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교 부지 및 건축물을 이용한 도서관의 대피시설로서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tilizing the Site and Building of Closed School as Evacuation Facilities for the Library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0 no.4, 2019년, pp.65 - 89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지윤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에서도 도서관이 대피시설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해외사례를 바탕으로 탐구하여, 기존에 건축된 도서관이 대피시설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강화할 뿐 아니라, 대피시설 지정·운영 기준에 부합하는 도서관을 건축 또는 리모델링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건축 또는 리모델링 시 경제적 효율성과 지역적 효과를 추구하기 위해 폐교를 활용할 것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제안의 실효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충주시 내 대피시설 및 폐교 현황을 확인하고, 대피소의 수용능력을 기준으로 폐교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피시설의 조건을 갖춘 도서관으로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논의점은 크게 3가지 측면으로, ① 도서관이 대피시설로서 어떠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재확인하고, 도서관이 대피시설로 활용될 때 얻을 수 있는 이점을 탐구하였다. ② 이러한 도서관의 역할과 폐교가 만나서 실제 어떠한 시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지를 검토 및 논의하였으며, ③ 기존 건축물을 대피시설로 지정하는 것이 아닌, 신축 내지 리모델링이 필요한 이유와 폐교를 활용하면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과 효과는 어떠한지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the fact that libraries can be used as evacuation facilities, suggesting that existing libraries built not only strengthen their role and function as evacuation facilities but also need to be constructed or remodeled to meet the criteria for designation and operation of evacuatio...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논의점은 크게 3가지 측면으로, ① 도서관이 대피시설로서 어떠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재확인하고, 도서관이 대피시설로 활용될 때얻을 수 있는 이점을 탐구하였다. ② 기존 건축물을 대피시설로 지정하는 것이 아닌, 신축 내지 리모델링이 필요한 이유와 폐교를 활용하면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과 효과는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③ 폐교가 대피시설 기준에 부합하는 도서관으로 활용된다면 실제 어떠한 시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지를 검토 및 논의하였다.
  • ② 기존 건축물을 대피시설로 지정하는 것이 아닌, 신축 내지 리모델링이 필요한 이유와 폐교를 활용하면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과 효과는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③ 폐교가 대피시설 기준에 부합하는 도서관으로 활용된다면 실제 어떠한 시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지를 검토 및 논의하였다.
  • 셋째, 폐교를 대피시설 기준에 부합하는 도서관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제안의 실효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① 충주시 및 유사 인구분포 지역의 대피시설 현황, ② 지방교육재정알리미 에서 제공하는 폐교 활용 현황, ③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충주시 및 폐교가 위치한 지역의 인구 현황을 조사하였다. ④ 다음의 현황 조사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대피시설 지정․운영기준 중 수용능력 측면에서 연구 대상을 분석하여 충주시 내 위치한 폐교들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앞선 사례조사를 통해 공공도서관이 대피시설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대피시설의 경우 일정 수준의 건축․설계적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대피시설들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폐교를 활용할 것을 제안하며, 이에 대한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제 충주시 내 위치한 폐교를 대피시설의 수용능력 측면에서 검토하고 도서관으로서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자는 이러한 점을 주목 하여 국내에서도 도서관이 대피시설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해외사례를 바탕으로 탐구하여, 이를 토대로 기존에 설립된 도서관이 대피시설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뿐 아니라, 대피시설 지정․운영 기준에 부합 하는 도서관을 건축 또는 리모델링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건축 또는 리모델링 시 경제적 효율성과 지역적 효과를 추구하기 위해 폐교를 활용할 것을 제시하 였으며, 이러한 제안의 실효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충주시 내 대피시설 및 폐교 현황을 확인하고, 대피소의 수용능력을 기준으로 폐교를 평가하였다.
  • 반대로 이를 해석 하면 해당 지자체 또는 교육청은 폐교의 잠재적 재산 가치를 활용하고 있지 못하는 것을 넘어, 방치되어 있는 폐교의 관리를 위해 매년 수억 원의 관리비를 지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대피시설로서 신축 또는 리모델링이 필요한 도서관과 폐교가 만나서 발생시킬 수 있는 시너지를본 연구에서는 탐구 및 제안하고자 하였다.
  • 뿐만 아니라, 현존하는 대피시설에 대해 ‘전국적으로 내진설계가 미적용된 건물 비율이 높다는 점’, ‘대피소로 지정된 시설들이 일정 기준 또는 수준에 부합하는지 여부가 정기적으로 평가되지 않는다는 점’, 그리고 ‘실제 지역주민들이 대피소로 지정된 시설을 명확하게 인지하지 못한다는 점’ 등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피시설의 질적 보완이라는 현안을 반영하여 실질적인 대피소로 운영될 수 있는 도서관의 신축과 리모델링을 하나의 방안으로서 제시하였다.
  • 둘째, 현재 대다수의 대피시설은 일반 공공시설을 대피공간으로서 지정 또는 활용하고 있어 내진설계 등과 같은 관련 조건 및 기준에 충족되지 않은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피시설의 지정 기준에 부합하는 도서관을 건축 또는 리모델링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특히 건축 또는 리모델링 시 폐교를 활용할 것을 제시하였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충주시에 위치한 폐교를 대피시설의 조건을 갖춘 도서관으로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논의점은 크게 3가지 측면으로, ① 도서관이 대피시설로서 어떠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재확인하고, 도서관이 대피시설로 활용될 때얻을 수 있는 이점을 탐구하였다.
  • 미활용 폐교의 활용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충주시의 미임대 폐교를 자세히 조사해 보았다. 노은초등학교 수룡분교는 학교건물이 철거되고 부지만 남아있어 활용대상폐교에서 제외하였으며, 나머지 미임대 중인 강천초, 세성초 향산분교, 동량초 서운분교, 중앙중 가금분교는 모두, 대피시설의 수용능력 측면에서 부지만 조건에 부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해외 사례를 통해 도서관이 대피 시설 중 하나로서 긍정적인 역할하고 있다는 점을 착안하여 국내에서도 도서관이 대피시설의 기능과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제안을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많은 도서관이 대피시설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한다는 점을 착안하여, 충주시의 폐교를 대피시설 기준에 부합하는 도서관으로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많은 도서관이 대피시설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한다는 점을 토대로, 실제 충주시에 위치한 폐교를 대피시설 기준에 부합하는 도서관으로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 하였다. 기존의 설립된 도서관 자체만으로도 지역주민들에게 안전한 장소와 다양한 대응 서비 스를 제공할 수 있으나, 실제 대피시설의 조건과 기준에 부합된 피난처와는 의미적으로 일부 차이가 있다.
  • 충주시의 폐교 현황을 조사해본 결과, 총 19개의 폐교는 임대/대부 폐교 11개, 미임대 폐교 5개, 자체활용 폐교 3개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피시설 지정 및 운영 기준 중 1인당 소요 내지 필요 면적 기준을 고려하여 폐교의 대피소 수용능력을 평가하였다. 대피시설의 유형에 따른 지정 및 운영 기준을 조사한 내용은 [부록 1]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재난재해나 안전문제 발생 시에 도서관이 지역 내 중추적인 대피거 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고, 관련 사례를 탐구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폐교 활용 개념에 적용 및 연계 하여 리모델링 또는 재건축된 도서관이 대피소로서 활용됨과 동시에 해당 지역의 활력소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이 대피시설로서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인식의 확산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특히, 폐교를 대피 시설 기준에 부합하는 도서관으로서 활용할 것을 제안하고, 실제 충주시의 폐교 및 대피시설의 현황 등을 바탕으로 제안의 실효성을 검토하였다.
  • 반면, 본 연구의 사례조사에 따르면 국외의 경우는 재난과 안전 사고 발생 시에 도서관에서 다양한 대응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도서관을 지역사회내 핵심적인 대피시설 중 하나로서 인식하여 이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점을 주목 하여 국내에서도 도서관이 대피시설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해외사례를 바탕으로 탐구하여, 이를 토대로 기존에 설립된 도서관이 대피시설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뿐 아니라, 대피시설 지정․운영 기준에 부합 하는 도서관을 건축 또는 리모델링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건축 또는 리모델링 시 경제적 효율성과 지역적 효과를 추구하기 위해 폐교를 활용할 것을 제시하 였으며, 이러한 제안의 실효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충주시 내 대피시설 및 폐교 현황을 확인하고, 대피소의 수용능력을 기준으로 폐교를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재난재해나 안전문제 발생 시에 도서관이 지역 내 중추적인 대피거 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고, 관련 사례를 탐구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폐교 활용 개념에 적용 및 연계 하여 리모델링 또는 재건축된 도서관이 대피소로서 활용됨과 동시에 해당 지역의 활력소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과정을 통해 폐교들이 대피시설 기준에 부합하는 도서관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이에 따를 이점과 효과는 어떠한지를 검토 및 논의해 보고자하였다. 최근 전국적으로 학생 수급감함에 따라 폐교 수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보인다.
  • 이러한 현안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대피소로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학교 시설 및 부지’ 를 활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이 대피시설로서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인식의 확산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특히, 폐교를 대피 시설 기준에 부합하는 도서관으로서 활용할 것을 제안하고, 실제 충주시의 폐교 및 대피시설의 현황 등을 바탕으로 제안의 실효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절차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그림 1] 참조).
  1. Nam, Ji-hyun et al. 2017. Earthquake Prevention Measure and Policy Improvement in Gyeonggi-Do. Suwon: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 Noh, Younghee and Ji-Yoon Ro. 2019a. "A Study on Improved Utilization of Closed School in the Library Based on Characteristics of Closed Area: Based on the analysis of area where closed school occurs through the Socioeconomic Index."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0(1): 157-176. 

  3. Noh, Younghee and Ji-Yoon Ro. 2019b.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Needs Analysis of Community Residents to Reuse Closed Schools as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yt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3(2): 91-116. 

  4. 'The 'Useful' Transformation of a Closed School Reduced to a Scar'. 2012. South Korea Policy Briefing, January 20. [online]. [cited 2019.9.1]. . 

  5. '420 Unutilized Closed Schools Nationwide, Worth about 299 Billion Won'. 2018. Moneytoday, October 8. [online]. [cited 2019.9.1]. . 

  6.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6. Manual for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Public Libraries.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7. Park, Tae-Yeon, Hui-Jeong Han, Yong Kim, and Soojung Kim. 2017.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8(3): 125-150. 

  8. Bae, Min-Ki. 2017. "Earthquakes are No Longer the Business of Others." Chungbuk Issu & Trend, (30): 10-15. 

  9. Yeom, Tae-Jun and Mi-Jin Park. 2018. "A Field Survey on the Senior Center for the Using of the Shelter: Focused on Incheo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38(2): 187-188. 

  10. Lee, Sangbaek. 2019. "The Study of Key Elements to Establish Natural Disaster Preparedness Plan in Libraries and Archiv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0(1): 101-119. 

  11. Lim, Ji-Hoon, Tae-Yeon Park, and Soojung Kim. 2017. "Development of a Facet Classification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and Shared Use of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4): 375-399. 

  12. Jung, Joo-Young, Tea-Jun Yeom, and Mi-Jin Park. 2018. "A Cas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on the Shelter in Case of Disaster."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38(1): 157-158. 

  13. 'Eight Out of 10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are Not Designed to Be Earthquake-Resistant'. 2018. The North Chungcheong Daily, October 7. [online]. [cited 2019.9.1]. . 

  14. '"Walls of the Building"... Chungju is Not a Safe Zone from Earthquakes'. 2017. Chungju Shimbun, November 23. [online]. [cited 2019.9.1]. . 

  15. Choi, Kum-Hoe, Ho-Min Lee, Gi-Hyeong Jo, Deuk-yong Hwang, and Suk-In Nam. 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tandards for Civil Defense Residents' Shelter. Seoul: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National Strategy. 

  16. Choi, Seong-Kyung and Jeong-Min Moon. 2017. "Research Composition of Space and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Temporary Evacuation Facility for Responding to Korea Social Disaster."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8(6): 11-19. 

  17. Han, Hui-Jeong, Tae-Yeon Park, Hyo-Jung Oh, and Yong Kim. 2017. "A study on Improvement and Analysis of Records Management Status for Disaster Safety Archives in Online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2): 187-213. 

  18. Disaster Relief Division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2018. (Description) (World Daily). [online]. [cited 2019.9.2]. . 

  19. 'North Chungcheong Province's Jindo IV in the 3.9 Earthquake in Sangju, North Gyeongsang Province. This Year's Maximum Vibration Feeling (comprehensive)'. 2019. MSN News, July 21. [online]. [cited 2019.8.29]. . 

  20. Bateman, P. 2016. It happened in my town: Collaboration in crisis. PLA Annual Conference. Denver, CO: Public Library Association. 

  21. Berry III, J. N. 2015. 2015 Gale/LJ Library of the Year: Ferguson Municipal Public Library, MO, Courage in Crisis. Library Journal, Jun 08. [online]. [cited 2019.8.29]. . 

  22. Castillo, M. and D. Ford. 2014. Governor Declares State of Emergency in Ferguson. CNN, Novermber 18. [online]. [cited 2019.8.29]. . 

  23. Chiochios, Maria E. 2016. The Tweets heard around the world: Ferguson Municipal Public Library's Twitter use around the 2014 civil unrest and its role in supporting community disaster resilience. M.A. thesis.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24. Dickerson, L. 2007. "Capitalizing on a disaster to create quality services: Some lessons from Hurricane Katrina." Public Library Quarterly, 26(1-2): 101-115. 

  25. Flaherty, M. G. 2016. Here, there and everywhere: Disasters and public libraries. Columbus, Ohio: IFLA. 

  26. Gonzalez, D. 2019. Closed school in Phoenix may be used as a shelter for migrant families released by ICE. azcentral, June 4. [online]. [cited 2019.8.29]. . 

  27. Guion, D. 2014. Libraries: a shelter in a storm?. Reading, Writing, Research, May 28. [online]. [cited 2019.8.29]. . 

  28. Kimmelman, M. 2013. Next Time, Libraries Could Be Our Shelters From the Storm. The New York Times, Octover 2. [online]. [cited 2019.8.29]. . 

  29. Morris, G. 2017. Public libraries can (literally) serve as a shelter from the storm. The Conversation, August 31. [online]. [cited 2019.8.29]. . 

  30. Noh, Y. 2017.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conomic value evaluation indices for public libra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7(3): 87-111. 

  31. Rose, J. 2013. For disaster preparedness: Pack a library card?. npr, August 12. [online]. [cited 2019.8.29]. . 

  32. Rosenfeld, K. 2015. Baltimore Libraries stay open through riots. MTV news, April 28. [online]. [cited 2019.8.29]. . 

  33. Austin Public Library. [online]. [cited 2019.8.27]. . 

  34. Nevada Public Library. [online]. [cited 2019.8.27]. . 

  35. 국가통계포털. [online]. [cited 2019.8.27]. . 

  36. 국민재난안전포탈. [online]. [cited 2019.8.27].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