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치원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사전문성의 관계: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Teacher-Expertise in Kindergarten Teach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Teachers' Self-efficac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1, 2019년, pp.248 - 258  

최미애 (안양대학교 교육학과) ,  김순영 (하늘빛 유치원) ,  최양미 (안양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자유선택활동을 실시하는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셀프리더십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사 효능감에 대한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8년 9월 17일부터 28일까지 서울 경기 지역 유치원 교사 총 325명에게 방문 조사를 통해 설문을 실시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Statistics 22.0과 AMOS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성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자유선택활동을 교육하는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은 교사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전문성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도 교사의 전문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이 교사효능감을 매개하여 교사 전문성에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이 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셀프리더십과 교사 전문성 간의 관계를 간접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의 셀프리더십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교사들의 교사효능감 수준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업무환경에 대해 교사들에게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지식 및 기술 등을 제공하고 교사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촉진자 및 조력자의 역할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of teachers who conduct free-selection activities in kindergartens. In addition, we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self-efficacy.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data gathered through a survey conducted on 325 k...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선택활동을 실시하는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셀프리더십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사효능감에 대한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김진영과 성원경[39]의 연구를 근거로 하여 교사의 셀프리더십이 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에 대한 매개효과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자유선택활동을 교육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셀프리더십이 교사의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에 대한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론과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자유선택활동을 교육하는 교사의 셀프 리더십과 교사의 전문성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이용된 연구단위 간의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H1.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사 전문성 및 교사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볼 것이다.
  • H2.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사효능감이 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살펴볼 것이다.
  • H3. 교사의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사 전문성 사이에 유의한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전문성의 정의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교사전문성은 교사가 전공 분야의 실천적 지식과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교육운영 전반의 실천능력을 가지며 가르치는 자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 신념, 태도 등의 자질을 포함하고 있는 개념으로 정의된다. 교사전문성은 단기간에 획득되기보다 장시간에 걸친 부단한 노력 끝에 얻어지는 것이므로 교직에 입문한 이후에도 교사전문성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3].
셀프리더십이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성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자유선택활동을 교육하는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은 교사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전문성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도 교사의 전문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전문성이 초,중등 교육의 교사전문성보다 더 높은 전문성이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교사의 전문성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변화하는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교사가 교육현장에서 끊임없이 지식과 경험을 쌓고 상상력과 통찰력을 발휘해야만 전문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4]. 특히 유아교육은초·중등교육의 교과 지식 중심과 달리 아동중심, 놀이중심, 생활중심, 경험중심 교육으로 통합적 활동 위주의 교육과정을 계획 및 운영해야 하므로 유치원 교사에게는초·중등교사보다 더 높은 전문성이 요구된다[5-6]. 유치원 교사전문성을 이해하고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아교 사로서 필요한 교수기술과 지식 등에 대한 측면과 더불어 교사의 행동이면에 내재되어 있는 신념 및 사고과정에 대한 자기이해 측면, 그리고 교사의 전문성을 지원해 주는 환경 조성에 필요한 인적·물리적 환경과 관련한 생태적인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G. G. Gap, World economic forum. Cologny/Geneva, 2017. DOI: https://doi.org/10.4135/9781412939607.n763 

  2. S. Y. Park, H. A. Seo, "Exploration of Communication Content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in Infant Class Notes from 1-year old Classes",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Vol.18, No.1 pp.213-240, 2017. DOI: https://doi.org/10.22154/jcle.18.1.10 

  3. J. H. Kim, D. C. Kim,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Recognition on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16, No.5 pp.77-96, 2012. 

  4. W. H. Oh, Teacher expertise. Paju: Education Science History, 2005. 

  5. M. S. Kim, The Effects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and Occupational Stress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Master's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of Korea, 2015. 

  6. A. N. Kim, "A Study of the Kindergarten Teacher Efficacy and the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Vol.14, No.3 pp.153-175, 2014. 

  7. G. S. Lee,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rse. Seoul: Kyomusa, 2002. 

  8. O. S. Yang, "The Significance of Choice in Free-Choice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3, No.3 pp.131-152, 2003. 

  9. H. A. Seo, M. S. Kwon, "The Analysis of Teacher Intervention During Kindergarten Free Play Period",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2, No.2 pp.227-248, 2007. 

  10. H. W. Lee, "An Exploratory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Subjective Role Recognition in Free Choice Activitiy Classes",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Vol.20, No.1 pp.90-112, 2015. 

  11. B. Y. Lim, Y. R. Seo, K. A. Kim, "A Qualitative Study on Flow Experience during a Free Pla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s flow experience and implications about teacher role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8 pp.791-792, 2018. 

  12. B. S. Kwack, "Reform of classroom education and teacher's expertise",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Vol.18 pp.5-13, 2001. 

  13. E. N. Um, D. M. Seo,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he Meaning of Free Play and the Roles of Teachers",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Vol.11, No.1 pp.101-128, 2015. DOI: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01 

  14.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Childcare facility evaluation certification manual (Childcare facility with more than 40 peopl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port, 2012. 

  15. M. K. Park, J. A. Um, "Significance of play material experienced by children duringfree-choice activity tim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30, No.5 pp.325-349, 2010. 

  16. W. T. Kim,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among Young Children during Free Play Activitie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16, No.4 pp.303-326, 2012. DOI: https://doi.org/10.18023/kjece.2010.30.5.015 

  17. S. J. Lee, Theory and Practice of Play for Children. Seoul: Changjisa. 

  18. C. C. Manz, H. P. Sims Jr, "Super leadership: Beyond the myth of heroic leadership", Organizational Dynamics, Vol.19, No.4 pp.18-35, 1991. DOI: https://doi.org/10.1016/0090-2616(91)90051-a 

  19. H. R. Kim, P. S. Yang, "A Study on Mediating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Self-Evaluations and Innovative Behavior",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21, No.5 pp.1831-1857, 2008. 

  20. Y. M. Go, Y. E. Yoo, E. Y. Kim, E. J. Jang,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Program on Kindergarten Teachers" Happi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Children'S Media, pp.309-327, 2018. 

  21. S. W. Kim, H. J. Lee, D. S. Shim, "The Antecedents and Outcomes of Self Leadership-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23, No.3 pp.1287-1312, 2010. 

  22. K. Y. Nam, K. A. Kim,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Self-Leadership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18, No.7 pp.85-113, 2011. 

  23. I. H. Lee, M. J. Kim, C. H. Chung, "The Effects of a Self-Leadership program on leadership and self-esteem of the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Vol.14, No.4 pp.773-795, 2013. 

  24. Y. H. Seo, A structural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self-Leadership and job attitude considering individual inner variables as mediators. Doctoral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of Korea, 2012. 

  25. P. T. Ashton, R. B. Webb, Making a differe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Longman Publishing Group, 1986. 

  26. T. R. Guskey, P. D. Passaro, "Teacher efficacy: A study of construct dimension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31, No.3 pp.627-643, 1994. DOI: https://doi.org/10.2307/1163230 

  27. E. M. Skaalvik, S. Skaalvik, "Teacher self-efficacy and teacher burnout: A study of relation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26, No.4 pp.1059-1069, 2010. DOI: https://doi.org/10.1016/j.tate.2009.11.001 

  28. S. S. Han, M. H. Lim, "A Study on Identifying of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0, No.1 pp.207-240, 2003. 

  29. H. Koh, K. S. Kim, J. Y. Kim, "Structure relation analysis of kindergarten director's instructional Leadership,teacher efficacy and teacher commitment",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30, No.4 pp.283-304, 2010. DOI: https://doi.org/10.18023/kjece.2010.30.4.013 

  30. Y. H. Kim, Y. E. Kim, "An analysis of the factorial validity of bandura's teacher self-efficacy scal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8, No.2 pp.169-191, 2008. DOI: https://doi.org/10.18023/kjece.2008.28.2.008 

  31. S. N. Noh,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teacher efficacy towards child's critical thinking skil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Vol.13 pp.291-311, 2009. 

  32. S. Y. Kim, S. J. Seo, "The Construction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Efficacy Scal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31, No.4 pp.91-110, 2010. 

  33. Y. S. Kim, S. H. Kim,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Self-Leadership, Teamwork,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of Hotel Staffs",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Studies, Vol.12, No.2 pp.97-108, 2010. 

  34. K. B. Shin,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Self-Efficacy And Job Performance Of Service Employees",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Vol.17 pp.91-104, 2010. 

  35. H. W. Le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Daycare Teacher's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leadership and Career Commitment",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Children'S Media, Vol.13, No.1 pp.77-93, 2014. 

  36. M. K. Kim, "The Relationship of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and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mpetency Development & Learning, Vol.7 pp.21-43, 2012. 

  37. A. Y. Kim, "Teacher Efficacy: The Key Factor of Teacher Professionalism",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26, No.1 pp.63-84, 2012. 

  38. M. S. Choi,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fficacy or 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Teacher-Parent Communication Attitude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The Korea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40 pp.1-19, 2005. 

  39. J. Y. Kim, W. K. Sung,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Self-Leadership and Perceptions of Teaching Professionalism",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31, No.2 pp.12-140, 2012. 

  40. Y. K. Kim, The Influence of a Director's Super Leadership on Kindergarten Teachers' Self-leadership and Expertise Development.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2013. 

  41. J. D. Houghton, C. P. Neck,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17, No.8 pp.672-691, 2002. DOI: https://doi.org/10.1037/t11615-000 

  42. I. M. Riggs, L. G. Enochs,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ience Education, Vol.7, No.6 pp.625-637, 1990. DOI: https://doi.org/10.1002/sce.3730740605 

  43. B. Lee, The Effects of Teacher Efficacy on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Kindergarten Teacher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s' Commitment and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Doctoral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2013. 

  44. E. J. Baek, B. K. Jo, "Developing a Self-assessment of Developmental Levels for Kindergarten Teacher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4, No.4 pp.95-117, 2004. 

  45. J. M. Kim, "A Study on Teacher Education in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Vol.34, No.2 pp.85-109, 2017. 

  46. Y. S. Lee, H. S. Lee, "The Relationship among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Personal Teacher Efficacy,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Vol.29, No.4 pp.541-564, 2012. DOI: https://doi.org/10.24211/tjkte.2012.29.4.54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