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북한이탈 여대생의 외상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와 성적 자율성의 관련성
Association of Traumatic Events,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Sexual Autonomy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of North Korean Defector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5 no.1, 2019년, pp.46 - 59  

이영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김혜원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determine associations of traumatic ev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with sexual autonomy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exual autonomy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of North Korean defector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performed with a tot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북한이탈 미혼여성의 성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먼저 이들이 북한 이탈 과정에서 경험한 외상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성적 자율성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나아가 북한이탈 여대생의 성적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북한이탈 미혼여성의 생식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북한이탈 여대생은 현재 북한의 미혼여성을 이해하는 통로가 될 뿐 아니라 통일 이후 남한과 북한의 젊은 층의 성문화와 성인식에 대한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는 중재자 역할의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북한이탈 미혼여성의 성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먼저 이들이 북한 이탈 과정에서 경험한 외상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성적 자율성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나아가 북한이탈 여대생의 성적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북한이탈 미혼여성의 생식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북한이탈 여대생의 외상 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성적 자율성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할 뿐만 아니라 성적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북한이탈 여대생의 PTSD와 성적 자율성의 정도는 중간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북한이탈 여대생의 외상 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성적 자율성 수준을 파악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북한이탈 여대생의 성적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적 자율성이란? 성적 자율성이란 내부적인 자신의 성적 욕구나 충동을 통제 및 조절하고, 외부 압력에서도 이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5,6]. 성적 자율성은 자신을 성적 주체로 인식하여 자부심을 갖게 하고, 성과 관련된 부정적인 문제를 겪지 않도록 스스로 행동할 수 있게 하는 힘이 되므로 성적 관계에서 개인이 꼭 갖춰야 하는 능력이기도 하다[5-7].
성적 자율성이 낮으면 나타나는 문제는? 성적 자율성은 자신을 성적 주체로 인식하여 자부심을 갖게 하고, 성과 관련된 부정적인 문제를 겪지 않도록 스스로 행동할 수 있게 하는 힘이 되므로 성적 관계에서 개인이 꼭 갖춰야 하는 능력이기도 하다[5-7]. 성적 자율성이 낮으면 원하지 않는 성관계나 피임을 하지 않은 채 성관계를 하게 될 위험이 높아지고, 그 결과로 원치 않는 임신, 인공유산, 성병 등의 성 건강을 해치는 문제에 노출되게 된다[5,6,8].
북한이탈 여대생의 외상 후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는? 폭력 경험은 성적 자율성과 연관이 있으므로[7,9] 탈북 과정에서 다양한 외상을 경험한 북한이탈 여성의 성적 자율성 정도를 사정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PTSD는 북한이탈 주민이 흔하게 겪고 있는 정신건강 문제 중 하나로[16,17], 남한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의 30%가 죽음을 목격하거나, 심한 외상이나 신체적 안녕을 위협하는 일을 경험했거나 목격함으로 인해 두려움, 무력감, 공포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PTSD는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많이 나타나며[16], 특히 북한이탈 청소년은 국경을 넘는 과정에서 외국의 난민보다 더 많은 외상을 경험할 뿐만 아니라, 성인보다 외상에 대처하는 능력이 낮아 외국 난민이나 성인 북한이탈 주민들보다 PTSD 유병률이 높다[14]. 그러므로 북한이탈 여대생의 외상 후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Unification. 2018 North Korean defectors policy [Internet]. Seoul: Ministry of Unification; 2018 [cited 2018 Sep 1]. Available from: https://www.unikorea.go.kr/unikorea/business/statistics/. 

  2. Lee SK. A study on the identity composition of North Korean 1.5th generation migrant women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9. 117 p. 

  3. Kim SH, Hyun IA, Cho YJ.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adaptability to university life in the Republic of Korea. Seoul: Korea Hana Foundation; 2016. 192 p. 

  4. Han IY, Ku HJ, Oh SK. A study on sex knowledge among North Korean femal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10;15(1):87-102. 

  5. Chang SB, Lee MK. Sexual autonomy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3;33(3):339-346. 

  6. Chang SB. Development of sexual autonomy measurement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2;8(1):106-115. 

  7. Cho GY, Kim YH. Factors affecting sexual autonomy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11):6710-6718. 

  8. Do ES, Seo YS. Factors influencing sexual autonomy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3;20(2):129-136. 

  9. Park S, Song W. The effects of rape myth and tolerance towards violence on dating to the sexual assertiveness in college women.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12;17(2):265-280. 

  10. Jouriles EN, Choi HJ, Rancher C, Temple JR. Teen dating violence victimization, trauma symptoms, and revictimization in early adulthood.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017;61(1):115-119. 

  11. Kolts RL, Robinson AM, Tracy JJ. The relationship of sociotropy and autonomy to posttraumatic cognitions and PTSD symptomatology in trauma survivor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4;60(1):53-63. 

  12. Goldstein B, Bradley B, Ressler KJ, Powers A. Associations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emotion dysregulation, and alcohol dependence symptoms among inner city female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17;73(3):319-330. 

  13. Overstreet NM, Willie TC, Hellmuth JC, Sullivan TP. Psychological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sexual risk behavior: examining the role of distinc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in the partner violence-sexual risk link. Women's Health Issues. 2015;25(1):73-78. 

  14. Son YH, Lee JS, Park MC, Lee SY. Influence of posttraumatic stress on the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of North Korean refugees. Anxiety and Mood. 2010;6(1):37-44. 

  15. Kim MJ. A study on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traumatic experience.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2010;7(1):1-18. 

  16. Jeon W, Hong C, Lee C, Kim DK, Han M, Min S. Correlation between traumatic ev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2005;18(2):147-154. 

  17. Yoon YS, Kim HA, Han SY. Validation and development of a post-traumatic stress symptom scale for dislocated North Koreans in South Korea.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7;19(3):693-718. 

  18.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19. Won JH. A study of relations between complex PTSD, experiential avoidance and repetitive interpersonal trauma, among North Korean refugees [master's thesis]. Seoul: Kwangwoon University; 2014. 72 p. 

  20. Kang S. Development of Trauma Scale for North Korean refugee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1. 82 p. 

  21. Kim MO, Ha JY. A study on sexual autonomy, attitude towards homosexuality,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8;8(3):723-732. 

  22. Yee NH, Jung JS, Song HS. Influencing factors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sexual experience and sexual assertivenes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3):414-422. 

  23. Kim HA. Meta-analytic review on the mental health among the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risisonomy. 2016;12(1):105-124. 

  24. Lowry R, Robin L, Kann L. Effect of forced sexual intercourse on associations between early sexual debut and other health risk behaviors among US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School Health. 2017;87(6):435-447. 

  25. Wiles M, Agustin S, Narasimhan S, Gipson JD. Reproductive consequences of unwanted sexual debut among young adult women from Metro Cebu, Philippines.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2018;39(8):888-905. 

  26. Lee RLT, Yuen Loke A, Hung TTM, Sobel H. A systematic review on identifying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early sexual debut and coerced sex among adolescents and young people in communiti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8;27(3-4):478-501. 

  27. Park HS. A study on the effects of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focused on gender sensitivity,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violence recognition.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8;8(2):647-655. 

  28. Kim YH, Son HM. Affecting factors on reproductive health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0;12(4):1935-1950. 

  29. Im H, Jettner JF, Warsame AH, Isse MM, Khoury D, Ross AI. Trauma-informed psychoeducation for Somali refugee youth in urban Kenya: effects on PTSD and psychosocial outcomes. Journal of Child & Adolescent Trauma. 2018;11(4):431-441. 

  30. Widman L, Golin CE, Kamke K, Burnette JL, Prinstein MJ. Sexual assertiveness skills and sexual decisionmaking in adolescent girl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n online program.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8;108(1):96-1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