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택란(Lycopus lucidus)에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하여 항산화, 항균 및 세포 보호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택란 추출물 및 분획물의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FSC_{50}$), 추출물은 $65.1{\mu}g/mL$, 분획물은 $64.9{\mu}g/mL$로 나타냈다. $Fe^{3+}-EDTA/H_2O_2$계에서 활성산소 소거 활성은($OSC_{50}$) 각각, 6.6, $6.3{\mu}g/mL$로 모두 총 항산화능이 뛰어났다. 항균 활성에서, 추출물은 S. aureus에서, 분획물은 A. niger를 제외한 모든 균에서 활성을 나타냈다. 택란 추출물 및 분획물의 세포 보호 효과 비교 결과, $^1O_2$로 유도된 적혈구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tau}_{50}$)는 $50{\mu}g/mL$에서 각각 51.3, 73.7 min로 나타냈다. 과산화수소와 UVB로 손상된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에서 추출물은 각각 효능을 나타내지 않고, $1-2{\mu}g/mL$에서 효능을 나타냈다. 분획물은 각각 세포 생존율을 최대 85.8, 81.9%까지 증가시켰다. 세포 내 ROS 소거 활성 결과, 분획물 $1-2{\mu}g/mL$에서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종합적으로 택란 에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생리활성을 비교한 결과, 택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추출물과 비슷한 항산화 효능을 가지며, 항균 및 세포 보호 효과에서 추출물보다 뛰어난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외부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 화장품 소재로 응용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ntioxidative, antibacterial and cytoprotective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 and ethylacetate fraction of Lycopus lucidus (L. lucidu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SC_{50}$) of the L. lucidus extract and fraction were found to be 65.1 ...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추출물이나 특정 분획물을 항산화 소재로 화장품에서 응용한 연구는 아직도 미흡한 실정으로 특히 택란 추출물 및 분획물을 이용한 총 항산화능 연구나 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항균 활성 효과에 관한 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택란 50%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을 이용하여 항균, 항산화 효능 및 세포보호 효과 확인하여 화장품에서 새로운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Free radical은 피부 노화의 원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안정한 라디칼인 DPPH에 대한 전자 주개 능력을 통하여 택란 추출물 및 분획물의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은 메탄올에 용해시킨 0.
  • 광노화의 주원인인 자외선 중 UVB는 UVA에 비해 에너지가 높고 표피를 통과하여 진피의 윗부분까지 침투할 수 있으며 이 과정 중에 DNA 손상, 비정상적인 사이토카인 방출, 과잉의 활성산소가 발생하게 되므로 피부에 대하여 UVB는 자외선 중 가장 해로운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택란 50%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UVB로 손상된 HaCaT 세포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UVB를 조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약 65.
  • 활성산소인 과산화수소는 세포막을 통과하여 생체 내 미량으로 존재하는 금속 이온과 반응하여 다른 ROS를 생성시켜 세포 손상을 야기 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택란 50%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과산화수소로 손상된 HaCaT 세포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약 6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택란의 효능은 무엇인가? 시베리아 동부에서 한국, 일본 등 아시아 온대에 분포한다. 택란은 항염, 항알러지 효과,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있다[11-14]. 특히 택란(L.
UVB가 피부에 미치는 영향은? 자외선은 UVA, UVB, UVC로 크게 구분되며, 그중 UVB는 피부 표피까지 침투하며,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피부노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7].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zen species, ROS)이 생성된다. 따라서 ROS는 피부의 산화적 손상을 실질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ROS의 종류에는 singlet oxygen (1O2), su-peroxide anion radical (O2⋅-), hydroxyl radical (⋅OH) 그리고 hydro-gen peroxide (H2O2)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광증감 반응 및 여러 효소반응을 포함하는 과정들을 거쳐 피부 세포 및 조직 중에 생성된다[8]. 이러한 ROS는 피부에서 지질, 단백질 및 DNA 등 생체 분자들의 산화적 손상을 초래한다. 또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받게 되면 세포 손상 뿐만 아니라 피부 노화가 촉진되어 암과 같은 질병 발생 등 심각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9,10]. 따라서 피부에서 과잉의 활성산소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미생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 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항산화, 항균 효과를 가진 생약 소재 개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피부의 역할은 무엇인가? 피부는 우리 몸의 최외각 방어망으로 자외선, 항원, 미생물 등의 외부 자극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1]. 피부는 피부 상재균에 따라 심각한 염증, 피부 질환이 유발할 수 있으므로 미생물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 A. Park and M. O. Choi,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inflammation effect to the human skin pathogens by the Rumex crispus L. Root Extracts, Korean J. Aesthet. Cosmetol., 9(2), 1-8 (2011). 

  2. T. S. Park, J. Y. Lee, S. J. Hyun, G. H. Park, Y. J. Cho, S. G. Kim, and B. J. An, Antimicrobial effect of irradiated green tea polyphenol addition into cosmetic composition,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3), 210-216 (2007). 

  3. Y. H. Yeo and C. H. Park, Cosmetics preservation and moisturizing effect by methanol extrac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and Liriope platyphylla, Korean Soc. Biotechnol. Bioeng. J., 29(5), 372-379 (2014). 

  4. C. N. Smith and B. R. Alexander, The relative cytotoxicity of personal care preservative systems in Balb/C 3T3 clone A31 embryonic mouse cells and the effect of selected preservative systems upon the toxicity of a standard rinse-off formulation, Toxicol. In Vitro, 19, 963-969 (2005). 

  5. E. Y. Choi, Effect of phenoxyethanol and alkane diol mixture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septic ability in cosmetics, Korean J. Aesthet. Cosmetol., 13(2), 213-220 (2015). 

  6. D. S. Lee, M. S. Lim, S. S. Kwan, S. Y. Kim, and S. N. Park,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ial analysis of Chamaecyparis obtusa leaf extract, Appl. Chem. Eng., 23(1), 93-99 (2012). 

  7. M. A. Zaid, F. Afaq, D. N. Syed, M. Dreher, and H. Mukhtar, Inhibition of UVB-mediated oxidative stress and markers of photoaging in immortalized HaCaT keratinocytes by pomegranate polyphenol extract POMx, Photochem. Photobiol., 83, 882-888 (2007). 

  8. T. F. Slater, Free radical mechanisms in tissue injury, Biochem. J., 222, 209-218 (1984). 

  9. S. H. Park, H. S. Shin, N. H. Lee, I. K. Hong, and S. N. Park, Cellular protective effects and mechanisms of kaempferol and nicotiflorin isolated from Annona muricata against $^{1}O_{2}$ -induced damage, Appl. Chem. Eng., 29(1), 49-55 (2017). 

  10. M. Valko, C. J. Rhodes, J. Moncol, M. Izakovic, and M. Mazur, Free radicals, metals and antioxidants in oxidative stress-induced cancer, Chem. Biol. Interact., 160, 1-40 (2006). 

  11. D. Y. Kim and S. H. Ghil, Effect of Lycopus lucidus Trucz on cell growth of human breast cancer cells, MCF-7, J. Exp. Biomed. Sci., 15, 147-152 (2009). 

  12. Y. J. Lee, D. G. Kang, J. S. Kim, and H. S. Lee, Lycopus lucidus inhibits high glucose-induced vascular inflammation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Vascul. Pharmacol., 48, 38-46 (2008). 

  13. T. Y. Shin, S. H. Kim, K. H. Suk, J. H. Ha, I. K. Kim, M. G. Lee, C. D. Jun, S. Y. Kim, J. P. Lim, J. S. Eun, H. Y. Shin, and H. M. Kim, Anti-allergic effects of Lycopus lucidus on mast cell-mediated allergy model, Toxicol. Appl. Pharmacol., 209, 255-262 (2005). 

  14. E. R. Woo and M. S. Piao, Antioxidative constituents from Lycopus lucidus, Arch. Pharm. Res., 27, 173-176 (2004). 

  15. J. Q. Yu, J. C. Lei, X. Q. Zhang, H. D. Yu, D. Z. Tian, Z. X. Liao, and G. L. Zou, Anticancer,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 of Lycopus lucidus Turcz. var. hirtus Regel, Food Chem., 126(4), 1593-1598 (2011). 

  16. J. H. Ha, Y. J. Jeong, J. S. Seong, K. M. Kim, A Y. Kim, M. M. Fu, J. Y. Suh, N. H. Lee, J. Park, and S. N. Park,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lycyrrhiza uralensis Fisher (Jecheon, Korea) extracts obtained by various extract conditions, J. Soc. Cosmet. Sci. Korea, 41(4), 361-373 (2015). 

  17. S. N. Park, D. H. Won, J. P. Hwang, and S. B. Han,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dehydroeffusol isolated from Juncus effusus L. and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se effects, J. Ind. Eng. Chem., 20, 3046-3052 (2014). 

  18. J. L. Rodriguez-Tudela, F. Barchiesi, J. Bille, E. Chryssanthou, M. Cuenca-Estrella, D. Denning, J. P. Donnelly, B. Dupont, W. Fegeler, C. Moore, M. Richardson, and P. E. Verweij,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by broth dilution of fermentative yeasts, Clin. Microbiol. Infect., 9(8), 1-8 (2003). 

  19. S. N. Park, Skin aging and antioxidant, J. Soc. Cosmet. Sci. Korea, 23, 75-132 (1997). 

  20. S. H. Xuan, Y. M. Park, J. H. Ha, Y. J. Jeong, and S. N. Park, The effect of dehydroglyasperin C on UVB-mediated MMPs expression in human HaCaT cells, Pharmacol. Rep., 69(6), 1224-1231 (2017). 

  21. K. M. Kim, A. R. Kim, A. Y. Kim, J. H. Ha, S. H. Xuan, Y. J. Jeong, Y. M. Park, H. J. Jeong, I. G. Hong, and S. N. Park, Antioxidative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dolwoe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extracts against oxidative stress, Korean J. Pharmacogn., 48(2), 1-9 (2017). 

  22. Y. Yoshihisa, M. U. Rehman, and T. Shimizu, Astaxanthin a xanthophyll carotenoid, inhibits ultraviolet-induced apoptosis in keratinocytes, Exp. Dermatol., 23(3), 178-183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