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대상 영양표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on Nutrition Labeling for Adult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4 no.1, 2019년, pp.34 - 43  

김미현 (공주대학교 식품과학부) ,  연지영 (서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was designed to increase the knowledge, attitudes, and skills of Korean adults regarding nutrition labeling. The education program was 45 minutes of short-term training, which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lectures a...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본 교육 자료를 이용하여 영양표시 교육을 실시하는 교육자들이 표준화된 교육을 실시 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 및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 교수자용 매뉴얼을 함께 마련하였다. 또한, 교육 시 배포 가능한 유인물과 영양표시 사전 및 사후 평가 활동지를 함께 개발하여 소비자의 영양표시 인지 수준에 대한 자각을 통한 동기부여 및 교육의 효과평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 영양표시 교육 자료 개발 내용의 구성 시 영양표시 활용의 제한요인을 교육 내용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최근 주부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결과에서 영양표시 활용의 가장 큰 제한 요인은 글씨가 너무 작거나 조잡함으로 50.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영양표시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소비자의 영양표시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2018년부터 적용되는 개선 영양표시 내용을 반영한 성인 대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성인을 대상으로 강의 및 실습 형태로 단회성 교육을 실시한 후 교육효과평가를 실시하여 성인 대상 표준 영양표시 교육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표시제 이용율이 가장 낮은 세대는 언제인가? 5%, 65세 이상 5.1%로 20대 까지는 연령에 따라 이용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30대 이후부터 영양표시 이용률이 낮아지고, 특히 50대 이후의 영양표시 이용률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MOHW & KCDCP 2017b). 이를 2005년 자료인 6~11세 10.
영양표시의 역할은 무엇인가? 8%, 여자 82.0%)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MOHW & KCDCP 2017a),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과 이용률이 증가된다면 영양표시가 소비자의 바람직한 식품 선택을 위한 중요 정보자료로 잘 활용 될 수 있음을 예측 할 수 있다. 따라서 영양표시인식 및 활용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교육과 홍보 방안의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2016년 영양표시 이용률은 얼마인가? 우리나라는 1995년 가공식품에 대한 영양표시제를 도입한 이후 지속적으로 표시품목의 확대 및 표시방법의 개정을 거듭해오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1996;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2000, 2006-200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3, 2015). 그러나, 2016년 국민건강통계에서 성인의 가공식품 선택 시 영양표시 이용률은 약 25% 정도로 나타나는 등 소비자의 활용 및 인식도의 향상이 필요한 실정이다(MOHW & KCDCP 2017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YJ, Yeon JY. 2011. Dietary behaviors, processed food preferences and awareness levels of nutrition label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middle region by breakfast eating. J Korean Diet Assoc., 17(4):387-402 

  2. Contento IR. Nutrition education linking research, theory & practice. In Lee KH, Kim KW, Kim JM, Woo TJ, Lee SM, Lww HW. ediitors. 2016. Kyomoonsa, Paju, Korea, pp 76 

  3. Kim JM. Lee MH, Lee NH. 2014. Perception on nutrition labeling of the processed food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in Daegu area. Korean J. Food Nutr., 27(6):1107-1118 

  4. Kim MH, Kim H, Lee WK, Kim SJ, Yeon JY. 2013. Food habits and dietary behavior related to using processed food among male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dormitory and self-boarding in Gangwon. Korean J Community Nutr., 18(4):372-385 

  5. Ko SY, Kim KW. 2010. Nutrition label use, self-efficacy, snacking and eating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gi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5(4):513-524 

  6.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2000. Food Labeling Standards.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orea, pp 36 

  7.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2006. Food Labeling Standards.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orea, pp 40 

  8.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2007. Food Labeling Standards.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orea, pp 69 

  9.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2008. Food Labeling Standards.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orea, pp 66 

  10.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2009. Food Labeling Standards.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orea, pp 31 

  11. Kwon KI, Yoon SW, Kim SJ, Kang H, Kim HN, Kim JY, Kim SY, Lee K, Lee JH, Jung SM, Ock SW, Lee EJ, Kim JW, Kim MC, Park HK. 2010. A survey on customers'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ing for processed food and restaurant meal. Korean J Nutr., 43(2):181-188 

  12. Lee SH, Lee SL. 2014. The effect of the use of nutrition labeling on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nutrition knowledge and application of nutrition information to daily life among housewives in Gyeonggi-provincial area.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3(3):453-465 

  13. Ministry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 Korea Food Education Network (MAFRA & KFEN) 2015.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for personality education of adolescent. Ministry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 Korea Food Education Network. Korea, pp 33-41 

  14. Ministry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 Korea Food Education Network (MAFRA & KFEN) 2016a. Dietary life guideline in elementary school (3 Grades Teacher's Book) Ministry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 Korea Food Education Network. Korea, pp 28-35 

  15. Ministry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 Korea Food Education Network (MAFRA & KFEN) 2016b. Dietary life guideline in elementary school (5 Grades Teacher's Book) Ministry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 Korea Food Education Network. Korea, pp 28-35 

  16. Ministry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4. Dietary life education -professional education course-. Ministry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Korea, pp 105 

  1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3. Food Labeling Standar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pp 254 

  1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5. Food Labeling Standar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pp 77 

  1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6a. Report of Consumer perception about nutrition label.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pp 18-19 

  2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6b. Food Labeling Standar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pp 45 

  2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6c. Food Labeling Standar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pp 99 

  2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7a. Food SafetyNutrition (Hig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pp 34-43 

  2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7b. Food SafetyNutrition (Middle School).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pp 53-63 

  2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7c. Food SafetyNutrition (Middle School Teacher's Book).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pp 57-66 

  2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7d. Food SafetyNutrition (High School).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pp 55-64 

  2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7e. Food SafetyNutrition (High School Teacher's Book).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pp 55-64 

  2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1996. Food Labeling Standard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pp 67 

  2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OHW & KCDCP). 2017a. Korea Health Statistics I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pp 224-226 

  2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OHW & KCDCP). 2017b. Korea Health Statistics II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pp 174 

  30. Satia JA, Galanko JA, Neuhouser ML. 2005. Food nutrition label use is associated with demographic, behavioral, and psychosocial factors and dietary intake among African Americans in North Carolina. J Am Diet Assoc., 105(3):392-4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