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민의 경찰협력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찰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Citizens' Commitment to Police Activities: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Police Confidence 원문보기

시큐리티연구 = Korean security journal, no.61, 2019년, pp.353 - 376  

홍승표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찰행정학과) ,  박종승 (전주대학교 경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시민의 경찰협력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에 있어 경찰에 대한 시민의 신뢰가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선행연구 분석을 실시하여 경찰활동 협력 및 경찰신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되는 요인을 선정한 뒤, 이를 바탕으로 서울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5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협력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절차적 공정성이 확인되었다. 즉, 경찰활동이 절차에 따라 공정하게 이루어질수록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협력의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시민의 협력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경찰활동이 보다 공정하게 집행되고 이를 시민이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순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인식정도와 지역사회 무질서 정도는 경찰신뢰를 매개로 하여 경찰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민이 경찰의 순찰활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경찰신뢰가 증가하고 이러한 신뢰는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협력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무질서한 환경이 개선될수록 경찰에 대한 시민의 신뢰는 증가하고, 이는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협력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경찰신뢰가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경찰활동의 절차적 공정성이 증가하게 되면 시민은 경찰을 신뢰하고, 이러한 경찰신뢰를 바탕으로 시민은 경찰에 협력하게 된다. 또한 절차적 공정성은 시민의 경찰 협력의 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citizens' willingness to cooperate in police activities and to verify the intermediation effects of citizens' trust in police in these relationship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such research, we selected factors that are expected to affect coo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일반 시민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협력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그 과정에서 경찰신뢰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협력 의사에 경찰에 대한 신뢰가 갖고 있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일반 시민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했으며, 구체적으로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20세 이상의 성인남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협력이 강조되는 현 상황에 근거하여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협력을 유도할 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그 과정에서 범죄신고를 포함한 경찰활동 협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는 경찰신뢰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시민의 경찰활동 협력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경찰신뢰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 <그림 1>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한 뒤,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 연구는 일반 시민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협력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그 과정에서 경찰신뢰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협력 의사에 경찰에 대한 신뢰가 갖고 있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 연구에서는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협력이 강조되는 현 상황에 근거하여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협력을 유도할 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그 과정에서 범죄신고를 포함한 경찰활동 협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는 경찰신뢰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이처럼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협력이 중요한 개념으로 인정받고 있는 시점에서 이 연구는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협력을 유도할 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경찰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협력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절차적 공정성으로 확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찰협력이란? 경찰협력이라 함은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협력 또는 협조 내지 참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경찰실무에서는 협력치안이란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기존 경찰 중심의 치안활동에 시민과 지역사회를 비롯한 민간부분의 협력과 참여를 유도하는 경찰협 력은 “효율적인 경찰활동을 위해 경찰과 주민의 우호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경찰활 동에 시민과 지역사회의 협력과 참여를 유도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정우열, 2015).
협력치안의 이론적 배경은? 이러한 경찰협력 내지 협력치안은 치안서비스 공동생산론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치안서비스 공동생산의 개념은 변화하는 사회현상에 걸맞은 치안활동을 전개하기 위한 목적으로 경찰활동에 시민의 협력과 참여를 중요요소로 간주하는 것을 의미한다.
치안서비스 공동생산의 개념은 과거의 치안서비스의 방식과 무엇이 다른가? 여기서 말하는 치안서비스 공동생산의 개념은 변화하는 사회현상에 걸맞은 치안활동을 전개하기 위한 목적으로 경찰활동에 시민의 협력과 참여를 중요요소로 간주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치안서비스의 생산자 역할을 담당했던 경찰과 치안서비스의 수혜자로 시민을 바라보는 과거의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 전통적 형태의 경찰활동만으로는 범죄문제의 해결이 어려운 현재의 상황을 극복하고자 경찰활동에 시민의 협력과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는 것이다(최선우,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경찰청 (2017). 경찰백서. 

  2. 김균태 (2017). 지역주민의 범죄신고 의사 영향요인.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렬, 성도경, 이환범, 이수창. (2008). 사회과학 연구 및 논문작성을 위한 통계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 대명. 

  4. 김명수 (2004). 협력치안활동의 실태 및 문제점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3, 3-30. 

  5. 김정준, 이상열 (2019). 협력치안 활성화 방안에 관한 시민 인식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16, 93-114. 

  6. 류준혁 (2012). 시민의 경찰에 대한 인식 분석. 사회과학연구, 38, 171-200. 

  7. 박철현, 구본희 (2018). 범죄피해의 신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D. Black VS. Feminist, 한국범죄학, 12, 121-137. 

  8. 신소라 (2016). 폭력물 시청과 폭력 목격이 청소년의 사이버불링과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교정복지연구, 44, 143-162. 

  9. 이정훈 (2014). PEQ를 활용한 노인범죄에 대한 협력치안네트워크의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11, 79-101. 

  10. 임창호, 김영수 (2018). 외국인 밀집지역 내 거주 주민의 경찰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찰학논총, 13, 151-183. 

  11. 장현석 (2014a). 경찰에 대한 신뢰도 결정요인: 도구적 시각과 표현적 시각의 비교.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3, 239-262. 

  12. 장현석 (2104b). 경찰 신뢰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 비교 연구. 한국경찰연구, 13, 311-340. 

  13. 정우열 (2015). 협력치안에 대한 경찰과 민간경비의 인식 연구. 경찰학논총, 10, 405-432. 

  14. 채서일. (2003). 사회과학조사방법론(3rd ed). 서울: 학현사. 

  15. 최선우 (2001). 치안서비스의 공동생산론적 접근. 한국공안행정학회보, 11, 375-411. 

  16. 최수형, 김지영, 황지태, 박희정 (2015). 전국범죄피해조사 2014.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7. 탁종연 (2010). 범죄피해자의 신고 결정요인 분석: 절도와 사기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21, 53-75. 

  18. 허용훈, 문유석 (2006). 성공적 지역경찰활동을 위한 경찰과 지역사회 간의 협력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77-301. 

  19. 황의갑 (2013). 경찰에 대한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시민들과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대도시권 한인들 간의 비교연구. 한국경찰연구, 12, 411-434. 

  20. Bradford, B., Jackson, J., & Stanko, E. A. (2009). Contact and confidence: Revisiting the impact of public encounters with the police. Policing & society, 19(1), 20-46. 

  21. Chou, C. P. (1995). Estimates and tes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37-55. 

  22. Hough, M., Jackson, J., Bradford, B., Myhill, A., & Quinton, P. (2010). Procedural justice, trust, and institutional legitimacy. Policing: A Journal of Policy and Practice, 4(3), 203-210. 

  23. Jackson, J., & Bradford, B. (2010). What is trust and confidence in the police?. Policing: A Journal of Policy and Practice, 4(3), 241-248. 

  24. Jang, H., Joo, H. J., & Zhao, J. S. (2010). Determinants of public confidence in police: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Journal of Criminal Justice, 38(1), 57-68. 

  25. Kline, R. B. (2011). Convergen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level modeling. na. 

  26. Mastrofski, S. D., Parks, R. B., Reiss, A. J., & Worden, R. E. (1998). Policing neighborhoods:A report from Indianapolis.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Research Preview.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Justice. 

  27. Skogan, W. G. (2009). Concern about crime and confidence in the police: Reassurance or accountability?. Police quarterly, 12(3), 301-318. 

  28. Sprott, J. B., & Doob, A. N. (2009). The effect of urban neighborhood disorder on evaluations of the police and courts. Crime & Delinquency, 55(3), 339-362. 

  29. Sun, I. Y., Hu, R., Wong, D. F., He, X., & Li, J. C. (2013). One country, three populations:Trust in police among migrants, villagers, and urbanites in China. Social Science Research, 42(6), 1737-1749. 

  30. Sunshine, J., & Tyler, T. R. (2003). The role of procedural justice and legitimacy in shaping public support for policing. Law & Society Review, 37(3), 513-548. 

  31. Tyler, T. R. (2003). Procedural justice, legitimacy, and the effective rule of law. Crime and Justice, 30, 283-357. 

  32. Tyler, T. R. (2005). Policing in black and white: Ethnic group differences in trust and confidence in the police. Police Quarterly, 8(3), 322-342. 

  33. Tyler, T. R., & Huo, Y. (2002). Trust in the law: Encouraging public cooperation with the police and courts. Russell Sage Foundation. 

  34. Wolfe, D. A., Jaffe, P. G., Jette, J. L., & Poisson, S. E. (2003). The impact of child abuse in community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dvancing professional and scientific understanding.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0(2), 179-19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