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장애인 평생교육의 융합 딜레마
A Convergence Dilemma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3, 2019년, pp.81 - 91  

김영준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사범교육대학) ,  강경숙 (원광대학교 중등특수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장애인 평생교육이 융합의 차원에서 놓여 있는 딜레마를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은 장애인 평생교육의 지원체제를 개발하고 실제 이행하는 데 있어 고려되어야 할 토대라고 할 수 있는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그 영역의 결과는 분야의 융합 딜레마, 기관의 융합 딜레마, 자격의 융합 딜레마, 장애 영역의 융합 딜레마, 국가행정의 융합 딜레마와 같이 총 다섯 가지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다섯 가지의 영역은 상호 연계적인 관점과 맥락에 의해 고찰되었다. 연구 내용의 결과에 기반하여 장애인 평생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전제 조건을 비롯하여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체제를 위한 대학 특수교육과(직업특수교육과 포함)의 역할 기능 강화를 중심으로 결론 및 고찰하였다. 이상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 장애인 평생교육의 융합 딜레마를 위해 교육의 실천적인 성격과 맥락에 토대하여 평생교육학 범주와 특수교육학 범주 간 융합에 따라 장애인 평생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을 타당하게 정립할 것을 제안하였다는 데 가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pecifically explore the dilemma posed by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Korea at the point of convergence. Research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consisted of area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support systems for lifelong 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에서는 한국 장애인 평생교육의 융합적 딜레마를 각 영역별로 분류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현행의 연구 동향에 있어 장애인 평생교육 실태와 관련된 기초연구나 평생교육기관 간의 협업을 위한 적용방안 사례를 다룬 연구는 실시되고는 있지만, 본질적으로 장애인 평생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및 위상을 비롯한 실천 과제를 현재의 딜레마 상황에서 모색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장애인 평생교육의 융합 딜레마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한국의 장애인 평생교육이 타당한 학문적 위상과 정체성 가운데 실천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직․간접적으로 제시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보며, 본질적으로 장애인 평생교육 분야가 현재 갖고 있는 여러 가지의 위기 상황이나 문제점 등을 진단하여 대처하는 데 필요한 자료로 활용되는 데 가치를 가질 것으로 본다.
  • 이에 따라, 한 가지 영역의 융합 딜레마가 타당성을 담보 하지 못할 경우 다른 영역의 융합 딜레마가 상생의 차원에서 타당성이 결여되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본 연구 는 이런 관점에서 전체 5가지 영역의 융합 딜레마를 고찰하였으며, 궁극적으로 5가지 영역의 융합 딜레마가 기능적으로 시사하는 핵심 사안에 의미를 두어 결론 및 고찰을 진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국 장애인 평생교육의 융합 딜레마를 몇 가지의 영역으로 분류하여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각 영역별로 고찰된 융합 딜레마는 해당 영역 안에서만 구분되어 이해될 수 있는 측면으로써가 아니라 상호 긴밀한 관계성 속에서 연계적인 맥락을 유지한다.
  • 본 연구의 내용은 연구 주제의 취지에 따라서 한국 장애인 평생교육의 융합적 딜레마와 관련된 구성요인을 각 영역별로 상호 분류하여 살펴보는 데 기초를 둔다. 가장 먼저, 연구 주제에 포함된 ‘융합적 딜레마’의 용어 의미는 장애인 평생교육의 딜레마가 한 가지 특정 분야나 요인에 의해서만 초래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분야 및 요인이 상생하여 초래된다는 점에서 사용되었다.
  • 이러한 동향은 사실상 개정 「평생교육법」에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으로서 평생교육사를 법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한계적 상황에 대해 문제 인식한 일환이라고 볼 수 있으며, 주된 근거로는 현행의 평생교육사가 장애인의 특수한 교육적인 수요라고 할 수 있는 ‘장애’와 관련된 전문역량이 부족하다는 입장에 있다[4,6,9,11]. 이에 따라, 현행의 장애인 평생교육 동향에 있어서 전문인력의 자격 부분이 장애인 평생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차원과 융합되어 그 적용방안을 구축하기 보다는 단편적으로 장애와 관련된 분야 여부 자체와 융합되어 적용방안을 모색하려는 일례가 활발해 지는 것이다.
  • 자료 수집에 의해 분석된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실태나 요구 및 개선방안을 실시한 기초연구는 몇몇으로 현존하고 있었으나[4,7], 한국의 장애인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 구도 가운데 장애인 평생교육이 정립해야 할 학문적 정체성과 제반 실천 방안을 딜레마의 맥락에서 다룬 선행 연구문헌은 거의 현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 주제 및 내용을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더라도 논의 차원에서 그 방향성을 제기한 해당 선행 연구문헌[1-17] 을 선정하여 활용하는 것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데 뒷받침될 수 있는 근거 자료로 활용 가치를 두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이런 문헌 분석의 실정을 감안해 연구 방법의 2차 절차로써 전문가 회의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평생교육의 당위성은 어떻게 실제로 부여되었는가? 한국의 상황에서 장애인 평생교육은 학령기 기반의 특수교육이 실천되는 과정에서 암묵적인 수준에서나마 강조되어 왔으나, 실제적으로 강조되어 온 시점은 개정 「평생교육법」이 마련된 2017년 정도라고 할 수 있다 [1]. 평생교육을 법적 수준에서 실제로 규정하고 있는 「평생교육법」 자체에 장애인 평생교육의 몇몇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는 측면은 장애인 평생교육의 당위성을 실제로 부여하기 때문이다[2]. 하지만, 이러한 공식화된 기반에도 불구하고 장애인 평생교육 분야는 일반 평생교육 분야에 비해 직접적으로 실천될 수 있는 기반이나 현실 가능성이 아주 미흡한 실정이며, 단적으로 어떠한 기관과 전문인력이 주축이 되어 장애인의 평생교육이 실천되어야 하는가의 적용방안이 구체화되지 못한 실정이다[3].
대학의 역할 기능과 기여가 강조되어야 하는 이유는? 다음으로, 장애인 평생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과 본 연구의 제반 내용을 종합하여 상기해 볼 때 결론적으로 대학의 역할 기능과 기여가 강조될 필요가 있다. 이는 평생교육학의 세부 분야라고 할 수 있는 장애인 평생교육이 평생교육학의 범주 자체에서 뿐 아니라 특수교육의 융합 기반으로 정립될 필요가 중요하게 요구되기 때문이다[21,22]. 특별히, 장애인 평생교육의 대표적인 국가기관 이라고 할 수 있는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 역시 국립특수교육원 내에 설치․운영하고 있기에 장애인 평생 교육에 대한 특수교육의 융합 기반은 아주 중요하다.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기관의 융합 딜레마는 무엇인가?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기관의 융합 딜레마는 장애 인 평생교육을 실천하는 교육기관이 명확화되어 있지 못하는 측면을 의미한다. 현행의 동향에 따라 장애인 평생 교육기관을 상기해보면, 장애인복지관, 발달장애인 평생 교육센터, 대학, 전공과, 직업재활센터, 평생학습관 등에 걸쳐 다양하게 나타난다[1,2,5,6-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Y. J. Kim. (2018a). A Curriculum to Improve the Cooperation Course of Fostering Lifelong Educators for Disabledin the Special Education Department of University. The Journal of Vocation and Qualification, 7(1), 187-213. 

  2. Y. J. Kim & Y. S. Jung. (2018). A Study on the Practical Integration Model of Special Education, Rehabilitation, Lifelong Education : Directions to Foster Lifelong Educators for Disabled.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12(2), 87-111. 

  3. Y. J. Kim & J. Y. Kim. (2018a). Plan for an Integration System based on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to Foster Cooking Startup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12(1), 23-58. 

  4. Y. J. Kim. (2017a). Training of Lifelong Education Industrial Workers Among Parents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Competenc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Journal of Vocation and Qualification, 6(2), 79-111. 

  5. Y. J. Kim. (2017b). Establishment Plan on the University's Lifelong Education Center Organization and Curriculum System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Disabled. The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and HRD, 13(3), 87-123. 

  6. Y. J. Kim & M. A. Do. (2017). Development of a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11(4), 61-100. 

  7. Y. J. Kim. (2015). A Study on Applications of School Age Evidence-based Transition Education Practices for Independent Living of Person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from Perspectives of Lifelong Learning.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58(1), 137-166. 

  8. Y. J. Kim. (2017c). The Effects of Independence Life Training through Collaboration of Lifelong Education Center at University in Majoring Course on the Wash Staff Employment Task Skill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60(3), 67-90. 

  9. Y. J. Kim & J. H. Jang. (2017). The Effects of In-Basket based Connection Learning in Lifelong Education Center at University through Workplace Instruction of Employer on Cooking Skills for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60(4), 121-141. 

  10. Y. J. Kim. (2017d). Operation Plan of Worksite-affiliated Lifelong Educational Facilities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7(2), 173-198. 

  11. Y. J. Kim. (2006). An Analysis of National Lifelong Learning Policy : Focus on the Annual Plan for 2006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12(1), 145-168. 

  12. Y. J. Kim & M. A. Do. (2014a). A Discussion of Special Education Research Task on the School Age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Independent Living in Future Adulthood.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3(3), 39-68. 

  13. Y. J. Kim & M. A. Do. (2014b). A Study on the Integrated Instruction Approach of Task Skills and Self-Management Skills in terms of Vocational Education for Adulthood Transi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30(3), 291-330. 

  14. H. Y. Kim & D. Y. KO. (2015). Needs of Teachers and Parents on Life-Education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 Other Disabilities.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31(2), 43-68. 

  15. D. S. Kang & J. S. Shin. (2015). A Basic Study on the Career-Based Lifelong Education Model for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19(1), 1-22. 

  16. G. H. Choi. (2014). The Implementation of Rehabilitation Counselor Certification and Tasks for Development of Code of Professional Ethics. The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24(3), 105-127. 

  17. Y. J. Kim. (2017e). Reality Factors and Improvement Plans to Foster Lifelong Educators for Disabled. The Journal of Rehabilitation Science Research, 35(2), 1-14. 

  18. Y. J. Kim & J. Y. Kim. (2018b). A study on the Evidence-based Practices for Lifelong Education (Voc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1), 351-359. 

  19. J. Y. Kim. (2016). A Study on Composition of Life-long Education Curriculum for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tudy of Lifelong Education and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2(1), 65-92. 

  20. J. S. Kwon & Y. S. Jung. (2015).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in Local Learning Polic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5(6), 305-315. 

  21. Y. J. Kim & K. S. Kang. (2018a). Restructuring Pla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ces System from the Convergenc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ulture and Convergence, 40(8), 365-402. 

  22. Y. J. Kim & K. S. Kang. (2018b). Lifelong Education Integrated Approach to Vocational Special Education in terms of Qualification.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21, 9(6), 603-618. 

  23. Y. J. Kim & K. S. Kang. (2018c). The Innovation Challenges of University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with Convergence on Lifelong Education of the Disabled.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0), 167-182. 

  24. Y. J. Kim & K. S. Kang. (2018d). Operation Plan of National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Center Commercialization to Revitalize a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ulture and Convergence, 40(6), 501-540. 

  25. Y. J. Kim & K. S. Kang. (2018e). Integration Plan of Lifelong Educators for Disabled Qualification System Based on Current Programs for Lifelong Educators. The Journal of Integration Curriculum, 12(3), 97-123. 

  26. Y. J. Kim. (2018b). The Effects of University Education Extracurricular based Talent Donation Activities of College Students in Lifelong Education Center on the Cooking Skills for High School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28(1), 81-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