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의 추나요법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Chuna Manual Therapy for 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보기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The Journal of Churna Manual Medicine for Spine & Nerves, v.14 no.2, 2019년, pp.15 - 28  

김미경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한창호 (부산대학교 한의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review controlled clinical trials on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Chuna Manual Therapy for stroke. Methods : By October 7, 2019, three core databases and three domestic databases were searched. Seven major academic journals o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뇌졸중 환자에게 추나요법을 적용 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임상적 유효성 및 안전성에 대해 근거 기반의 통합적 정보를 제공한 연구는 아직 발표된 바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뇌졸중에 대한 추나요법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다룬 임상근거를 확보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그 결과를 요약 제시함으로써 뇌졸중 환자 진료에 추나요법을 고려하는 임상의들이 근거기반의 의사결정을 내리고 해당 분야 연구자들이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이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추나요법을 시행하고 그 효과 및 안전성을 대조군과 비교한 임상연구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 문헌고찰이다. 이 연구의 문헌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를 통해 뇌졸중에 대한 유효성과 안전성에 대한 다룬 임상근거를 포괄적으로 검토 하였다. 다만, 추나요법을“한의사가 손, 신체의 일부 등을 이용하여, 관절, 근육, 인대 등을 조정 교정하여 예방 치료하는 한의수기치료기술 19,20)”로 한정하여, 중국의 TUINA, 일본의 유도정복술, 미국의 정골요법 등과 같이 우리 연구에서 정의한 한정적 추나요법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수기치료를 다룬 연구는 배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추나요법이란? 치료군에게 추나요법을 시행한 연구를 포함하였 다. 여기서 추나요법은“한의사가 손, 신체의 일부 등을 이용하여, 관절, 근육, 인대 등을 조정 교정하 여 예방 치료하는 한의수기치료기술”19)로서 수기 자 극을 통해 경락을 소통시키고 기혈의 운행을 원활하 게 하여 궁극적으로는 장부 및 기혈의 질병 치료를 도모하는  치료법을  의미한다20).  추나요법의  주체, 시술 부위, 시술 방법, 적응증 등이 이러한 정의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이 연구에서 배제하였다.
코크란 비뚤림 위험 평가도구를 사용해 어떻게 비뚤림 위험 평가를 하는가? 최종 선정된 연구들의 방법론적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코크란 비뚤림 위험 평가도구21)를 적용하였다. 무작위배정순서 생성, 배정순서은폐, 대상자 및 연 구자 눈가림, 평가자 눈가림, 불충분한 결과자료, 선택보고의 6개 영역에 대해 비뚤림 위험이 낮음, 높음, 혹은 불분명함으로 표현하였다.
뇌졸중 후유장애가 삶에 미치는 영향은? 뇌졸중 발생률이 감소 추세에 있다고는 하지 만2)  인구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뇌졸중  환자는  꾸 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3). 뇌졸중 후유장애는 뇌졸중 생존자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4), 일상생활 복귀 및 사회 적응을 방해하여5)   사회 경제적 부담을 높인다1). 따라서 많은 뇌졸중 생존자들이 후유장애 관리를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고, 한의학은 주요 대안 중 하나이다6-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atan M, Luft A. Global Burden of Stroke. Semin Neurol. 2018;38(2):208-11. 

  2. Thiele I, Linseisen J, Heier M, Holle R, Kirchberger I, Peters A, et al. Time trends in stroke incidence and in prevalence of risk factors in Southern Germany, 1989 to 2008/09. Sci Rep. 2018;8(1):11981. 

  3. Hong KS, Bang OY, Kang DW, Yu KH, Bae HJ, Lee JS, et al. Stroke statistics in Korea: part I.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a report from the korean stroke society and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 J Stroke. 2013;15(1):2-20. 

  4. Opara JA, Jaracz K. Quality of life of post-stroke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J Med Life. 2010;3(3):216-20. 

  5. Treger I, Shames J, Giaquinto S, Ring H. Return to work in stroke patients. Disabil Rehabil. 2007;29(17):1397-403. 

  6. N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2017 Korean Medicine Use and Herbal Medicine Consumption Survey (round-up), Gyeongsan: NIKOM. 2018:89. 

  7. Liao CC, Lin JG, Tsai CC, Lane HL, Su TC, Wang HH, et al. An investigation of the us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 stroke patients in Taiwan.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2;2012:387164. 

  8. Wells RE, Phillips RS, Schachter SC, McCarthy EP.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e among US adults with common neurological conditions. Dtsch Z Nervenheilkd. 2010;257(11):1822-31.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nforcement Decree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cited 2019 22, Oct];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법령/국민건강보험법%20시행령. 

  10. Kim M, Han C-h. E-mail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clinical practice and activation measures for Korean medicine in stroke care. J Korean Med. 2017;38(3):143-59. 

  11. Bae B, Kwon O. The Effect of Adjusting Leg Length Inequality by Chuna Manual Treatment on The Cerebral Blood Flow in Post-Stroke Hemiplegia. The Journal of East-West Medicine. 2010;35(3):75-84. 

  12. Choi S-P, Eun Y-J, Soh M-G, Cho T-y, Song Y-K, Lim H-H. The Efficacy of Chuna Manual Therapy for Stroke Patients on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Leg Function Balance, and arm Function. J Korean Med Rehabi. 2006;16(4):97-113. 

  13. Kim M-B, Chung S-H, Kim S-S. The Influences of Chuna(shoulder traction) Therapy for Shoulder Pain and Range of Movement in Hemiplegic Patients After Stoke. J Korean Med Rehabi. 2007;17(2):185-98. 

  14. Kwon O-G, Kim M-S, Ahn H-D, Woo C-H. The Efficacy of Sacro-Occipital Technique for Stroke Patients on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Leg Function.Balance. JKCMSN. 2007;2(2):57-68. 

  15. Kwon O-G, Jang W-S, Woo C-H, An H-D. The Efficacy of Adjusting Leg Length Inequality by Chuna Manual Treatment for Post-Stroke Hemiplegia. J Korean Med Rehabi. 2009;19(2):187-202. 

  16. Kim JH, Choi SI, Cho SJ, Her JJ. The Effects of the Muscles Along Meridians Release Therapy on the Function of Upper Limb in Stroke Patients. J East-West Nurs Res. 2003;8(1):63-72. 

  17. Wang M, Liu S, Peng Z, Zhu Y, Feng X, Gu Y, et al. Effect of Tui Na on upper limb spasticity after stroke: a randomized clinical trial. Ann Clin Transl Neurol. 2019;6(4):778-87. 

  18. Yang YJ, Zhang J, Hou Y, Jiang BY, Pan HF, Wang J, et al. Effectiveness and safety of Chinese massage therapy (Tui Na) on post-stroke spasticity: a prospective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017;31(7):904-12.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Guidance for Chuna Manual Therapy Pilot Project. 2017 [cited 2019 22, Oct];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cms/inform/01/__icsFiles/afieldfile/2017/03/10/4Ae9a48rlIIH.pdf 

  20. Korean Society of Chuna Manual Medicine for Spine and Nerves. Textbook of Chuna Manual Medicine. 2.5 ed. Seoul: Korean Society of Chuna Manual Medicine for Spine and Nerves. 2017:33-4. 

  21. Higgins JPT, Altman DG, Gotzsche PC, Ju‥ni P, Moher D, Oxman AD, et al. The Cochrane Collaboration's tool for assessing risk of bias in randomised trials. BMJ. 2011;343:d5928. 

  22. Schunemann H, Brozek J, Guyatt G, Oxman A. GRADE Handbook. Handbook for grading the quality of evidence and the strength of recommendations using the GRADE approach.[updated October 2013]. 2016. 

  23. Zhang X, Liu X-T, Kang D-Y. GRADE in systematic reviews of acupuncture for stroke rehabilitation: recommendations based on high-quality evidence. Sci Rep. 2015;5:16582. 

  24. Lee KB, Lim SH, Kim KH, Kim KJ, Kim YR, Chang WN, et al. Six-month functional recovery of stroke patients: a multi-time-point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Internationale Zeitschrift fur Rehabilitationsforschung. Int J Rehabil Res. 2015;38(2):173-80. 

  25. Friedman PJ. Gait recovery after hemiplegic stroke. Int Disabil Stud. 1990;12(3):119-22. 

  26. Ko Y-S, Park T-Y, Kong J-C, Oh WK, Song Y-S, Shin B-C. The Safety of Cervical Chuna Manipulation; Mechanism, Adverse Reactions and Cases Report. J Korean Med Rehabi. 2006;16(4):83-95. 

  27. Lee S-H, Lee J-L, Kim S-S. Stroke Following Cervical Chuna Treatment by Nonprofessional Therapist : A Case Report. J Korean Med. 2000;21(4):264-70. 

  28. Park KC, Yoon SS, Park JH, Chang D-i, Kim EJ, Choi WS, et al. Three cases of posterior circulation infarction related with cervical manipulation or trauma. J Korean Neurol Assoc. 1997;15(4):858-66. 

  29. Toole JF, Tucker SH. Influence of head position upon cerebral circulation: studies on blood flow in cadavers. Arch Neurol. 1960;2(6):616-23.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