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용어에 대한 명시적 및 암시적 교육 사례 분석
An Analysis of Explicit and Implicit Teaching Cases for Scientific Terms in Science Textbook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9 no.6, 2019년, pp.767 - 775  

윤은정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교과서를 대상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과학용어의 명시적, 암시적 교육 사례를 분석하여 과학용어 교육 측면에서 현행 교과서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짚어보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실시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학년과 6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의 과학교과서 8권으로 부터 사용된 과학용어들을 추출하고, 명시적 및 암시적으로 사용된 사례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과학교과서의 초, 중, 고 과학교과서에는 교과서에 포함된 전체 어휘 대비 약 15~30% 정도의 비율로 과학용어가 사용되고 있었는데, 이는 페이지당 수록 과학용어 개수를 기준으로 외국의 경우와 비교했을 때 평균적으로 5배 이상의 많은 분량에 해당한다. 둘째, 과학교과서에 사용된 과학용어들 가운데 명시적 방법을 통해 의미 교육이 이루어지는 과학용어의 비율은 9.7~18.8%로 20%가 되지 않았으며, 자연적으로 나머지 80% 이상의 과학용어들은 암시적 교육 형태로 제시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저학년일수록 명시적 용어 교육의 비율이 높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초등학교의 명시적 용어 교육의 비율이 가장 낮았으며, 6학년의 경우는 10%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explicit and implicit teaching cases of scientific terms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ointing out the problems of current textbooks in terms of scientific terms education and proposing method to improve them. Scientific terms used in eight sci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명시적 과학용어 교육 사례 추출 결과

    과학용어가 정의문 또는 단답형 문항의 형태로 명시적으로 교육되고 있는 사례들을 추출해 보았다. 먼저 단답형 문항의 형태로 제시된 과학용어들은 초등학교는 3학년은 0개, 6학년은 6개였고, 중학교는 평균 65개, 고등학교는 평균 30개가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피정의항으로 명시된 사례에 포함되어 있었다.

  •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과학교과서를 과학용어 교육을 위한 도구적 측면에서 점검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는 과학교과서에 어느 정도의 과학용어가 사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들의 명시적, 암시적 용어 교육 실태를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명시적 암시적 교육 형태의 구성 비율이 학년별로 적절한지를 살펴 종합적으로 학생들의 입장에서 현재의 과학교과서가 과학용어 학습 도구로서 적절하게 기능할 수 있을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구체적으로는 과학교과서에 어느 정도의 과학용어가 사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들의 명시적, 암시적 용어 교육 실태를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명시적 암시적 교육 형태의 구성 비율이 학년별로 적절한지를 살펴 종합적으로 학생들의 입장에서 현재의 과학교과서가 과학용어 학습 도구로서 적절하게 기능할 수 있을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먼저 단답형 문항의 형태로 제시된 과학용어들은 초등학교는 3학년은 0개, 6학년은 6개였고, 중학교는 평균 65개, 고등학교는 평균 30개가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피정의항으로 명시된 사례에 포함되어 있었다. 따라서 해석은 중복해서 다루지 않고 정의문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 셋째, 저학년일 수록 명시적 용어 교육의 비율이 높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초등학교의 명시적 용어 교육의 비율이 가장 낮았으며, 6학년의 경우는 10%가 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종합적인 연구 결과들과 연구 과정에서 드러난 현재 과학교과서가 갖는 문제점들을 용어교육 측면에서 몇 가지 짚어보고 개선방안에 대한 제안들을 기술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과학교과서를 과학용어 교육을 위한 도구적 측면에서 점검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는 과학교과서에 어느 정도의 과학용어가 사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들의 명시적, 암시적 용어 교육 실태를 분석해 보았다.
  • 따라서 암시적 형태의 노출을 통해 학생들의 용어 학습을 도울 필요가 있다. 이에 정의문을 제외한 문장들 가운데 3어절 이상으로 구성된 문장 속에서 과학용어가 사용된 사례들을 추출하고, 개별 과학용어가 문장 속에 암시적 교육 형태로 사용된 빈도를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모든 학년의 과학교과서에서 빈도수 8회 이상 사용된 과학용어보다 8회 미만으로 사용된 과학용어 개수가 더 많았다(표 4 참조).
  • 현재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교과서 가운데 초등학교 3학년과 6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의 4개 학년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초등학교 3학년은 학생들이 과학을 처음 배우기 시작하는 단계이므로 기초 과학용어들이 명시적 방법 위주로 제시되어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선정하였고,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은 학교급이 변하는 시기에 교과서의 과학용어 제시 전략이 어느 정도 연속성 있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정하였으며, 고등학교 1학년은 중 3까지의 교육을 마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상위 단계의 학습 도구로서의 측면에서 살펴보기 위하여 정하였다. 초등학교 교과서는 단일 출판사이고,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는 각각 3종의 출판사를 임의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셋째,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의 명시적 과학용어 교육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초등학교는 과학 학습을 시작하는 초기 단계이므로 과학의 지식 체계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개념들을 접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출판사별 용어 사용의 편차가 생김으로써 어떤 문제점이 생기는가? 그러나 연구 결과에서 출판사별로 정의문을 제시한 용어의 일치도가 낮고, 교육과정에 제시된 과학용어들도 완전히 반영되어 있지 않음이 드러났다. 이는 학생들이 같은 교육과정의 교육을 받더라도 어느 출판사의 교과서를 접하느냐에 따라 중요하게 학습되는 과학용어의 종류가 크게 달라짐을 의미한다. 주요 과학용어들의 사용을 통일하는 것이 모든 과학교과서들을 획일적으로 기술해야 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단어 습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점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단어 습득에 가장 많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해당 단어에 얼마나 많이 노출되는가를 의미하는 노출 빈도가 꼽힌다(Huckin & Coady, 1999; Jenkins, Stein & Wysocki, 1984; Rott,1999). 이는 단어에 노출되는 횟수가 늘어날수록 해당 단어의 습득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짐을 의미한다(Chen & Truscott, 2010).
과학용어를 습득하기 위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 과학용어의 경우 학생들이 일상 생활 속에서는 거의 접할 기회가 없고 과학 수업을 통해서만 제한적으로 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학생들로 하여금 과학용어를 습득하게 하려면 과학 수업을 통해 의도적으로 노출 기회를 주어야 하는데, 제한된 수업 시간 동안 많은 양의 과학용어를 모두 가르칠 수는 없으므로 적절한 교수 전략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l-Homoud, F., & Schmitt, N. (2009). Extensive reading in a challenging environment: A comparison of extensive and intensive reading approaches in Saudi Arabia. Language Teaching Research, 13(4), 383-401. 

  2. Beck, I., & Mckeown, M. (1991). Conditions oF vocabulary acquisition. In R. Barr, M. L. Kamil, P. B. Mosenthal, & P. D. Pearson (Eds.),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2 (pp. 789-814).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 Bell, T. (2001). Extensive reading: Speed and comprehension. The Reading Matrix, 1(1). 

  4. Chen, c., & Truscott, J (2010). The effects of repetition and Ll lexicalization on incidental vocabulary acquisition. Applied Linguistics, 31(5), 693-713. 

  5. Ellis, N. C. (1994). Implicit and explicit learning of language. London: Academic Press. 

  6. Fang, Z. (2006). The language demands of science reading in middle School.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5), 491-520. 

  7. Flowerdew, J. (1992). Definitions in Science Lectures, Applied Linguistics, 13(2), 202-221. 

  8. Folse, K. S. (2004). Myth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second language vocabulary: What recent research says. TESL Reporter, 37(2), 1-13. 

  9. Gernsbacher, M., & Faust, M. (1991). The mechanism of suppression: A component of general comprehension skill.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7(2), 245-263. 

  10. Groves, F. H. (2016). A longitudinal study of middle and secondary level science textbook vocabulary load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16(6), 320-325. 

  11. Groves, F. H. (1995). Science vocabulary load of selected secondary science textbook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5), 231-235. 

  12. Huckin, T. & Coady, J. (1999). Incidental vocabulary acquisition in a second language.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21(2), 181- 193. 

  13. Hunt, A., & Beglar, D. (2005). A Framework For developing EFL reading vocabulary. Reading in a Foreign Language, 17(1), 23-59. 

  14. Itza-Ortiz, S., Rebello, N. S., Zollman, D., & Rodriguez-Achach, M. (2003). The vocabulary of introductory physics and its implications for learning physics. The Physics Teacher, 41(6), 330. 

  15. Jenkins, J. R., Stein, M. L., & Wysocki, K. (1984). Learning vocabulary through read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1(4), 767-787. 

  16. Kim, G. (2003). Vocabulary by grade for Korean education. Pagijoung Press. 

  17. Kim, J. (2009). The writing of a definition sentence.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81, 69-84. 

  18. Kim, J. & Im, H. (2012). The interaction effects of exposure frequency and task-induced involvement on English learners' vocabulary development.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9(4), 349-373. 

  19. Ko, S., Choi, K., & Hwang, M. (2010). Comprehension of ambiguous words in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15(3), 348-356. 

  20. Lee, E. & Park, M. (2018). The effects of explicit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through movies on Learners' vocabulary knowledge. Journal of the Korea English Education Society, 17(2), 75-92. 

  21. Lemke, J. L.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Norwood, NJ: Ablex. 

  22. Matsuoka, W., & Hirsh, D. (2010). Vocabulary learning through reading: Does an ELT course book provide good opportunities? Reading in a Foreign Language, 22(1), 56-70. 

  23. Miller, G. A. (1991). The science of words. W. H. Freeman & Co. 

  24. Miller, J. (2009). Teaching refugee learners with interrupted education in science: Vocabulary, literacy and pedagog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4), 571-592. 

  25. Mun, J. (2013).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Arabic vocabulary learning depending on the compromise ratio of implicit/ex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s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the Middle East Studies, 32(1), 85-121. 

  26. Nam, K. (2016). A study on types of defining sentences in science text. Korean Semantics, 52, 111-138. 

  27. Nation, I. S. P., & Wang, K. (1999). Graded readers and vocabulary. Reading in a Foreign Language, 12(2), 355-380. 

  28. Nation, I. S. P. (2001).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08). Standard Korean dictionary.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30. Pavel, S. & Nolet, D. (2001). Handbook of terminology. Public Works and Government Services Canada. 

  31. Reeves, C. (2005). The language of science. Routledge 

  32. Rott, S. (1999). The effect of exposure frequency on intermediate language leamers' incidental vocabulaty acquisition and retention through reading.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21(4), 589-619. 

  33. Shin, S. (2005). The abstraction and taxonomy of events. Korean Semantics, 16, 295-317. 

  34. Stahl, S. A. (1986). Three principles of effective vocabulary instruction. Journal of Reading, 29(7), 662-668. 

  35. Staples, R. & Helselden, R. (2002). Science teaching and literacy. The School Science Review, 83(304), 51-62. 

  36. Sokmen, A. J. (1997). Current trends in teaching second language vocabulary. In N. Schmitt & M. McCarthy (Eds.), Vocabulary: Description, acquisition and pedagogy (pp. 237-257),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Waring, R., & Takaki, M. (2003). At what rate do leamers leam and retain new vocabulary from reading a graded reader. Reading in a Foreign Language, 15(2), 130-163. 

  38. Webb, S. (2005).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learning: The effects of reading and writing on word knowledge.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27(1), 33-52. 

  39. Werner, H., & Kaplan, B. (1963). Symbol formation: An organismic developmental approach to language and the expression of thought. New York: Wiley. 

  40. Wilson, E. O. (1998). 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 New York: Alfred A. Knopf. 

  41. Yager, R. (1983). The importance of terminology in teaching K-12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 577- 588. 

  42. Yun, E., Yi, Y., & Park, Y. (2013). Analysis of students' word association about the science terminologies used in the "Force and Motion" unit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3), 573-582. 

  43. Yun, E. & Park, Y. (2013). Research o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science terminolog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7), 1343-1353. 

  44. Yun, E. & Park, Y. (2015). Test environment factors influencing word association about science terminology in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6), 1031-1038. 

  45. Yun, E., Kwon, S. G., & Park, Y. (2015). Analysis of problems of current science textbooks perceived by teachers and students in view of learner- centered classroo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9(3), 404-417. 

  46. Yun, E., Kim, J., Nam, K., Song, H., Ok, C., Choi, J., & Park, Y. (2018). Building Korean science textbook corpus (K-STeC) for research of scientific language in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4), 575-585. 

  47. Zahar, R., Cobb, T., & Spada, N. (2001). Acquiring vocabulary through reading: Effects of frequency and contextual richness. Canadian Modern Language Review, 57(4), 541- 5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