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집단중심 추세모형을 적용한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통합 탐구 기능 변화 분석
Analyzing the Change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Integrated Process Skills Using Group-based Trajectory Modeling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41 no.1, 2020년, pp.48 - 60  

이기영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하민수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박재용 (서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집단중심 추세모형을 적용하여 과학고 학생들이 탐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통합 탐구 기능 변화의 양상과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3개의 가설-연역적 탐구 과제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59명의 과학고 학생들에게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하고 그 과정을 보고서로 작성하게 하였다. 작성된 보고서는 Lee and Park(2017)에 의해 개발된 평가 준거틀에 따라 통합 탐구 기능 4개 요소별로 평가하였으며, 이를 집단중심 추세모형에 적용하여 탐구 과제를 수행한 3개 시점에 따른 탐구 기능 수준의 변화 양상을 요소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탐구 기능 변화에서 나타난 특징을 몇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중심 추세모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통합 탐구 기능 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 4개 요소 모두에서 2개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나 그 변화 양상은 요소별로 많은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통합 탐구 기능 변화에서 나타난 특징을 분석한 결과, 탐구 기능의 맥락의존성, 탐구 기능 발달 경로의 변이성, 탐구 기능 요소별 수준의 들쭉날쭉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고 학생들의 통합 탐구 기능 발달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integrated process skills during the process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inquiry by using group-based trajectory modeling. 59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ee hypothetico-deductive inquiry task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이 연구에서 집단중심 추세모형 분석은 통합 탐구 기능 수준의 변화가 비슷한 집단을 탐색하고 스캐폴딩의 효과를 가늠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학생 개개인의 통합 탐구 기능 수준의 변화 양상 및 특징까지 구체적으로 드러내 주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학생 개개인에 초점을 맞추어 통합 탐구 기능의 평가 요소별로 개별 학생이 획득한 종단 점수의 변화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개별 학생들의 통합 탐구 기능 수준이 어떻게 변화하고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 묘사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집단중심 추세모형을 적용하여 과학고 학생들이 탐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통합 탐구 기능 변화의 양상과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개의 가설-연역적 탐구 과제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과학고 학생들에게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하고 그 과정을 보고서로 작성하게 하였다.
  • 국내에서 과학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과학 탐구 기능 수준이나 변화 분석과 관련된 선행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과학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탐구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통합 탐구 기능 수준 변화의 양상과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토대로 교사가 탐구 수업에서 제공하는 스캐폴딩이 학생들의 통합 탐구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가늠하고자 하였다.
  • 이처럼 최근 과학교육계가 과학적 탐구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과학적 실행 중심의 과학교육을 요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했던 과학 탐구 기능의 중요성에 기반하여 고등학생들의 통합 탐구 기능에 초점을 맞춘 후, 그 수준의 변화 양상 및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까닭은 최근 과학교육계의 요구와 달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탐구 수업은 여전히 탐구 기능의 관점을 따르고 있을 뿐 온전한 의미의 과학적 실행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Kim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교육에서 과학 탐구의 목적은 무엇인가? 이러한 과학의 속성에 비추어 볼 때, 학교교육에서 과학 탐구는 학생들이 과학 지식을 발달시키고 과학적 개념의 이해를 증진하는 활동뿐만 아니라 과학자가 자연 세계를 연구하는 방법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포함한다(NRC, 1996; NRC, 2000). 학교교육에서 과학 탐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과학적 탐구를 통해 과학 지식을 획득할 뿐만 아니라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며, 과학 탐구에 필요한 기능을 습득하고 과학적 탐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다(Cho et al., 2009; Gaskell, 1992; Vasques, 2008; Wellington and Ireson, 2008).
과학이란 무엇인가? 과학은 자연계에 대한 현재의 이해(과학 지식)와 그 지식 체계가 확립되고 지속적으로 확장, 개선, 수정되는 과정(탐구의 과정)의 집합체이다. 과학에서 이 두 가지 요소는 필수적이며, 이들 요소를 모두 이해하지 않으면 과학은 발전할 수 없다(NRC,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bd-El-Khalick, F., Bell, R.L., and Lederman, N.G., 1998, The nature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practice: Making the unnatural natural. Science Education, 82(4), 417-436. 

  2.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1990, Science for all Americans.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Washington, D.C., USA. 

  3. Bae, Y., 2009, The application of inquiry process skills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19(2), 89-102. 

  4. Cho, H., and Choi, G., 2006, Science teaching-learning and performance assessment. Seoul: Kyoyookgwahaksa. 

  5. Cho, H., and Choi, G., 2008, Theory and practices of science education (2nd ed.). Seoul: Kyoyookgwahaksa. 

  6. Cho, H., Kim, H., Yoon, H., and Lee, K., 2009, Theory and practices of science education (3rd ed.). Gyeonggi: Academy press. 

  7. Gaskell. P.J., 1992, Authentic science and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4(3), 265-272. 

  8. Jang, M., Bae, J., Kwon, N., Shin, A., Jung, Y., and Na, J., 2019, Theory and practices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nd ed.). Seoul: Academy press. 

  9. Keys, C., Hand, B., Prain, V., and Collins, S., 1999, Using the scientific writing heuristic as a tool for learning from laboratory investigations in secondary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10), 1065-1084. 

  10. Kim, M., Hong, J., Kim, S., and Lim, C., 2017,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the life science chapter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Focusing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8 scientific practice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1(3), 318-333. 

  11. Lederman, N.G., 2007, Nature of science: Past, present, and future. In Abell, S.K. and Lederman, N.G. (eds.), Handbook of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pp 831-879). Mahwah, NJ: Lawrence Erlbaum Publishers, USA. 

  12. Lee, B., 2005, Analysis of inquiry standards in foreign national science curricul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5(7), 873-884. 

  13. Lee, K., Dong, H., Choi, W., Kwon, G., Lee, I., and Kim, Y., 2017, Explor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eight core concepts of middle school science using constructed response items 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1(3), 382-404. 

  14. Lee, K., Heo, J., and Park, J., 201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gnitive scaffolding tools for enhancing the integrated science process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9(4), 545-562. 

  15. Lee, K., and Park, J., 2017, Explor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integrated process skills in earth science inquiry.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8(3), 222-238. 

  16. Lee, Y., and Cho, H., 2015, Scientific inquiry. Gyeonggi: Kyoyookgwahaksa. 

  17. Lunetta, V.N., Hofstein, A., and Clough, M., 2007, Learning and teaching in the school science laboratory: An analysis of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In Lederman, N. and Abel, S.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pp. 393-441). Mahwah, NJ: Lawrence Erlbaum, USA. 

  18. Martin, D.J., 2012,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6th ed.). CA: Wadsworth Cengage Learning, USA. 

  19. Ministry of Education [MOE], 1997, 7th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 1997-15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Seoul, Korea. 

  20.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5-74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Seoul, Korea. 

  21. Nagin, D., 2016, Group-based trajectory modeling and criminal career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53(3), 356-371. 

  22. Nagin, D., and Tremblay, R., 2001, Parental and early childhood predictors of persistent physical aggression in boys from kindergarten to high school.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8, 389-394. 

  23.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USA. 

  24.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USA. 

  25.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USA. 

  26.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USA. 

  27.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USA. 

  28. Nielsen, J.D., Rosenthal, J.S., Sun, Y., Day, D.M., Bevc, I., and Duchesne, T., 2012, Group-based criminal trajectory analysis using cross-validation criteria group-based criminal trajectory analysis using cross-validation criteria, Communications in Statistics-Theory and Methods, 43(20), 4337-4356. 

  29. Rezba, R.J., Sprague, C.R., McDonnough, J.T., and Matkins, J.J., 2007, Learning and assessing science process skills (5th ed.). IA: Kendall Hunt Publishing Company, USA. 

  30. Schwab, J., 1962, The teaching of science as enquiry. In Schwab, J.J. and Brandwein, P.F. (eds.), The teaching of science (pp. 1-103).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USA. 

  31. Selles-Martinez, J., 2004, International earth science olympiad: What to test and how to do so. Seoul Conference for the International Earth Science Olympiad Conference Proceedings, 136-142. 

  32. Vasques, J.A., 2008, Tools & traits: Highly effective science teaching, K-8. NH: Heinemann, USA. 

  33. Vygotsky, L.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USA. 

  34. Vygotsky, L.S., 1978,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and development. In Gauvain, M. and Cole, M (eds.) Readings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pp. 34-40). NY: Scientific American Books, USA. 

  35. Wellington, J., and Ireson, G., 2008, Science learning, science teaching. London: Routledge, UK.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