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재활치료 중인 뇌졸중 환자의 자아존중감, 재활동기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Self-esteem, Rehabilitation Motivation on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eints with Rehabilitation Therap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3, 2019년, pp.176 - 187  

안은서 (대구보건대학교) ,  서순림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김은희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재활전문기관에서 치료 중인 뇌졸중 환자의 자아존중감, 재활동기와 삶의 질의 정도를 조사하고, 제 변수들의 상관관계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2016년 2월 22일부터 3월 20일까지 뇌졸중으로 입원 또는 통원 치료중인 환자 216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평균 3.09/5점, 재활동기는 3.60/5점, 그리고 삶의 질은 2.95/5점이었으며, 삶의 질은 자아존중감(r=.45, p<.001), 재활동기(r=.27,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삶의 질에 대한 예측변수로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일반적 특성인 성별, 연령, 교육, 간병인 유무, 직업유무와 질병 특성인 발병기간, 장애정도, 인지기능 그리고 자아존중감, 재활동기를 예측변수로 분석한 결과, 삶의 질에 대한 설명력은 일반적 특성, 질병 특성과 자아존중감, 재활동기를 모두 포함한 모형 3에서 43.6%(F=14.87 p=<.001)였으며, 회귀분석 결과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자아존중감, 발병기간, 장애정도(의존적), 인지기능이었다. 장기간 재활치료를 필요로 하는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자아존중감이 중요한 요인을 알 수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의 증진으로 성공적인 재활을 도모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self-esteem, rehabilitation motivation and quality of life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who were receiving rehabilitation therapy.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22 to March 20, 2016 using self-...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자아존중감, 재활동기와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삶의 질에 이들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삶의질 향상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자아존중감, 재활동기와 삶의 질의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재활치료 중인 뇌졸중 환자의 자아존중감, 재활동기와 삶의 질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재활 치료중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삶의 질을 파악하고 그 영향 요인을 확인하여 삶의 질 예측 요인들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재활병원에 입원 또는 통원하여 재활치료 중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재활동기 및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상자의 자아존중감과 재활동기,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 재활동기와 삶의 질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재활치료중인 대상자의 삶의 질은 자아존중감, 발병기간, 장애정도, 인지기능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저하시키고 사회의 참여를 어렵게하는 문제점 외 인지기능의 장애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은? 이러한 인지기능의 장애는 뇌졸중 진단을 받고 3년 이후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8], 장기간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저하시키고 사회의 참여를 어렵게 하여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9]. 또한 독립 적인 기능상실과 장애로 인해 뇌졸중 환자는 자신감을 잃고 우울감[7]을 경험할 수 있어서 재활치료의 기간을 지연시키고 삶의 질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뇌졸중 환자의 초기재활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10], 대부분의 환자들이 오랜 기간 재활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11] 재활치료 중인 뇌졸중 환자들의 삶의 질을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뇌졸중이 발생하면 나타나는 현상은? 뇌졸중의 발생되면 편마비, 운동장애, 인지 및 감각기 능의 저하, 언어장애 등[4]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장애는 일시적 또는 영구적인 기능상실을 야기하여 기본적인 일상생활활동 수행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5]. 이 중에서 인지기능장애는 뇌졸중환자에게 나타나는 주요 장애로서 [6]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장애가 여러 영역에서 나타난다[7].
뇌졸중이란? 7%로 다시 증가추세 이며, 만50세 이상의 남자에서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1]. 뇌졸중은 뇌혈관에 순환장애를 일으켜 의식장애와 신체의 마비현상을 가져오는 질환으로, 뇌졸중이 발생하면 약 15%는 뇌졸중 직후 사망하고 약 75%는 약간의 장애 에서 장기간의 재활치료와 간호를 필요로 하는 심각한 장애까지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뇌졸중이 발병하면 만성적으로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그리고 인지적 기능의 부전이 야기되고,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독립성을 떨어뜨리게 되므로 뇌졸중환자의 삶의 질이 많이 감소되는 것으로 보고되어[3] 이를 향상시키는 방안모색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The stroke Information [Ienternet]. Daegu: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7[cited 2018 Aug 30], Available From:http://kosis.kr/conts/nsportalStats/nsportalStats_0102Body.jsp;jsessionidz1wP04XtTW1czHls9uxmtTL3nZLyKlX2m3WbaXMvOaHQgKO70l8sS94bd0qzmiZe.STAT_WAS1_servlet_engine4?menuId11&NUM1081. (accessed Oct., 31, 2018) 

  2. J. S. Choi, Y. M. Seo, I. S. Kwon, " Effect of education on knowledge and practice of caregivers of the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6, no. 7, pp. 1175-1182, 2006. DOI: https://doi.org/10.4040/jkan.2006.36.7.1175 

  3. H. S. Kang, W. O. Kim, J. W. Kim, M. J. Wang, J. H. Cho, "Development and Effect of East-West Self-Help Group Program for Rehabilitation of Post-Stroke Clients : A Preliminary Stud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 16, no.1, pp. 37-48, 2004. DOI: https://doi.org/10.4040/jkan.2004.34.7.1351 

  4. J. H. Im, K. S. Lee, K. Y. Kim, N. S. Hong, S. W. Lee, " Follow-up Study on Mortality in Korean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 54, no. 11, pp. 1199-1208, 2011. DOI: https://doi.org/10.5124/jkma.2011.54.11.1199 

  5. D. H. Kim, M. H. Oh, H. A. Chung, J. J. Kim, "The Relationships Among ADL, Self-Esteem,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21, no. 4, pp. 59-69, 2013. DOI: https://doi.org/10.14519/jksot.2013.21.4.06 

  6. Y. N. Cho, J. H. Jung, H. K. Kim. " A Study on Cognitive Dysfunction of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ngnitive Rehabilitation, vol. 1, no. 1, pp. 37-50, 2012. 

  7. Y. J. Shin, H. K. Kim, "Cognitive Factor, Depression and Their Relationship in Elderly Post-stroke Patients",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vol. 21, no. 3, pp. 453-467, 2014. 

  8. M. D. Patel, K. Tilling, E. Lawrence, A. G. Rudd, C. D. Wolfe, C. McKevitt, "Relationships between Long-term Stroke Disability, Handicap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ge Ageing, vol. 35, no. 3, pp. 273-279, 2006. DOI: https://doi.org/10.1093/ageing/afj074 

  9. S. A. Choi, S. W. Park, Y. N. Choi, S. J. Jang,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ronic Stroke Patients", Korean Journal of Stroke, vol. 6, no. 2, pp. 156-161, 2004. 

  10. H. S. Kim, Y. O. Hwang, J. H. Yu, J. H. Jung, H. S. Woo, H. S. Jung, "Th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7, no. 3, pp. 41-53, 2009. 

  11. A. S. Park, E. Ko, "Influences of Rehabilitation Motivation,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on Rehabilitation Adherence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 19, no. 2, pp. 113-122, 2017. DOI: https://doi.org/10.7586/jkbns.2017.19.2.113 

  12. Y. Y. You, C. S. Ann,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Rehabilitation-motiva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After a Cerebrovascular Acciden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7, no. 2, pp. 1-16, 2009. 

  13. E. H. Kim, "The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on Self-Esteem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linical Art Therapy, vol. 3, no. 2, pp. 95-103, 2008. 

  14. M. Rogenberg, "Social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15. J. Y. Lee, H. S. Kim, "Influences of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 20, no. 2, pp. 145-153, 2014. DOI: https://doi.org/10.14370/jewnr.2014.20.2.145 

  16. F. J. Carod-Artal, "Determining Quality of Life in Stroke Survivors", Expert Review of Pharmacoeconomics & Outcomes Research, vol. 12, no. 2, pp. 199-211, 2012. 

  17. J. I. Moon,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troke Quality of Life; Using the Stroke-Specific Quality of Life(SS-QOL)",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2003. 

  18. E. M. Oh, G-R. S. Hong, "Factors Predicting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in Rehabilitation Hospitals after Strok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6, no. 2, pp. 107-117, 2014. DOI: https://doi.org/10.17079/jkgn.2014.16.2.107 

  19. J. M. Lee, H. M. Kim, J. H. Kim, "The Effects of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Strok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5, no. 1, pp. 1-9, 2015. DOI: https://doi.org/10.18598/kcbot.2015.05.01.01 

  20. W. O. Kim, H. S. Kang, M. J. Wang, J. H. Kim, J. Y. Choi, "Relationships among Activity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QOL)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 13, no. 2, pp. 138-146, 2007. 

  21. J. S. Jung,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 A Systematic Review",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vol. 4, no. 1, pp. 39-51, 2015. 

  22. T. Watanabe, Atlas Pathology, pp. 393, Medical Education, 2016. 

  23. B. J. Jun,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vol. 11, pp. 107-124, 1976. 

  24. H. S. Han,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in disabled", Doctoral Degree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001. 

  25. J. A. Lee, "A Study on the Impact of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Social on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Stroke Patients", Master's Thesis, Nambu University, Seoul, 2012. 

  26. K. O. Chang, "Effects of a Self-help Management Program at Public Health Centers on Self-efficacy, Self-esteem, Knowledge of Stroke, and Family Supports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Health Nursing, vol. 24, no. 4, pp. 388-397, 2013. DOI: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4.388 

  27. D. Y. Lee, M. S. Lee, B. J. Na, K. Y. Kim, D. J. Lee, D. K. Kim, "Related Factors of th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Physical Therapy Korea, vol. 13, no. 1, pp. 16-23, 2006. 

  28. J. Y. Moon, B. H. Cho, "Relationships among Rehabilitation Motivation, Perceived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Stroke Survivor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 14, no. 1, pp. 24-31, 2011. 

  29. D. J. Lee, T. S. Ko, "Relationships between symptoms of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physical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49, no. 4, pp. 159-178, 2010. 

  30. J. H. Kim, H. S. Kang, W. O. Kim, M. J. Wang, C. M. Chang,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 at Home",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 9, no. 1, pp. 49-55, 2006. 

  31. C. Y. Jeong, J. C. Yang, I. S. Shin, Y. Choi, J. S. Yoon, M. S. Lee, H. Y. Lee, B. S. Nah, "Psychopathology, Self Esteem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with Radiotherapy",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ol. 10, no. 2, pp. 92-100,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