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지역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통합서비스 운영 경험
Employees' experiences of integrated services in Healthy Family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Seoul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3 no.4, 2019년, pp.1 - 21  

손서희 (숙명여자대학교 가족자원경영학과) ,  김미영 (숙명여자대학교 가족자원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mployees' experiences of integrated services in Healthy Family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Seou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employees, including managers and heads of Healthy Family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사회에 가족형태의 다변화로 인해 제기되는 필요성은? 한국 사회는 가족형태의 다변화로 인해 가족지원 서비스의 대상과 수요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포괄적이고 보편적인 관점에서 가족정책을 추진하고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 일환으로 가족정책 전달체계의 통합이 대두되었고, 이에 가족지원서비스의 대표적인 전달 체계로서 가족유형에 따라 이원화되어 운영되어온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송혜림 외, 2015; 홍승아 외, 2014) 2014년 전국 9개 기관(서울시 1개소)이 통합서비스 운영기관으로서 시범 운영을 시작하여, 2018년 현재 전국 센터의 68%(152개 소)가 통합서비스 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여성가족부, 2018a).
휴먼서비스 분야에서의 서비스 통합은? 가족지원서비스 전달체계의 통합과 관련해서 우선 휴먼서비스 분야에서의 서비스 통합(service integration)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부터 살펴볼 필요가 있다. 휴먼서비스 분야에서의 서비스 통합은 서비스 대상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공공복지, 교육, 정신보건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의 통합적인 접근과 포괄적이고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 하는 것을 의미한다(김근세·허아랑·김예린, 2014). 강혜규 외(2016) 역시 공적서비스 전달체계의 통합이 이루어진 현장의 모습은 서비스 대상자들이 복합 적인 문제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기관의 협조체계가 잘 갖춰져 있어야 하고 물리적·기능적 통합이 유기적으로 잘 이루어져 있는 것이라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강혜규.박세경.함영진.이정은.김태은.최지선.김보영.Hudson, J., & Wenham, A. (2016). 사회보장부문의 서비스 전달체계 연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 김보영(2018). 통합적 공공 복지전달체계를 위한 조건. 한국사회정책, 25(2),403-428. 

  3. 김근세.허아랑.김예린(2014). 다문화가족지원 센터의 운영과 서비스통합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행정논집, 26(3), 521-552. 

  4. 김정흔(2017). 한국 다문화가족정책 통합에 대한 현장전문가의 인식: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통합을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연구, 10(2), 89-124. 

  5. 박정윤.송혜림.정지영.진미정(2014). 가족정책전달체계 통합의 방향과 방안. (사)가정을 건강하게하는 시민의 모임, 제24차 가족정책포럼 자료집(pp. 1-55).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6. 성미애?송혜림(2008). 사회투자론적 관점에서 본새 정부의 가정정책: 분석과 과제. 한국가족자원 경영학회지, 12(4), 1-14. 

  7. 송혜림.박정윤.진미정.정지영(2015). 가족정책 전달체계 통합 논의에 대한 제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1), 49-71. 

  8. 여성가족부(2018a).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통합서비스 사업안내(I). 

  9. 여성가족부(2018b). 2018년도 건강가정지원센터사업안내. 

  10. 여성가족부(2018c). 2018년도 다문화가족지원사업안내. 

  11. 이승미.송혜림.라휘문.박정윤(2012). 가족복지전달체계 통합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5), 1-15. 

  12. 이진(2015). 사회서비스전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 가족복지전달체계를 중심으로. 충청남도: 충남연구원. 

  13. 최은희.장온정(2017). 지방자치단체 가족지원서비스 전달체계의 효율적 통합방안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2(2), 329-353. 

  14. 홍승아.황정임.김소영.이아름(2014). 가족서비스 전달체계 개편을 위한 통합모델 개발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5. Braun, V., & Clarke, V.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77-101. 

  16. Wade-Berg, J. A., & Robinson-Dooley, W. (2015). Perceptions of collaboration and service integration as strategic alternatives: An examination of social service nonprofit organization in the late 1990s. Journal of Public Management & Social Policy, 20(2), 119-1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