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네트워크 기반의 간이 선박조종 시뮬레이터 개발
Development of the Ship Manoeuvring PC Simulator Based on the Network 원문보기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43 no.6, 2019년, pp.403 - 412  

최원진 (한국해양대학교) ,  김효일 (오사카대학) ,  전승환 (한국해양대학교 항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선박의 조종운동특성은 선종뿐만 아니라 같은 선박이라 할지라도 속도나 흘수에 의해서도 달라진다. 최근에 초대형선박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해양사고 발생 시 막대한 물적, 환경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박조종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IMO는 STCW 95 개정협약서를 통해서 해기사들이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교육을 받도록 강제하고 있다. 그러나 Full Mission Ship Handling Simulator(FMSS)는 고가일 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데에 제한이 많고, PC기반의 시뮬레이터는 서로 다른 사용자가 함께 시뮬레이션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두 사람이 각자의 PC를 이용하여 함께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도록 하여 FMSS와 PC기반의 시뮬레이터가 갖는 단점을 해결하고자 Nomoto 응답모델의 해석 및 수치계산과 레이더 기능 구현, 데이터통신 프로토콜 설계, Graphic User Interface(GUI) 구축 등을 통해 네트워크 기반의 시뮬레이터를 구현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시뮬레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선급, IMO의 선박조종성기준에 따라 시뮬레이션 결과와 한국해양대학교 한바다호의 실선시험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항목별 시험결과를 정리하면 상대오차 범위는 0 ~ 32.1 %, 평균 13.7 % 이었으며, IMO 선박조종성기준을 모두 만족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oeuvring motion of a ship are dependent on the ship type, as well as draft or speed in the same ship.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extra-large vessel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which can cause enormous material and environmental damage in the event of a marine acci...

Keyword

표/그림 (2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기존의 PC 기반 선박조종 시뮬레이터는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지 않아 단독으로 조종 실습을 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FMSS와 PC기반의 시뮬레이터가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기반의 간이 시뮬레이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선박조종 시뮬레이션에서 멀티유저(Multi-user)기능은 큰 의미를 갖는다.
  • (1998)의 연구를 들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개발하고자 하는 시뮬레이터는 조타동작에 따른 선박의 기본적인 조종운동특성을 이해하고, 안전한 항행을 위하여 여러 충돌위험상황에서 선박조종기술, 적절한 조타 시점과 타각을 익히기 위한 것이다.

가설 설정

  • 지금까지의 결과를 기반으로, Nomoto 1차계 응답모델의 각 상수에 K = 0.1 sec-1, T = 10 sec, δ = 20°을 적용하고, 선박의 속력(u)은 10 m/sec로 일정하고, 선박의 초기좌표는 원점(0, 0)이며 진침로(TC)의 초기값은 000 °(N)라고 가정하여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orth-up mode란? North-up mode는 북쪽(000 °)이 레이더화면의 상단 정면을 향하도록 표시해주는 것으로, 식(7)과 같은 벡터계산을 통해서 구할 수 있다.
선박의 조종운동특성은 무엇에 따라 달라지나? 선박의 조종운동특성은 선종 및 크기에 따라 차이가 크며,같은 선박이라 할지라도 속력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특히, 발라스트 항해와 만선 항해의 선박조종운동특성은 확연히 차이가 난다.
FMSS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한 기존 PC 기반의 자립형 시뮬레이터의 한계는? , 1995). 그러나 기존의 PC 기반 선박조종 시뮬레이터는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지 않아 단독으로 조종 실습을 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FMSS와 PC기반의 시뮬레이터가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기반의 간이 시뮬레이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Im(2003), "Automatic Control for Ship Collision Avoidance Support System",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27(4), pp. 375-381. 

  2. IMO(1993), Interim Standards for Ship Manoeuvrability, Resolution A.751(18). 

  3. Jin, G. G.(2009), Numerical Analysis and C Implementation. 

  4. Jung, C. H., Lee, H. K. and Kong, G. Y.(2008), "A Study on the Ship's Performance of T.S. HANBADA(III)",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32(6), pp. 439-445. 

  5. Kim, J. H., Lee, S. K., Lee, S. E. and Bae, C. H.(2008), "A Study of the Depth Control System and the Collision Avoidance System for the Manta-type UUV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32(6), pp. 447-452. 

  6. Korean Register(2009), KR Technical Rules. 

  7. Lee, B. K., Jeong, K. Y. and Kim, J. H.(1998), "A Study on the Automatic Route Tracking Control of Ship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22(6), pp. 920-927. 

  8. Nomoto, K., Taguchi, K., Honda , K. and Hirono, S. (1957), "On the Steering Qualities of Ships", ISP, Vol. 4. 

  9. Shon, K. H.(1998), "On the Mathematical Model for Estimating Manoeuvring Performance of Ship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13(2), pp. 57-73. 

  10. SOLAS(2014), Chapter II-1 / Reg.29 Steering gear,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afety of Life at Sea. 

  11. Son, K. H. and Lee, S. W.(1998), "A Study on Development of PC-based Ship-handling Simulat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4(2), pp. 25-33. 

  12. Song, C, U. and Kim, W. S.(1995), "A Study on ARPA Radar Simulator using PC",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1), pp. 63-82. 

  13. STCW 95(1995), Section A-I/12, Standards governing the use of simulators, IMO. 

  14. Yang, S. R.(2002), "A Simulator Study on Validation of IMO's Ship Manoeuvrability Standard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Yaw-Checking and Course-Keeping Ability", Master's Thesis. 

  15. Yang, W. J., Jun, S. H. and Park, G. K.(1999), "Development of GPS Simulation Tool Kit for Personal Computer",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24(4), pp. 219-226. 

  16. Yeo, D. J. and Rhee, K. P.(2005), "A Study on the Sensitivity Analysis of Submersibles' Manoeuvrability",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42(5), pp. 458-46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