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집단중심 추세모형을 이용한 과학중점학교 1학년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과학과 핵심역량과 과학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탐색
Exploring the Effect of First Year Science-Focused School Program on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Core Competency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Using Group-Based Trajectory Modeling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9 no.6, 2019년, pp.799 - 807  

하민수 (강원대학교) ,  이기영 (강원대학교) ,  최은환 (춘천고등학교) ,  김일찬 (춘천고등학교) ,  유지혜 (설악고등학교) ,  원복연 (춘천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과학중점학교의 1학년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과 핵심역량과 과학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과학중점학교 1학년 프로그램은 과학탐구 기초교육, 조사 발표, 심화실험, 소논문 기초교육 등으로 구성된다. 프로그램 참여자는 총 262명이며, 설문 검사를 모두 수행한 학생은 169명이다. 집단중심 추세모형 분석을 통해 유사한 점수 변화 보이는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중점학교의 1학년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과 핵심역량과 과학학습동기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집단중심 추세모형분석 결과 약 40~60%의 학생들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았다. 인문계열을 선택한 학생들 중에서도 효과가 나타나는 학생들이 있었으며, 과학중점 계열을 선택한 학생 중에서도 교육적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학생들도 일부 있었다. 집단중심 추세모형 분석을 통해 개별 학생들의 변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론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과학중점학교 정책의 긍정적 효과를 통계적으로 확인하였으며, 과학중점학교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을 위한 사례로서 의미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if the first-year program of science-focused school improved students' scientific core competency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The first-year program of the science-focused school consisted of basic education in scientific inquiry, investigation, advanced expe...

주제어

표/그림 (8)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중점학교란 ? 과학중점학교는 일반고등학교에서 우수한 과학 인력을 양성하기위하여 특성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정한 학교이다. 다양한 과학 관련 교과목을 연관적으로 학습하여 창의 역량 및 과학관련 태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과학중점학교의 역할은 ? 다양한 과학 관련 교과목을 연관적으로 학습하여 창의 역량 및 과학관련 태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과학중점학교에서는 이공 계열에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충분한 수준의 과학⋅수학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다양한 창의적 체험활동을경험하도록 한다. 학생들은 과학⋅수학 관련된 기초학력을 함양하고,다양한 경험을 통해 핵심 역량을 신장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oone, W. J., Staver, J. R., & Yale, M. S. (2014). Rasch analysis in the human sciences. New York, NY: Springer. 

  2. Byun, Y., & Park, K. A. (2019).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science core school.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5), 629-649. 

  3. Cohen, J. (1992). A power primer. Psychological Bulletin, 112(1), 155-159. 

  4. Erosheva, E. A., Matsueda, R. L., & Telesca, D. (2014). Breaking bad: Two decades of life-course data analysis in criminology,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beyond. Annual Review of Statistics and Its Application, 1, 301-332. 

  5. Glynn, S. M., Brickman, P., Armstrong, N., & Taasoobshirazi, G. (2011).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II: Validation with science majors and nonscience majo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10), 1159-1176. 

  6. Ha, M., Park, H. J., Kim, Y. J., Oh, P. S., Kim, M. J., Min, J. S., Lee, Y. H., Han, H. J., Kim, M. K., Ko, S. W., & Son, M. H. (2018). Developing and applying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science core competencies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4), 495-504. 

  7. Hattie, J. A. C. (2012). Visible Learning for Teachers. London, UK: Routledge. 

  8. Kim, J., Na, J., & Song, J. (2017).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forming the strategic community of practice for science education: A case of science core school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7(1), 169-179. 

  9. Kim, J., Na, J., & Song, J. (2018). Features of science classes in science core schools identifi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4), 565-574. 

  10. Lee, B., Choi, J. H., Son, J. W., Kim, J. H., Park, J. S., Seo, H. A., & Shim, K. C. (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for a science core school through a satisfaction survey. New Physics: Sae Mulli, 62(8), 826-839. 

  11. Min, H. J. (2012). Mothers' employment experience surrounding a first childbirth in South Korea: An Application of group-based trajectory model.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6(2), 61-87. 

  12. Nagin, D. S. & Tremblay, R. E. (2001) Analyzing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distinct but related behaviors: A group-based method. Psychological Methods, 6(1), 18-34. 

  13. Nagin, D. S. (2016). Group-based trajectory modeling and criminal career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53(3), 356-371. 

  14. Nagin, D. S., & Odgers, C. L. (2010). Group-based trajectory modeling in clinical research.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6, 109-138. 

  15. Nielsen, J. D., Rosenthal, J. S., Sun, Y., Day, D. M., Bevc, I., & Duchesne, T. (2012). Group-based criminal trajectory analysis using crossvalidation criteria group-based criminal trajectory analysis using cross-validation criteria, Communications in Statistics - Theory and Methods, 43(20), 4337-4356. 

  16. Ryoo, J. S. C., Yoon, J., & Lee, Y. O. (2014). A case study on curriculum management of science core high school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10), 305-328. 

  17. Shim, K. C., Son, J. W., Cha, J., Park, J. S., Lee, B. W., Choi, J. H., Lee, K. Y., Kim, J. H., & Seo, H. A. (2016). Study on cognition of graduates from science core schools about the management of science core schools. New Physics: Sae Mulli, 66(7), 845-852. 

  18. Son, J., Lee, B. W., Choi, J. H., Kim, J. H., Park, J. S., Seo, H. A., Shim, K. C., Lee, K. Y., & Lee, S. K. (2013). Satisfactions with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at science core school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New Physics: Sae Mulli, 63(4), 379-389. 

  19. Song, K., & Choi, S. (2013). An influence of curriculum of science core school on the affective domain and non-subject hands-on activities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6(2), 112-1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