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RTD (Ready-to-drink) 콜드브루커피의 이화학 및 감각특성 분석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RTD cold brew coffe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1 no.1, 2019년, pp.35 - 41  

송영주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황현주 (우송정보대학 외식조리과) ,  이승주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판되는 RTD 콜드브루커피 8종에 대하여 3개의 외관, 9개의 향, 5개의 향미, 4개의 질감/입안감촉에 대한 묘사용어 총 21가지를 개발하였으며, 묘사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제 콜드브루커피의 주요 특성으로 알려진 다양한 향미와 쓴맛 관련 향미 용어가 개발되어 향후 콜드브루커피의 감각검사에 주요 평가 용어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색도, 탁도, 갈색도, pH, 총산도, 가용성 고형분과 총 폴리페놀함량, 클로로제닉산의 8가지 이화학특성을 분석하였다. 묘사분석 감각특성 항목과 커피의 중요 지표인 이화학 특성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총산도, 가용성 고형분이 주요 감각특성인 흙향, 잔존감 항목에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총산도, 가용성 고형분이 단향, 고소한향, 구수한향, 구수한맛 감각특성에 높음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갈색도와 폴리페놀 함량은 흙향과 잔존감 감각특성에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향후 이러한 이화학적 분석 항목은 콜드브루커피 제품개발 시 감각특성 분석과 더불어 주요 품질지표 항목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eight commercial ready-to-drink (RTD) cold brew coffees were compared by descriptive analysis. The cold brew coffee samples were analyzed for hunter color values, brown color, turbidity, pH, titratable acidity, soluble solids, total phenolic content, and chlorogenic ac...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의 콜드브루커피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So 등(2014)의 추출 및 저장 조건에 따른 더치커피(콜드브루커피)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분석에 관한 연구, Hwang 등(2014)의 headspace GC-MS을 이용한 더치커피(콜드브루커피)의 향기성분분석에 관한 연구 등의 주요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다양한 시판 콜드브루커피의 주요한 감각특성에 대한 정량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묘사분석 방법(generic descriptive analysis method)을 적용하여 시판 RTD 콜드브루커피 8종에 대한 감각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주요 이화학적 특성 분석을 통해 감각특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관련 제품개발에 및 감각특성 개선에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묘사분석 방법(generic descriptive analysis method)을 적용하여 시판 RTD 콜드브루커피 8종에 대한 감각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주요 이화학적 특성 분석을 통해 감각특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관련 제품개발에 및 감각특성 개선에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콜드브루커피의 특징은 무엇인가? RTD 커피와 더불어 최근 커피시장에서 새롭게 주목 받고 있는 제품은 콜드브루커피(cold-brew coffee)이다. 콜드브루커피는 대표적인 냉수 추출커피로 추출 시 뜨거운 물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차가운 물을 사용하여 오랜 시간 천천히 추출하는 독특한 특징을 가진다(Ha와 Cho, 2012). Hwang 등(2013)에 따르면 낮은 온도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신맛이 적고 특유의 향과 맛을 나타내고, 추출 시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시간을 투자해야 얻어지는 고급커피로 소비자에게 인식되어 있다.
흙 향, 잔존감 등의 감각특성 분석 요소와 이화학적 요소 사이의 관계는 어떠한가? 또한 색도, 탁도, 갈색도, pH, 총산도, 가용성 고형분과 총 폴리페놀함량, 클로로제닉산의 8가지 이화학특성을 분석하였다. 묘사분석 감각특성 항목과 커피의 중요 지표인 이화학 특성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총산도, 가용성 고형분이 주요 감각특성인 흙향, 잔존감 항목에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총산도, 가용성 고형분이 단향, 고소한향, 구수한향, 구수한맛 감각특성에 높음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갈색도와 폴리페놀 함량은 흙향과 잔존감 감각특성에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향후 이러한 이화학적 분석 항목은 콜드브루커피 제품개발 시 감각특성 분석과 더불어 주요 품질지표 항목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커피의 식품공전 기준적 정의는 무엇인가? 커피는 다양한 공정을 통해 선별된 원두를 로스팅 과정을 거친 뒤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음료로, 식품공전 기준에 따르면 커피원두를 가공한 것이거나 또는 이에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을 가한 것으로 규정되며 볶은커피, 인스턴트커피, 조제커피, 액상커피로 분류하고 있다(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2016).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통계에 따르면 국내성인 1인당 커피 소비량은 2016년 기준 377잔으로 2012년 기준 288잔 보다 3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dueza S, Vila MA, Pena MP, Cid C. Influence of coffee/water ratio on the final quality of espresso coffee. J. Sci. Food Agric. 87: 586-592 (2007) 

  2. Choi YM, Yoon HH. Sensory characteristics of espresso coffee in relation to the classification of green Arabica coffee. Korean J. Food Cook. Sci. 26: 300-306 (2010) 

  3. Ha BS, Cho MR. All about coffee. Openspace Publisher, Seoul, Korea. pp. 28-132 (2012) 

  4. Hwang SH, Kim KS, Kang HJ, Kim MJ. Phenolic compound contents and antioxidative effects on Dutch coffee by extraction time. Korean Publ. Health Res. 39: 21-29 (2013) 

  5. Hwang SH, Kim KS, Kang HJ, Kim JH, Kim MJ. Studies on the flavor compounds of Dutch coffee by headspace GC-MS. Korean J. Food Cook. Sci. 30: 596-602 (2014) 

  6. Illy A, Viani R. Espresso Coffee: The Science of Quality, Second Edition, Elsevier Academic Press. San Diego, CA, USA. pp. 91-315 (2015) 

  7. Kim HS, Ahn JJ, Hwang TY. Screening of DPPH radical scavenging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local some native plants. Korea J. Food Preserv. 21: 593-599 (2014) 

  8. Kim AR, Kim JS. Flavor contributing nonvolatile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cold water extraction-based coffee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dripping vs steeping) and time. J. Korea Soc. Coffee Ind. 3: 1-9 (2014a) 

  9. Kim YA, Kim JS. Bitter taste-inducing chemical composition profile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Arabica coffee as affected by the degree of roasting. J. Korea Soc. Coffee Ind. 3: 10-18 (2014b) 

  10.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aT), Nielsen Company Korea. Processed Food Segmentation Report-coffe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Registration number: 11-15430000-000060-01, Mirae C&P system (2013) 

  11. Kuroda Y, Hara Y. Antimutagenic and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tea polyphenols. Mutat. Res. 436: 69-97 (1999) 

  12. Lee MJ, Kim SE, Kim JH, Lee SW, Yeum DM, A study of coffee bean characteristics and coffee flavors in relation to roast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255-261 (2013) 

  13. Lee JC, Pae SI. A study on the sensory properties according to roasting conditions of coffee beans by continents. Inter. J. Tourism & Hospitality Res. 28: 233-248 (2014) 

  14. Lee SJ, Park CS, Kim HK. Sensory profiling of commercial Korean distilled Soju.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648-652 (2012) 

  15. Lee JW, Shin H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ntioxidant fractions extracted from freeze-dried coffee by various solv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09-116 (1996) 

  16. Macrae R, Clarke R. Coffee, Vol. 2., Technology. Elsevier Applied Science Publisher, Ltd. London, UK. pp 25-45 (1987) 

  1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n Food Standards Codex, p 27.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3.jsp?idx30 Sep. 9, 2016. 

  18. Morton C, Klatsky AL, Udaltsova N. Smoking, coffee and pancreatitis. Am. J. Gastroenterol. 99: 731-738 (2004) 

  19. Park SJ, Moon SW, Lee J, Kim EJ, Kang BS. Optimization of roasting conditions for coffee bean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Pres. 18: 178-183 (2011) 

  20. Pyo YH, Lee TC, Logendra L, Rogen RT.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of Swiss chard extracts. Food Chem. 85: 19-26 (2004) 

  21. Schlich P. Uses of change-over designs and repeated measurements in sensory and consumer studies. Food Qual. Prefer. 4: 223-235 (1993) 

  22. Shin YR, Choi YM, Yoon HH.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espresso according to grinding grades of coffee beans. Korean J. Food Cook. Sci. 27: 85-99 (2011) 

  23. So YJ, Lee MW, Yoo KM, Kang HJ, Hwang IK.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utch coffee depending on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and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671-676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