April 25). 의류렌탈 서비스 줄줄이 사라진다? 살아남은 공유플랫폼 4 [A line of clothing rental plans will disappear. Survived Shared Platform 4]. Single & Simple Life. Retrieved September 21, 2018, from http://www.slist.kr/news/articleView.html?idxno32045 

  30. Lee, Y. J. (2018, April 10), 패션렌탈업 실패...소비자불편 [Fashion rental business failed...Consumer inconvenience]. Women News. Retrieved September 21, 2018, from http://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1093 

  31. Lim, K. B. (1998). S study on the information search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2(1), 61-71. 

  32. Lim, K.-H., & Kang, S.-C. (2001). The study of the present circumstance and the prospect of the renting Korean traditional clothing; the Han-Bok.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4(3), 81-88. 

  33. Lim, Y. J., & Ryou, E. J. (2001). A study of the effective factor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Saenghwal-Hanbok: Focused on the clothing image, benefit sought and perceived risk.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9(6), 123-133. 

  34. Moon, H. K. & Youn, C. R. (2011). Adolescents'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he image association with fashion cultural products of Korean 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1), 51-62. https://doi.org/10.5850/jksct.2011.35.1.051 

  35. Oh, H. J., & Rhee, S. K. (2007). The relation of consumer value variables and clothing information exploration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3), 376-386. https://doi.org/10.5850/jksct.2007.31.3.376 

  36. Park, E.-H., & Ku, Y.-S. (2008). Fashion product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consumption value typology.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7(4), 759-769. https://doi.org/10.5934/KJHE.2008.17.4.759 

  37. Park, S. (2017, March 29). 봄날 맞은 한복업계...'고루한 명절옷'에서'우아한 일상복'으로 탈바꿈 [Hanbok industry that meets spring day...from old holiday clothes to elegant everyday clothes]. ChosunBiz. Retrieved September 20, 2018, from http://biz.chosun.com 

  38. Park, T. H., & Lee, M. H. (2003). Clothing consumption values and consumer satisfaction of buyers at department store and mark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3(7), 83-94. 

  39. Ryou, E. J. (2002). A study on the effect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 on service quality of Internet apparel shopping mal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2(3), 161-169. 

  40. Peter, J. P., & Olson, J. C. (2010). Consumer behavior & marketing strategy (8th international ed.). New York: McGraw-Hill. 

  41. Sheth, J. N., Newman, B. I., & Gross, B. L. (1991). Why we buy what we bu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2), 159-180. 

  42. Shim, J. (2017). A study on the rental Hanbok -Focusing on the market and consumer changes between 2006 and 2016-.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5(3), 153-166. https://doi.org/10.7741/rjcc.2017.25.3.405 

  43. Shim, J.-Y. & Kim, Y.-S. (2004). A study on the benefits sought and the rental intention according to rental clothing experienc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3(4), 599-607. 

  44. Statistics Korea. (2018a). 경제총조사 [Composite economic indexes]. Retrieved September 21, 2018, from http://www.kosis.kr 

  45. Statistics Korea. (2018b). 전국사업체조사 [National corporate survey]. Retrieved September 21, 2018, from http://www.kosis.kr 

  46. Yi, C.-J. (2008). An analysis on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related contents in the sixth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Korea. 

  47. Yoon, Y.-N. (2012).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of the next generation with Korean traditional costume, Hanbok.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5(1), 85-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