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탄올 농도에 따른 돌외 잎 차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extract from Dolwoe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leaves tea by different ethanol concentrations 원문보기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식물생명공학회지, v.46 no.1, 2019년, pp.37 - 44  

김경철 (제주대학교 식물자원환경전공) ,  김주성 (제주대학교 식물자원환경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페놀플라보노이드의 총 함량과 생리 활성에 대한 다양한 농도의 에탄올 추출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35.54 ~ 71.52 mg GAE / g 범위였다. 용매의 에탄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페놀 함량이 높았고 80%와 99.5%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최고 함량이 확인되었다.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페놀 함량의 경향과 유사하였다. 항산화 실험으로 DPPH, nitric oxide, superoxide, hydroxyl radical 소거능과 TEAC, FRAP, ORAC를 측정하였다. Radical 소거능은 물이나 99.5% 에탄올 추출물 보다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활성이 우수하였다. TEAC와 FRAP은 에탄올 농도 의존적인 경향으로 높은 값이 나타났고 ORAC는 40 ~ 80% 에탄올 추출물이 높은 활성을 보였다. 돌외 잎 차의 항산화능을 검토한 결과 측정 방식에 따라 다른 경향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실험에서 물 또는 99.5%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80%, 99.5%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이 확인되었고, 미생물 저해활성 또한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차의 항산화 활성과 생리활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할 때 80%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돌외 차의 식품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different concentration of ethanol extraction on the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The total phenol content of the extracts ranged from 35.54 to 71.52 mg GAE/g. An increase in the ethanol concentration of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 인정되어 돌외 추출물은 긴장완화, 체지방 감소와 관련된 식품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국내산 돌외 잎 차의 기능성 소재로써 이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에탄올 농도를 달리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뒤 각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돌외 잎 차의 기호음료 및 가공식품의 개발에 있어 제조 조건의 용매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총 함량과 생리 활성에 대한 다양한 농도의 에탄올 추출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35.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국내산 돌외 잎 차의 기능성 소재로써 이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에탄올 농도를 달리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뒤 각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돌외 잎 차의 기호음료 및 가공식품의 개발에 있어 제조 조건의 용매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2006) 연구에서 당뇨병 모델 쥐에게 돌외 추출물 gepenoside를 제형화시켜 투여한 경우 고혈당을 낮추는데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따라서 추출 용매에 따른 ɑ-glucosidase 저해 활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적정 농도의 에탄올 용매를 선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돌외 잎 차 추출물의 ɑ-glucosidase 저해활성은 Figure 1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내에 생성된 활성산소는 어떤 역할을 하는 가? 유입된 산소는 대사과정이나 광화학적 반응, 화학 물질 등 여러 요인에 의하여 반응성이 높은 산소화합물이 생성된다(Beckman and Ames 1998). 체내에 생성된 활성산소는 일정농도로 존재할 때 침입한 박테리아,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한 면역 반응에 관여하지만 체내 활성산소와 항산화제 사이에 불균형이 나타나 산화 스트레스 상태가 되면 심혈관계 질환, 암, 노화, 당뇨병 등의 질병에 노출되게 된다(Ratnam et al. 2006).
총 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용매의 농도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나타내는 이유는? 5% 에탄올 보다는 60 ~ 80%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더 높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식물체에 대한 열처리로 결합형 폴리페놀 화합물이 유리형 폴리페놀로 전환되어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증가되었다는 보고처럼 건조 돌외 잎과 돌외 잎을 덖음 처리하여 가공하는 과정에서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변화가 나타난것으로 사료된다(Hwang et al., 2011).
돌외란 무엇인가? 돌외는 박과에 속하는 덩굴성 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덩굴차, 덩굴잎차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부른다. 돌외의 사포닌은 80종 이상이 존재하고 있으며 주요 gypenoside는 생리활성 측면에서 항산화와 더불어 항비만(Lu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 BJ (2001) Effect of inhibition on glucosyltransferas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olyphenol fraction of gallnut and red grape husk. Korean J Food Preserv 8:217-223 

  2. Althaus JS, Oien TT, Fici GJ, Scherch HM, Sethy VH and VonVoigtlander PF (1994)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s of peroxynitrite scavengers an approach to nitric oxide neurotoxicity. Res Commun Chem Patho Pharmacol 83:243-254 

  3. Beckman KB, Ames BN (1998) The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matures. Physiol Rev 78(2):547-581 

  4. Benzie IF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 Chem 39:70-76 

  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6. Halliwell B, Aruoma OI (1991) DNA damage by oxygen-derived species. Its mechanism and measurement in mammalian systems. FEBS Lett 281:9-19 

  7. Huang WY, Cai YZ and Zhang Y (2009) Natural phenolic compounds from medicinal herbs and dietary plants: potential use for cancer prevention. Nutr cancer 62(1):1-20 

  8. Hwang CR, Oh SH, Kim HY, Lee SH, Hwang IG, Shin YS, Lee JS and Jeong HS (2011)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eoduk (Codonopsis lanceolata) and Doragi (Platycodon grandiflorum) according to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6):798-803 

  9. Kim JS, Kim KC (2016) Antioxidant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Tradescantia pallida(Rose) Hunt leaf extract and fractions. Korean J Med Crop Sci 24:222-227 

  10. Kim KC, Kim JS (2018) Effect of ethanol solvent concentration on antioxidant activity of Dolwoe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leaves extracts. J Adv Eng and Tech 11:3 197-203 

  11. Kim YE, Kim IH, Jung SY and Jo JS (1996) Changes in components and sensory attribute of the oil extracted from perilla seed roasted at different roasting conditions. Agri Chem Biotech 39:118-122 

  12. Kim YS, Hwang JW, Park PJ and Jeong JH (2014)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Chrysanthemum boreale on t-BHP induced oxidative stress in Chang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1):60-66 

  13. Ko HM, Eom TK, Song SK, Jo GY, Kim JS (2017) Tyrosinase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and antioxidant effect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Hypochaeris radicata. Korean J Med Crop Sci 25:139-145 

  14. Lee BW and Shin DH (1991). Screening of natural antimicrobial plant extract on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2):200-204 

  15. Lee JM, Park JH, Park HR and Park EJ (2010) Antioxidant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Strychnos nux-vomic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9):1243-1248 

  16. Liu J, Zhang L, Ren Y, Gao Y, Kang L and Qiao Q (2014) Anticancer and immunoregulatory activity of Gynostemma pentaphyllum polysaccharides in H22 tumor-bearing mice. Int J Biol Macromol 69:1-4 

  17. Lu Y, Du Y, Qin L, Wu D, Wang W, Ling L, Ma F, Ling H, Yang L, Wang C, Wang Z, Zhou X and He Y (2018) Gypenosides altered hepatic bile acids homeostasis in mice treated with high fat diet.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8, 8098059 

  18. Megalli S, Davies NM and Roufogalis BD (2006) Anti-hyperlipidemic and hypoglycemic effects of Gynostemma pentaphyllum in the Zucker fatty rat. J Pharm Pharm Sci 9(3):281-91 

  19. Mitscher LA, Park YH, Clark D and Beal JL (1980) Antimicrobial agents from higher plants. Antimicrobial isoflavanoids and related substances from Glycyrrhiza glabra L. var. typica. J Nat Prod 43(2): 259-269 

  20. Moon GS, Kwon TW and Ryu SH (2003)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ybean components by different assays. Korea Soybean Digest 20(1):28-36. 

  21. Ratnam DV, Ankola DD, Bhardwaj V, Sahana DK and Kumar MR (2006) Role of antioxidants in prophylaxis and therapy: A pharmaceutical perspective. J Control Release 113(3):189-207 

  22. Rice-Evans C, Miller N and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Plant Sci 2(4):152-159 

  23. Ryu KD, Chung HW, Kim KT and Kwon JH (1997) Optimization of roasting conditions for high-quality Polygonatum odoratum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776-783 

  24. Won BY, Shin KY, Ha HJ, Yun YS, Kim YR and Lee HG (2015) Changes in Nutritional Composition of Dropwort (Oenanthe javanica) Ethanol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6):882-887 

  25. Xu ML, Hu JH, Wang L, Kim HS, Jin CW and Cho DH (2010) Antioxidant and anti-diabetes activity of extracts from Machilus thunbergii S. et Z. Korean J Med Crop Sci 18(1):34-39 

  26. Xu YQ, Ji WB, Yu P, Chen JX, Wang F and Yin JF (2018) Effect of extraction methods on the chemical components and taste quality of green tea extract. Food Chem 248:146-154 

  27. Zulueta A, Esteve MJ and Frigola A (2009) ORAC and TEAC assays comparison to measure the antioxidant capacity of food products. Food Chem 114:310-3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