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전환충격 척도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연구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ransition Shock Scale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5 no.1, 2019년, pp.17 - 26  

김수연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  신용순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odified Transition Shock Scale for use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From March 8-April 3, 2018, 207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re asked to complet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including tran...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전환충격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신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된 전환충격 측정도구를 간호대학생에 맞게 수정 보완한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정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전환충격 척도를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정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용 타당도, 구성 타당도 및 준거 타당도를 평가함으로써 도구의 타당도에 대한 충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이에 간호대학생에게 이 도구를 이용하여 전환충격 평가를 고려해 볼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원 도구를 간호대학생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규 간호사의 전환충격 개념분석을 이론적 근거로 한 간호사 전환충격 척도가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가? 지금까지 전환충격과 관련된 국내 연구로는 신규 간호사의 전환충격 개념분석을 이론적 근거로 한 간호사 전환충격 척도가 개발되었다(Kim, Yeo, & Yi, 2017). 이 도구는 새로운 환경을 맞이할 때 겪는 감정 반응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친숙한 환경에서 벗어나 실습교육으로 전환될 때나타나는 간호대학생의 반응 또한 이 도구가 측정하려는 속성에 부합할 것으로 본다.
전환충격이란 무엇인가? 누구나 새로운 상황에 적응해야 하거나 삶에 변화를 주기위해서는 전환 시기를 거쳐야 하며(Kralik, Visentin, & VanLoon, 2006), 간호대학생은 간호사가 되기 위해 임상실습이라는 전환 시기를 맞이한다. Duchscher (2009)에 따르면 전환시기에는 전환충격을 경험하게 되는데, 전환충격이란 익숙한 환경에서 새로운 환경으로 이동하였을 때 이해하기 어려운 기대와 요구로 인해 겪게 되는 충격과 불균형의 상태이다(Kramer, Brewer, & Maguire, 2013). 전환충격은 역할, 관계,지식, 및 책임 측면의 변화를 겪는 신규 간호사가 나타내는 반응으로 설명되는데(Duchscher, 2009), 간호대학생 역시 애매모호한 역할과 미숙한 역할 수행, 낯설고 복잡한 인간관계,이론과 실제 실습과의 차이, 임상실무의 특성에 따른 정신적 압박감 등 변화된 환경으로 인해 다양한 반응을 나타낸다(Khater, Akhu-Zaheya, & Shaban, 2014; Lee & Kim, 2005;Whang, 2002).
전환충격은 신규 간호사나 간호대학생에게 어떠한 이유로 나타나는가? Duchscher (2009)에 따르면 전환시기에는 전환충격을 경험하게 되는데, 전환충격이란 익숙한 환경에서 새로운 환경으로 이동하였을 때 이해하기 어려운 기대와 요구로 인해 겪게 되는 충격과 불균형의 상태이다(Kramer, Brewer, & Maguire, 2013). 전환충격은 역할, 관계,지식, 및 책임 측면의 변화를 겪는 신규 간호사가 나타내는 반응으로 설명되는데(Duchscher, 2009), 간호대학생 역시 애매모호한 역할과 미숙한 역할 수행, 낯설고 복잡한 인간관계,이론과 실제 실습과의 차이, 임상실무의 특성에 따른 정신적 압박감 등 변화된 환경으로 인해 다양한 반응을 나타낸다(Khater, Akhu-Zaheya, & Shaban, 2014; Lee & Kim, 2005;Whang, 2002). 따라서 임상실습 역시 전환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학생들이 전환충격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stin, F., McKenna, L., Newton, J., & Moore-coulson, L. (2005). Registered nurses' expectations and experiences of first year students' clinical skills and knowledge. Contemporary Nurse, 18(3), 279-291. http://dx.doi.org/10.5172/conu.18.3.279 

  2. Barrett, C., & Myrick, F. (1998).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the precepte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7(2), 364-371. http://dx.doi.org/10.1046/j.1365-2648.1998.00511.x 

  3. Cho, M. H., & Kwon, I. S. (2007).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n nursing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2), 143-154. 

  4. Duchscher, J. E. (2009). Transition shock: The initial stage of role adaptation for newly graduated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5), 1103-1113.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8.04898.x 

  5.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6. George, D., & Mallery, P. (2003). SPSS for Windows Step-by-Step: A Simple Guide and Reference, 11.0 update (4th ed.). Boston: Allyn & Bacon. 

  7. Harrington, D. (2009).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8. Hong, S. H. (2000).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9. Houghton, C. E., Casey, D., Shaw, D., & Murphy, K. (2013). Students' experiences of implementing clinical skills in the real world of practic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2(13-14), 1961-1969. http://dx.doi.org/10.1111/jocn.12014 

  10.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http://dx.doi.org/10.1080/ 10705519909540118 

  11. Kang, M. A., & Lee, S. K. (2016). The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competenc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tress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4), 452-461. http://dx.doi.org/10.5977/jkasne.2016.22.4.452 

  12. Khater, W. A., Akhu-Zaheya, L. M., & Shaban, I. A. (2014). Sources of stress and coping behaviours in clinical practice among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4(6), 194-202. 

  13. Kim, E. Y., Yeo, J. H., & Yi, K. I. (2017). Development of the Transition Shock Scale for newly graduated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7(5), 589-599. http://dx.doi.org/10.4040/jkan.2017.47.5.589 

  14. Kralik, D., Visentin, K., & Van Loon, A. (2006). Transition: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5(3), 320-329.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6.03899.x 

  15. Kramer, M., Brewer, B. B., & Maguire, P. (2013). Impact of healthy work environments on new graduate nurses' environmental reality shock.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35(3), 348-383. http://dx.doi.org/10.1177/0193945911403939 

  16. Kumaran, S., & Carney, M. (2014). Role transition from student nurse to staff nurse: facilitating the transition period. Nurse Education in Practice, 14(6), 605-611. http://dx.doi.org/10.1016/j.nepr.2014.06.002 

  17. Lee, J. E., & Kim, S. L. (2005). Relationship among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self-esteem in nursing students taking clinical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1), 98-106. 

  18. Lee, K. H., & Shin, S. J. (2013). Validity of Instrument development research in Korean nursing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6), 697-703. 

  19. Lee, W. S., Uhm, J. Y., & Lee, T. W. (2014). Role transition of senior year nursing students: Analysis of predictors for role transi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2), 187-194.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2.187 

  20.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382-385. 

  21. Makarem, S., Dumit, N. Y., Adra, M., & Kassak, K. (2001). Teaching effectiveness and learning outcomes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in a critical care practicum: A lebanese experience. Nursing Outlook, 49(1), 43-49. http://dx.doi.org/10.1067/mno.2001.111186 

  22. Meleis, A. I., Sawyer, L. M., Im, E. O., Hilfinger Messias, D. K., & Schumacher, K. L. (2000). Experiencing transitions: An emerging middle-range theory. Advances in Nursing Science, 23, 12-28. 

  23. Newton, J. M., & McKenna, L. (2007). The transitional journey through the graduate year: A focus group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4(7), 1231-1237.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6.05.017 

  24. Noh, Y. G. (2017).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stress,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3(5), 461-470. http://dx.doi.org/10.11111/jkana.2017.23.5.461 

  25. Park, H. A. (2005). Theory: Problems and issues in developing measurement scales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Query, 14(1), 46-72. 

  26. Song, J. H., & Kim, M. W. (2013). Study on clinical education for nursing in hospital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2), 251-264.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2.251 

  27. Suresh, P., Matthews, A., & Coyne, I. (2013). Stress and stressors in the clinical environment: A comparative study of fourth-year student nurses and newly qualified general nurses in Ireland.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2(5-6), 770-779.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2.04145.x 

  28. Tak, J. K. (2007). Psychological testing: An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and evaluation method (2nd ed.). Seoul: Hakjisa. 

  29. Whang, S. J. (2002).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tool for the nursing students' clinical stress. Journal of the Margaret Pritchard College of Nursing, 14(1), 35-54. 

  30. Yi, Y. J. (2007).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e-learning orient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adapting to clinical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4), 593-6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