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effects of Daoyin exercise on stroke patients in clinical studies. Methods : In this study, we reviewed 11 electronic databases (CAJ, EMBASE, Cochrane Library, Web of Science, Pubmed, RISS, Dbpia, NDSL, KISTI, KISS, KMBASE) on October 27, 2019. We includ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뇌졸중 환자들에게 도인 운동요법으로 인해 발생된 이상 반응을 기재한 내용이 있는 경우 그 정보를 추출하여 기록하였다.
  • 정도로 근거 수준 높은 임상연구가 발표되지 않았다. 이에 뇌졸중 환자들에게 도인 운동요법을 활용하기 위한 임상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국내외의 RCT들을 체계적 고찰의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 . 이에 따라 재활치료는 환자가 기능적 독립을 하여 사회로의 안정적인 복귀를 하는 것을 목표로 이루어진다5). 기능적 회복은 환자의 노력 여하에 따라 수년까지 계속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뇌졸중에서 상하지의 운동 기능 회복은 발병 후 첫 60일 이내에 일어나며28), 첫 30일 동안 가장 빠르게 나타난다29).
  • 그 중 전문 도인 운동요법은 중추성 마비질환의 재활에 활용하는 도인 운동요법이다4). 이에 본 저자들은 뇌졸중 편마비 환자들에게 도인 운동요법이 움직임 재교육을 통한 한방 재활치료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여 뇌졸중에 도인 운동요법을 적용한 기존 무작위 대조 임상연구를 고찰하여 도인 운동요법의 효과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근거 수준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인법이란 무엇인가? 도인법(導引法)은 전통 한의학 운동 치료로서 환자 스스로 호흡과 함께 능동적 운동을 수행하는 도인 운동법과 시술자가 피동적으로 치료를 하는 도인운동요법으로 나뉜다4). 그 중 전문 도인 운동요법은 중추성 마비질환의 재활에 활용하는 도인 운동요법이다4).
뇌졸중 재활치료의 목표는 무엇인가? 뇌졸중은 기능적 결손을 주소로 하여 환자의 일상생활 기능, 운동 능력, 이동 능력 등에 심각한 장애를 끼치는 질환이다27). 이에 따라 재활치료는 환자가 기능적 독립을 하여 사회로의 안정적인 복귀를 하는 것을 목표로 이루어진다5). 기능적 회복은 환자의 노력 여하에 따라 수년까지 계속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뇌졸중에서 상하지의 운동 기능 회복은 발병 후 첫 60일 이내에 일어나며28), 첫 30일 동안 가장 빠르게 나타난다29).
재활치료가 뇌졸중환자들에게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렇게 뇌졸중 누적 환자수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급성기 치료 이후 재활치료는 생체활력징후가 안정이 되면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시작되도록 권고되고 있다3). 또한, 뇌졸중 환자의 약 70%는 편마비를 주소로 하는 기능장애와 후유증을 동반하기에 재활치료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매우 중요하다4). 뇌졸중 환자들에게 있어 운동기능의 회복은 대뇌의 재구성에 의해 일어나게 되는데, 이는 장기간의 반복 학습에 의해서만 일어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National Medical Center.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7: Statistics of Emergency Medical [Internet]. Seoul (KR): National Medical Center.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411&tblIdDT_41104_221&vw_cdMT_ZTITLE&list_idD1_41101_02&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2. Statistics Korea.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5: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Daejeon (KR): Statistics Korea. Available for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34E09&vw_cdMT_ZTITLE&list_idD11&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3.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Stroke. Korean Stroke Society. 2015:234-43. 

  4.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4th. Koonja Publishing INC. 2015. 

  5. Han TR, Bang MS, Chung SG et. al. Rehabilitation Medicine 5th. Koonja Publishing INC. 1997. 

  6. Lee HW, Jeon HS. Effects of Mirror Therapy on Motor Recovery Following a Stroke: A Meta-Analysis. Physical Therapy Korea. 2012;19(2):48-58. 

  7. Jung KH, Ha HG, Shin HJ, Ohn SH, Sung DH, Lee KW, Kim YH. Effects of Robot-assisted Gait Therapy on Locomotor Recovery in Stroke Patients.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8;32(3):258-66. 

  8. Kim SB, Coupled Bilateral Training Protocol and Motor Functional Recovery for Chronic Stroke Patients.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2007;18(1):91-101. 

  9. Kim JS, Lee KB, Song IU. Effects of the customized self-exercise program on muscle strength and walking function in stroke patients. Physical Therapy Korea. 2019;26(1):37-50. 

  10. Kim MB, Chung SH, KIm SS. The Influences of Chuna(shoulder traction) Therapy for Shoulder Pain and Range of Movement in Hemiplegic Patients After Stoke.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07;17(2):185-198. 

  11. Choi SP, Eun YJ. Soh MG. Cho TY. Song YK. Lim HH. The Efficacy of Chuna Manual Therapy for Stroke Patients on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Leg Function.Balance, and Arm Function.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06;16(4):97-113. 

  12. Youn YS. Chung SH. Lee JS. The Effectiveness of Exercising Unaffected Upper Extremity in Operating Electroacupunture after Stroke.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04;14(2):85-95. 

  13. Cho JH. Shin DJ. Kim SS. Shin HD. Constraint-Induced Therapy on upper Limb Motor Function Recovery in Hemiplegic Patients after Stoke.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04;14(3):115-25. 

  14. Sim WJ. Moon SH. Ryu HJ. Jung SH. Kim SS. Lee JS. The Effects of the Muscles along Meridians Release Therapy to Spastic Patients after Stroke.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04;14(1):63-75. 

  15. JPT Higgins, S Green.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5.1.0 [updated September 2011]. John Wiley & Sons, Ltd. 2006. 

  16. Jiao JK. Clinical study of upper limb guided work in the treatment of upper limb dysfunction of hemiplegia due to stroke. Jouranl of Emergency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1;20(1):16-55. 

  17. Jiao JK, Zheng SH, Peng ZH, Yang LX. Therapeutic effect of upper limb guided work on upper limb dysfunction caused by stroke hemiplegia. Journal of Shandong University of TCM. 2010; 34(5):427-9. 

  18. Jiao JB. Analysis of the effect of Chaoyuanfang guiding method combined with routine rehabilitation technique on improving motor function of stroke patients. Practical Clinical Journal of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2017;17(6):16-7. 

  19. Peng Y. Clinical study of traditional guiding technique combined with modern exercise therapy for stroke hemiplegia [master's thesis]. Beijing: Beijing University. 2008. 

  20. Zheng DC, Li W, Chen LY. Effect of Chaoyuanfang Guiding Method Combined with Routine Rehabilitation Technique on Motor Function of Stroke Patients. Guangdong Medical Journal. 2013;34(20):3196-8. 

  21. Shen L. Clinical study of guiding surgery combined with rehabilitation training for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and upper limb dyskinesia [master's thesis]. Hebei: Hebei Medical University. 2017. 

  22. Chen LY.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Chaoyuan prescription in improving the motor function of stroke patients [master' s thesis]. Guangzhou: Guangzhou University. 2013. 

  23. Xu XD, Jia TH. Effect of Chao Yuanfang guiding method on the recovery of daily life ability and upper limb motor function in stroke patients. Shaanxi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7;38(12):1636-8. 

  24. Zheng P, Mou KJ, Yu M, Xu XH, Tian XQ. Effect of guiding technique on motor function and mood in patients with hemiplegia after stroke. Guide of China Medicine. 2018;16(31):153-4. 

  25. Zheng DC, Yuan WG, Li Y, Chen LY. Curative Effect Evaluation of Chaoyuanfang Guidance Method Improving Balance Function of Patients with Stroke. Hubei Jouranl of TCM. 2014;36(5):1-2. 

  26. Zhao WB, Zhao HH, Zhang XM, Cao X, Sun AP, Li X. The mechanism and clinical effectiveness of six-step procedure of Daoyin on hemiplegic foot-drop. Chinese Jouranl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9;24(7):632-4. 

  27. Kim SH. Brain Plasticity and Stroke Rehabilitation. PNF & Mov. 2008;6(2):39-50. 

  28. Duncan PW, Goldstein LB, Samsa GP, Matchar DB, Horner RD, Landsman PB. Similar motor recovery of upper and lower extremities after stroke. Stroke. 1994;25(6):1181-8. 

  29. Nakayama H, Stig JH, Skyhoj OT, Otto RH. Recovery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the Copenhagen Stroke Study. Arch Phys Med Rehabil. 1994;75(4):394-8. 

  30. Kim TY, Kim SJ. Modern Interpretation on Kinesiology of Yangsaeng-Doinbub Presented in [Jebyungwonhuron. Huhrobyungjehu] - Dealing with Knee Joint, Nuchal Area and Upper Extremity.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16;26(1):63-77. 

  31. Kim SJ, Kim SJ. Modern Interpretation on Kinesiology of Yangsaeng-Doinbub Presented in Zhu-Bing-Yuan-Hou-Lun.Yao-Bei-Bing-Zhu-Hou.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14;24(2):115-30. 

  32. Lim KT, Shin BC, Park IH, Park SY, Hwang MS. Daoyin Exercise Therapy for Low Back Pain : A Systematic Review. The Journal of Korea CHUNA Manual Medicine for Spine & Nerves. 2018;13(1):23-33. 

  33. Choi BS, Lee EJ, Li YC, Lee JM, Kim ES, Song GC, Jung IC, Oh MS. Effect of The Daoyin Exercise Therapy Combined with Complex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Pain and Function Improvement of Low Back Pain Patients :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2018;32(1):88-97. 

  34. Kim YH, Lee JM, Lee EJ, Oh MS. Effects of Daoyin Exercise Therapy Combined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the Pain and Function Improvement of Low Back Pain Patients Diagnosed with Lumbar Disc Herniation :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2017;31(4):238-45. 

  35. Choi BS, Oh MS. Two cases report of Supraspinatus Tendon Tear Treated with The Daoyin exercise program combined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 Journal of Hawhwa Medicine. 2016;25(1):27-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