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전환충격과 임상실습적응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ition Shock and Adaptation on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1, 2019년, pp.387 - 394  

이외선 (경남도립거창대학 간호학과) ,  김은재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환충격과 임상실습적응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조절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간호대학 3학년에 재학 중인 18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9년 5월 1일부터 2019년 6월 14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WIN 23을 이용하여 빈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전환충격은 4점 만점에 2.32점, 감성지능은 5점 만점에 3.61점, 임상실습적응은 5점 만점에 3.40점으로 나타났다. 전환충격은 감성지능(r=-.26. p <.001), 임상실습적응(r=-.43. p <.001)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감성지능은 임상실습 적응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36. p <.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감성지능이 전환충격과 임상실습적응과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Delta}R^2=0.21$, p<.001).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전환충격을 감소시켜 임상실습에 잘 적응하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derated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ition shock and adaptation on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Subjects were 185 associate nursing students associate nursing students(3rd). The data were collected us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환충격과 임상실습적응 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검정하는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환충격과 임상실습적응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을 조절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전환충격은 4점 만점에 2.
  • 본 연구는 간호학과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전환충격과 임상실습적응과의 관계에서 감정지능의 조절효과를 파악하여 임상실습적응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환충격과 임상실습적응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여 간호대학생의 전환충격 감소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3단계 이후엔 어떤 과정을 거쳤는가? 3단계에서 독립변수인 전환충격, 조절변수인 감성지능, 독립변수와 조절변수의 상호작용변수를 투입하였다. 상호작용변수와 독립변수, 조절변수간의 다중공선선을 제거하기 위하여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를 평균 중심화 한 후 상호작용변수를 생성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14].
전환충격이란? 전환충격은 전환과정에서 가장 먼저 나타나는 반응으로 기대했던 것과 실제 업무와의 불일치가 있을 때 역할, 책임, 관계, 지식 등의 차원에서 겪는 의구심, 혼란, 혼동, 상실 등의 감정을 말한다[3].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4]에서 임상실습시 간호대학생의 전환충격은 중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규간호사도 전환충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5-7].
전환충격이론에서 초점을 두고 있는 감정은? 전환충격과 감성지능, 임상실습적응과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없는 상태로 본 연구결과를 직접적으로 비교하기는 힘든 상태이다. 전환충격이론은 역할, 책임, 관계, 지식, 기대의 측면에서 대상자가 겪는 불안, 불충분, 불안정 등의 감정에 초점을 두고 있다[3]. 그러므로 자기의 감정을 조절하고 활용할 줄 아는 긍정적 감성성향인[8] 감정지능이 전환충격을 조절하여 임상실습에 잘 적응하도록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Y. Kim & Y. S. Shin. (2019).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ransition Shock Scale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25(1), 17-26. DOI:https://doi.org/10.5977/jkasne.2019.25.1.17 

  2. S. Y. Kim. (2019).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Professional Socialization in Nursing Students Experiencing Clinical Practi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3. J. E. Duchsche. (2009). Transition shock: the initial stage of role adaptation for newly graduated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5), 1103-1113. DOI:https://doi.org/10.1111/j.1365-2648.2008.04898.x 

  4. S. Y. Kim & Y. S. Shin. (2018). Factors influencing adaptation on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9), 234-242. DOI:https://doi.org/10.5762/KAIS.2018.19.9.234 

  5. E. Y. Kim, J. H. Yeo, and K. I. Yi. (2017). Development of the Transition Shock Scale for newly graduated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7(5), 589-599. DOI: https://doi.org/10.4040/jkan.2017.47.5.589 

  6. K. M. Sin, J. O. Kwon & E. Y. Kim. (2014). Factors associated with new graduate nurses'' reality shock.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3), 292-301. 2014.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292 

  7. S. Y. Lee. & S. R. Suh. (2017).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Reality Shock in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4), 317-324.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4.317 

  8. C. S. Wong & K. S. Law.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3), 243-274. DOI : https://doi.org/10.1016/S1048 

  9. P. N. Lopes, M. A. Brackeet, J. B. Nezleck, A. Schutz,I. Sellin, P. Salovey. (2004).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interact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ical, 30, 1018-1034. DOI: http://dx.doi.org/10.1177/0146167204264762 

  10. J. D. Mayer, D. R. Caruso, P. Salovey, Emotional intelligence meets traditional standards for an intelligence. Intelligence, 27(4), 267-298. DOI:http://dx.doi.org/10.1016/S0160-2896(99)00016-1 

  11. H. N. Lee. The influencing factors of Optimism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Depress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1), 177-185. DOI:https://doi.org/10.5762/KAIS.2016.17.11.177 

  12. P. J. Hwang. (2007). A study on the influence of an employee's 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13. Y. J. Yi, (2007).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e-learning orient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adapting to clinical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4), 593-602. 

  14.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15. J. Y. Kim & J. Y. Cho. (2019).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 between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Transition Shock.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6), 1007-1024. DOI:http://dx.doi.org/10.22251/jlcci.2019.19.6.1007 

  16. H. S. Choi. (2018). Transition Shock of New Graduate Nurses in Small-Medium Sized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Seoul. 

  17. O. S. Lee & M. O. Gu. (2014). Development and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ixed Methods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