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술적 사고성향 연구
A Study on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of the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大韓工業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v.44 no.1, 2019년, pp.94 - 113  

최완식 (충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 학생들의 기술적 사고성향을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통하여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의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기술적 사고성향에 맞는 교육내용을 구성하거나 필요한 기술적 사고성향을 강화하는데 기초지식을 제공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기술적 사고성향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전국의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 학생 117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 전체 학생의 기술적 사고성향의 구성은 기술적 조작 성향(TOD)을 보이는 학생이 무려 38.9%를 차지할 정도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기술적 계획 및 성찰 성향(TPRD)을 보이는 학생이 22.46%, 기술적 호기심 성향(TCD)이 17.59%, 기술적 문제파악 및 해결 성향(TPIRD)이 10.33%, 기술적 분석 성향(TAD)이 6.49%, 기술적 창의 및 표현 성향(TCED)이 5.04%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고 학생들과 마이스터고 학생들 사이에 기술적 사고성향의 구성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검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특성화고 학생이나 마이스터고 학생 모두 비슷한 구성의 기술적 사고성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셋째,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 전체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기술적 사고성향 구성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검사에서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기할 점은 남학생들의 기술적 호기심 성향(TCD) 구성과 기술적 문제파악 및 해결 성향(TPIRD)이 여학생들 같은 성향 구성 비중 보다 각각 7.4%, 4.4% 가량 더 크게 나타났다. 또 다른 특징은 기술적 계획 및 성찰 성향(TPRD)인데 이 성향에 대해서는 여학생들의 성향 비중이 남학생들의 성향 비중 보다 9.7%나 더 크게 나타났다. 넷째, 특별히 특성화 고교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성별에 따른 기술적 사고성향 구성에 대한 차이 검증에서도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구성의 차이를 보였는데, 앞서의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 학생들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결과의 거의 같은 비중의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마이스터 고교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성별에 따른 기술적 사고성향 구성에 대한 차이 검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basic pedagogical resources to the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 related educational settings in either constructing educational contents suitable for the students'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or fortifying the disposition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설문조사를 실행하기에 앞서 전국 지역 교육청에 전화하여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고자 한다는 취지를 설명하였다. 이후 2016년 11월 11일부터 000대학교 000연구소 명으로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 두 차례에 걸쳐 공문을 통해 협조 요청을 구하였다.
  • 이 연구는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술적 사고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과 같이 진행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적 사고성향에 대한 구성요인을 고찰하고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술적 사고성향을 분석하여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의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기술적 사고성향에 맞는 맞춤형 교육내용을 구성하거나 필요한 기술적 사고성향을 강화하는데 기초지식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고는 지식 및 교과 내용과 무관할 수가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사고는 특정한 환경과 맥락 안에서 이루어지며 그 내용이나 지식에 따라 사용되는 사고의 종류는 각각 다르다. 사고라는 행동은 지식이라는 도구의 사용을 통해 가능하기 때문에 사고는 지식 및 교과 내용과 무관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과에 따라 주로 사용되는 ‘사고기능과 전략’은 상당히 다르며(김영채, 1997), 기술적 환경과 맥락 안에서 이루어지는 기술적 사고는 다른 교과의 사고와는 그 개념에서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어떤 시대 상황에 대해서 많은 학자들은 지식을 단순 차원을 넘어그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주어진 문제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는가? 이는 우리가 단순히 지식을 이해하고 기억하는 것만을 중시하는 시대에서 벗어나 우리 사회 곳곳에 기술이 편재해 있으며 그들이 서로 의미 있게 연결되기까지 하는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 상황에 대하여 많은 학자들은 지식을 단순 차원을 넘어그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주어진 문제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Toffler, 1989; Reich, 1993).
Mioduser(1998)에 의하면 기술적 사고는 어떤 수준의 레벨 단위를 포함하고 있는가? Mioduser(1998)에 의하면 기술적 사고는 첫째, 기본원리, 정신적 모형과 방법, 그리고 메타지식의 핵심 요소와 둘째, 풍부한 지적 사용자, 문제해결자, 기술 실천자, 기능인과 숙련 자등과 같은 수준의 레벨 단위를 포함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Wicklein & Rojewski(1999)의경우는 Halfin(1973), Hill & Wicklein(1999) 등의 학자들이 제시하였던 기술적 사고과정의 항목들을 단순화하였는데, 실제 적용을 촉진할 수 있는 기술적 사고의 과정을 문제탐구, 해결을 위한 탐색, 혁신 및 고안, 자료 분석, 결과 평가와 같이 5개의 기술적 사고과정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강완, 백성윤(1998). 초등수학교육론. 동명사. 

  2. 교육인적자원부(2007). 사고력 신장을 위한 ICT활용교육. 

  3. 권현진(2005). 기술 관련 전문가의 인식에 기초한 기술적 창조성 모형 개발.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 김선봉(2007). 중학생의 과학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명숙. (2006).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의 개발 및 양호도 검증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9(1). 89-117. 

  6. 김영채(1997). 사고력: 이론, 개발과 수업. 교육과학사. 

  7. 성일제(1989). 사고교육의 이론과 실제. 배영사. 

  8. 류신영(2007). 프로젝트를 활용한 수업이 수학적 사고력 및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봉주(1968). 과학적 사고력을 기르는 자연과 학습지도. 시청각교육사. 

  10. 이경미(2007).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물리 교과 내용이 요구하는 과학적 사고력과 중학생들의 인지 발달 수준과의 관계 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최동선, 김나라, 김성남(2009). 청소년 생애 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 방안 연구 II (연구보고 09-R19-4).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2. 최완식 외(2010). 중.고등학생의 기술적 사고성향 구성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0(2). 30-57. 

  13. 한국교육개발원(1989). 교과별 사고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안 탐색. 

  14.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2). 사고력 검사 개발 연구. 

  15. Beyer, B. K.(1988). Developing a Thinking Skill Program. Allyn and Bacon. 

  16. Chen, D.(1996). Computerization of the education system and its implications for curricula. Position paper. Tel Aviv University School of Education. Center for Technology. 

  17. Chen, D. & Stroup, W.(1993). General Systems Theory: Toward a conceptual framework for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for all. Journal for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8. Dewey, J. (1910). How we Think. New York: Free Press. 

  19. Facione, P. A. & Facione N. C.(1992).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Inventory. Millbrae, CA: California Academic Press. 

  20. Grotzer, T. A. & Bell, B. (1999). Negotiating the funnel: Guiding students toward understanding elusive generative concepts. In L. Hetland & S. Veenema (Eds.) The Project Zero classroom: Views on understanding.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21. Halfin, H. H.(1973). Technology-A process approach. Doctoral dissertation. Morgantown, WV: West Virginia University.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34, 1586-A. 

  22. Hill, R. B. & Wicklein, R. C.(1999). A factor anaysis of primary mental processes for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Industrial Teacher Education. 36(2). 83-100. 

  23. Hirayama, R. & Kusumi, T.(2005). The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and information monitoring process on the conclusion drawing from contrary information. Annual Meeting of Society of Judgement & Decision Making. 

  24. Kuhn, T.(1992).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5. Mioduser, D.(1998). Framework for the study of the cognitive nature and architecture of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and Design. 8(2). 167-184. 

  26. Polya, G.(1980). "On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in High School". S. Krulic & R. E. Reys(Eds.), Problem Solving in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27. Reich, R. B.(1993). The Work of Nations. Random House Inc. 

  28. Ruggiero, V. R.(1988). Teaching thinking across the curriculum.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29. Tishman, S. & Andrade, A.(2009). Thinking Dispositions: A review of current theories, practices, and issues. ALPS. 

  30. Toffler, A.(1989). The Third Wave. 한국경제신문사. 

  31. Wicklein, C. & Rojewski, J.(1999). Toward a "unified curriculum framework" for technology education. Journal of Industrial Teacher Education. 36(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