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nception V3를 이용한 뇌 실질 MRI 영상 분류의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Brain Parenchymal MRI Image Classification Using Inception V3 원문보기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v.20 no.3, 2019년, pp.132 - 137  

김지율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예수영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의료영상으로 생성된 데이터의 양은 전문적인 시각적 분석 한계를 점점 초과하여, 자동화된 의료영상 분석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인하여 본 논문에서는 정상소견과 종양소견을 보이는 각각의 뇌 실질 MRI 의료영상을 이용하여 Inception V3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종양 유무에 따른 분류 및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딥러닝 모델의 정확도 평가는 학습 데이터 세트의 경우 90%, 검증 데이터 세트의 경우 86%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손실률 평가에서는 학습 데이터 세트의 경우 0.56, 검증 데이터 세트의 경우 1.28의 손실률을 나타내었다. 향 후 연구에서는 딥러닝 모델의 성능 향상 및 평가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공개된 의료영상의 데이터를 충분히 확보하고, 라벨링 분류 작업을 통한 라벨링의 정확도를 개선하여 모델링을 구현해 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mount of data generated from medical images is increasingly exceeding the limits of professional visual analysis, and the need for automated medical image analysis is increasing. For this reason, this study evaluated the classification and accuracy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um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이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나 가이드 없이 복잡한 모델들이 계속 제시되고 있다[7-8]. 본 논문에서는 정상소견과 종양소견을 보이는 각각의 뇌 실질 MRI 의료영상 데이터 세트를 이용하여 Inception V3 딥러닝 모델과 케라스(keras) 라이브러리(Library)를 이용한 종양 유무에 따른 분류 및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며, 향후 유사연구 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복셀 단위의 뇌영상 분석에서 뇌 조직의 구조적인 모양과 배치를 기준으로 각 복셀 별 해부학적 위치를 같게 만드는 과정을 공간 정규화라고 한다. 복셀 단위의 뇌 영상 연구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가정은 비교하고자 하는 복셀 위치가 개인별 뇌 영상들에서 같아야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뇌 이외의 부분은 진단에 필요 없는 부분이므로 crop하여 제거한 후, 픽셀 사이즈 100×100 크기의 이미지를 만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nception V3 아키텍쳐를 이용하여 뇌실질 MRI 의료영상의 딥러닝 학습을 통한 뇌실질 내 종양 유무의 정확성을 평가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논문에서는 Inception V3 아키텍쳐를 이용하여 뇌실질 MRI 의료영상의 딥러닝 학습을 통한 뇌실질 내 종양 유무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딥러닝 모델의 정확도 평가에서는 딥러닝 모델의 정확도 평가는 훈련 데이터 세트의 경우 90%, 검증 데이터 세트의 경우 86%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딥러닝 모델링의 손실률평가는 훈련 데이터 세트의 경우 0.5638, 검증 데이터 세트의 경우 1.2766의 손실률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의료영상이 가지는 한계를 나타낸 결과라고 판단된다.
의료영상의 장점은 무엇인가? 인간의 모든 생체 기능을 총괄하고 있는 뇌의 구조 및 역할에 대한 의학적 연구는 이미 상당부분 이어져 있으며, 또한 각종 뇌 질환의 발견 및 치유를 위한 의료기술 및 의료영상은 지속적으로 축척 되어 이미 많은 양의 데이터가 있다[1-2]. 최근의 의료영상은 빠른 시간 내에, 저비용으로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2], 의료영상으로 생성된 데이터의 양은 전문적인 시각적 분석 한계를 점점 초과하여 자동화된 의료영상분석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인하여 인공지능의 도입이 가장 활발한 분야가 의료와 헬스케어 영역으로서 의료영상이나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한 질병의 진단에 인공지능 기술의 개발과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으며[3], 최근의 딥러닝(Deep-learning)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사람들의 예상을 뛰어넘는 결과를 내고 있다[4].
의료계에서 인공지능의 필요성이 높아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이유 등으로 인하여 인공지능의 도입이 가장 활발한 분야가 의료와 헬스케어 영역으로서 의료영상이나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한 질병의 진단에 인공지능 기술의 개발과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으며[3], 최근의 딥러닝(Deep-learning)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사람들의 예상을 뛰어넘는 결과를 내고 있다[4]. 진단을 위한 의료영상이나 생체신호의 양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데 반해, 장기간의 훈련과 임상 경험이 필요한 의료진에 대한 현재의 육성 체계에서는 이러한 수요를 모두 감당할 수 없으며, 의료진 사이의 수련과 임상 경험에 따른 진단 결과의 불 일관성(Inconsistency)이 높다는 점은, 인공지능의 일관성, 확산성, 그리고 정확성과 대비되어 의료 현장 도입에 대한 필요성을 갈수록 높이고 있다[3]. 특히, 이미지 영역을 분류하기 위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분할 방법 (이미지 영역 분류)은 이미지에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핵심 요구 사항으로[5], 딥러닝을 이용한 연구들이 제안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Sin hong Kim, "Brain MRI semi-automatic segmentation algorithm for medical image contents,"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5, no. 3, pp. 45-51, Jun, 2005. 

  2. Da him Choi, Seongeun Hong, "Medical Image based Cancer Prognosis Prediction AI Technology : Mainly on lung cancer,"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 vol. 36, no. 4, pp. 10-18, April, 2019. 

  3. Gyuhwan Jung, "Current Address and Future Prosp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Korea Internet Self-governance Organization, vol. 33, pp. 11-15, December, 2018. 

  4. Yeong mo Kim , Jung Woo Lee, "Diagnosis of brain tumor with deep learning,"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vol 144, No. 3, pp. 1156-1157, July, 2018. 

  5. Rolf A. Heckemann, Joseph V. Hajnal, Paul Aljabar,"Automatic anatomical brain MRI segmentation combining label,"NeuroImage, vol. 33, pp. 115-126, 2006. 

  6. Mingyeong Joen, Hyeonseok Lee1, Sungchan Kim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complexity and accuracy of CNN models for the diagnosis of Alzheimer disease based on MRI,"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pp. 902-904, July, 2018. 

  7. Alzheimer's Disease International (ADI), "The benefits of early diagnosis and intervention", Alzheimer Disease International. World Alzheimer Report 2011, 2011. 

  8. M. Liu, D. Zhang, E. Adeli-Mosabbeb, and D.Shen, "Inherent structure based multi-view learning with multitemplate feature representation for Alzheimer's disease diagnosis",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 63, No. 7, pp. 1473-148, 2015. 

  9. https://www.kaggle.com/navoneel/brain-mri-images-for-brain-tumor-detection, Dataset. 

  10. Karen Simonyan, Andrew Zisserman,"Very Deep Convolutional Networks for Large-Scale Image Recognition", arXiv preprint arXiv, pp. 1409-1556, 2014. 

  11. J.Y. Kim, S.J. Ko "Comparison of DICOM images and various types of images",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Signal Processing and Systems, vol. 18, No. 2, pp. 76-83, 2017. 

  12. J M. Havaei et al., "Brain Tumor Segmentation with Deep Neural Networks," Medical Image Analysis, Vol. 35, pp. 18-31, 2017. 

  13. S. Rathore, M. Habes, MA. Iftikhar, "A review on neuroimaging-based classification studies and associated feature extraction methods for Alzheimer's disease and its prodromal stages. NeuroImage. vol. 155, pp. 530-548, 2017. 

  14. Gyeong u Kim, Jin kuk Kim, "Technical Trends of Medical Image Diagnostic Equipment," The Korean Information Display Society, vol. 19, No. 4, pp. 18-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