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원성과급제도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주관성 연구
The Subjective Study of the High School Teachers on the Performance-based Pay System for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3, 2019년, pp.265 - 274  

유영설 (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교원성과급제도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주관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간의 주관적 인식을 탐색할 수 있는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유형이 탐색되었다. 제1유형은, '성과급제 부정형'으로 연구 참여 교사 24명 중 20명, 약 83%가 포함되었다. 교원성과급제도에 대해 정부의 일방적 정책 시행에 대한 불만, 불필요한 스트레스 야기 그리고 교원 간 갈등 및 경쟁 등을 유발하고 교사들의 동기유발이나 직무만족도에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인식을 나타냈다. 제2유형은 '성과급제 중립형'으로 성과급제 대해 공정한 업무 평가와 교육공동체의 협력적 분위기 강화, 직무만족도 증대 등에 긍정적 인식을 나타냈으나, 교직에 대한 자긍심 증대나 교육적 행동 유발 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식을 나타냈다. 제3유형은 '성과급제 수용형'으로 성과급제는 기피업무에 대한 보상이면서 교원의 동기유발 및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참여적 업무수행과 창의적 업무 수행 등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나타냈다. 끝으로, 모든 유형에서 성과급제의 평가 척도의 타당도에 부정적 반응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igh school teachers' subjective perception on performance-based pay system(PBPS) for teachers using Q-methodology. This study found three types of high school teachers' subjective perception on the system. Type I is named 'the type of negative perception.' T...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원성과급제도는 2001년에 도입된 이후로 제도의 본질적 목적과는 다르게 교사들의 끊임없는 갈등과 스트레스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교직사회에서 논란의 중심에 있는 교원성과급제도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유형을 탐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S시의 고등학교 교사 2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Q방법론을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교원성과상여급제에 대한 인식유형과 그 특성을 탐색하여 교원성과상여 급제에 대한 학교 현장의 문제점 및 개선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성과급제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유형은 3가지로 탐색 되었다.
  • 본 연구는 교원성과급제도에 대한 현장 교원들은 어떠한 인식을 형성하는 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교원성과급제도가 현장 적합성 높은 정책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교원성과급제도에 대한 현장 교원들은 어떠한 인식을 형성하는 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교원성과급제도가 현장 적합성 높은 정책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Q방법론이란 무엇인가? 본 연구는 교원성과급제도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주관적 인식을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Q방법론을 사용하였다. Q방법론은 스티븐슨(William Stephenson)이 인간의 신념, 태도, 가치 등의 주관적 영역을 측정하고자 창안하였다. Q방법론은 연구대상자가 주관적 판단에 따라 진술문들의 순서를 정(sorting)하고 이를 모형화함으로서 주제에 대한 자신의 주관성을 스스로 표현해 가는 자결적 정의(operant definition)의 과정을 거친다[18,20].
교원에게 성과 측정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교직은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성과를 객관화하여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즉, 인간을 교육한다는 교직의 특수성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성과 측정은 곤란하다는 것이다[7]. 학교 현장에서 활용되는 성과급 척도는 핵심적 교육활동보다는 객관적 평가가 가능한 내용을 중심으로 제작되어 있다.
교원성과급제도에 대한 성과급제 부정형 유형은 어떤 인식을 포함하고 있는가? 제1유형은, '성과급제 부정형'으로 연구 참여 교사 24명 중 20명, 약 83%가 포함되었다. 교원성과급제도에 대해 정부의 일방적 정책 시행에 대한 불만, 불필요한 스트레스 야기 그리고 교원 간 갈등 및 경쟁 등을 유발하고 교사들의 동기유발이나 직무만족도에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인식을 나타냈다. 제2유형은 '성과급제 중립형'으로 성과급제 대해 공정한 업무 평가와 교육공동체의 협력적 분위기 강화, 직무만족도 증대 등에 긍정적 인식을 나타냈으나, 교직에 대한 자긍심 증대나 교육적 행동 유발 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식을 나타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 S. Jeon(2010). A study on the Autonomy of Performance-Based Pay for School Teachers in Kore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2), 47-68. 

  2. H. J. Joo(2010). The Implications of Performance-based Pay for School Teachers in the U.S. and England.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Forum, 9(3), 59-81. 

  3. J. A. Kim(2018). Teachers' Struggle for Recognition: Focusing on Resistance from Teachers' Unions to the Teacher Pay-for-performance Policy.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28(3), 31-56. 

  4. H. C. Jeong(2016). Awareness and Attitude of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on Performance-based Pay System for Teachers. Journal of Learner-Centered and Instruction. 16(9), 563-583. 

  5. J. W. Lee & K. S. Kang(2016).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s Perception of the Justice of Teacher's Merit-pay, Interpersonal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urnal of Educational Culture. 22(6), 115-146. 

  6. Podgusky, M., & Springer, M. G.(2007). Teacher Performance Pay : A Review. The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26(4), 904-909. 

  7. G. R. Kwak & S. C. Lee(2014). An Analysis on the Evaluation for Teacher's Performance-based Payment.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1(1), 267-292. 

  8. J. A. Kim(2017). Mobiliz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Teacher Pay-for-performance Policy in South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9. C. H. Park(2010). A Study of Performance-based Pay System Development in the History of Public Administrative Perspective: Focused on the System of Performance-based Pay for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1(1), 267-292. 

  10. S. J. Kim(2008).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eacher Librarians' Evaluation System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4), 421-443. 

  11. S. K. Park(2012). The Effect of a Merit Pay System on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Teachers. M.A. thesis, Elementary Educational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12. H. K. Kim(2013). Analysis on the Effect of Justice Perception of Teacher's Merit-pay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19(2), 69-93. 

  13. D. H. Kim(2013).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about Performance-based Pay System for Teachers. the study of Institut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14(1), 277-298. 

  14. S. I. Oo(2010). The Effect of Teacher's Perception toward the Performance-based Pay System for Teacher's of their Job Satisfaction. Journal of Future Education Study. 23(10), 57-88. 

  15. K. C. Song(2010). A Study on Teachers Award Program of Houston Independent School District,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20(5), 63-85. 

  16. S. S. Jung & J. H. Park(2011). A Study on the Performance-Based Compensation System for Teachers: Focusing on the Teacher Advancement Program.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8(1), 189-210. 

  17. S. G. Lee & B. S. Kang(2017). The Relation of the Awareness of Teacher Librarians about the Performance-based Pay System and Their Job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2), 159-186. 

  18. H. G. Kim(2008). Q Methodology: Philosophy, Theories, Analysis, and Application. Communication Books: Seoul. 

  19. Stephenson, W.(1967). The Play Theory of Mass Communica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 Y. S. Yu(2018). The Study of the Convergence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for the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7), 125-133. 

  21. E. J. Kim & H. J. Shin(2018). Convergence Study about Factors on Problem Behaviors of Male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0), 407-414. 

  22. S. G. Kim & H. R. Kim(2018). A Study on the Effect of Fairness Perception of Incentive System on Manager-Trus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9), 199-214. 

  23. Y. Kim(2014). An Analysis of LMS Func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Distance Education Trai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6), 569-577. 

  24. H. Y. Lee & E. K. Lee(2018). Problems of Benefit Sharing Support Policy and its Policy Effectiveness Affecting the Film Performanc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4), 237-245. 

  25. M. Y. Jeon & H. W. Lee(2017). A Survey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for the Disabled - Focusing on Universities in Chungcheong Provinc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5), 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