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법적 증거로서 기록의 속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s of Record from a Legal Perspective 원문보기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60, 2019년, pp.89 - 121  

윤은하 (전북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 연구소)

초록

ISO 15489에 따르면, 기록이란 "조직이나 개인이 법적 의무를 수행하거나 업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증거나 정보로서 생산, 접수, 유지하는 정보"(ISO 15489-1:2001, 3.15) 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기록의 정의의 의미가 무엇인지, 기록의 법적 증거로서의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상법과 형사소송법에서 언급한 기록의 용례를 살펴봄으로서 기록의 속성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ISO 15489, records are "information" (ISO 15489-1: 2001, 3.15) that "an organization or individual produces, receives or maintains as evidence or information in the course of carrying out its legal obligations or in the conduct of its business". Records in KS ISO 15489 are also referred...

주제어

표/그림 (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록이란? ISO 15489에 따르면, 기록이란 "조직이나 개인이 법적 의무를 수행하거나 업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증거나 정보로서 생산, 접수, 유지하는 정보"(ISO 15489-1:2001, 3.15) 이다.
독도라는 작은 섬의 소유권을 국제적으로 인정받기 위한 가장 설득력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오랫동안 독도에 대한 소유권에 대한 분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양국은 더 오래되고 더 신뢰할 만한 기록을 찾아내기 위해 노력했다. 이것은 양국이 독도라는 작은 섬의 소유권을 국제적으로 인정받기 위해 가장 설득력 있는 방법이 바로 “공식 기록을 찾는 것”이라는데 동의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은 [숙종실록(肅宗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독도에 대한 소유권에 대한 분쟁에서 한국과 일본이 각각 제시한 증거는 무엇이 있는가? 이것은 양국이 독도라는 작은 섬의 소유권을 국제적으로 인정받기 위해 가장 설득력 있는 방법이 바로 “공식 기록을 찾는 것”이라는데 동의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은 [숙종실록(肅宗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통문관지(通文館志)],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라는 기록물을 증거로 제출했고, 일본은 [조선통교대기(朝鮮通交大紀)], [백기민담기(伯耆民譚記)], [초려잡담(草慮雜談)], [교린고략(交隣考略)], [죽도고(竹嶋考)], [인부연표]등의 기록을 증거로 제출했다. 우리는 512년 이래 어떤 왕조도 독도를 포기한 적 없으며 지속적으로 관리해왔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수많은 국내 기록을 제시했다(최병학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unz, Christina. 2009. Definitional Hub of e-Commerce : Record. Idaho Law Review 45, 399-434 

  2. MacNeil, Heather, Trusting Records : Legal, Historical, and Diplomatic Perspectives. Kluwer, 2000. 

  3. Rule 803(6). Records of a Regularly Conducted Activity, Federal Rule of Evidence 

  4. 대법원 2013.7.25. 선고 2013도2511 판결. 

  5. 이규호. 2018. 미국에 있어 디지털증거의 증거능력. 민사소송, 11(2), 152-175. 

  6. 이관희, 김기범. 2018,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 인정요건 재고, 디지털 포렌식연구 12(1), 93-106. 

  7. 이병태. 2016. 법률 용어사전. 서울 : 법문북스. 

  8. 이숙연. 2017. 디지털증거의 증거능력: 동일성, 무결성 등의 증거법상 지위 및 개정 형사소송법 제 313조와의 관계. 저스티스, 161, 164-199. 

  9. 이승억, 설문원. 2017. 전자기록관리 정책의 재설계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52, 5-37. 

  10. 이정은, 윤은하. 2918. ISO 15489 개정판의 주요 특징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57, 75-111. 

  11. 연합뉴스. 1895년 일본 군사지도 기록 '독도는 한국땅'. 2019.2.22. 검색일자 : 2019.4.23. 

  12. 원혜욱. 2000. 컴퓨터 관련 증거의 증거조사의 증거능력. 수사연구6. 검색일자 : 2019.4.23 http://wan.khu.ac.kr/wanlaw/wwwhome/ccrf/ccrf/won200006.html 

  13. 원혜욱. 2014. 디지털증거의 증거능력 판단에 대한 연구. 대법원사법정책 연구원 연구총서, 1-181 

  14. 조광훈. 2015. 전자정보의 증거능력을 둘러싼 쟁점별 검토와 해석론, 법학논문집, 39(3), 183-237. 

  15. 조현숙. 2010. 국제상거래에서 전자기록의 정의와 요건, e-비즈니스 연구, 11(3), 455-475 

  16. 최병학. 2010. 해양영토분쟁과 독도영유권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14(2), 217-241. 

  17. 박지태. 2011. 기록관리개론, 국가기록원 기록관리 실무 시리즈 (1), 1-233. 

  18. 탁희성. 2003. 전자증거에 관한 연구 : 압수.수색과 증거능력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62. 

  19. 한국기록관리학회 편저, 2018, 기록관리의 이론과 실제, 조은글터. 

  20. 한국산업규격 "문헌정보-기록관리" KS X ISO 15489. 

  21.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8. 정보통신용어 사전. 검색일자 : 2019.4.23. http://word.tta.or.kr/dictionary/dictionaryView.do?word_seq046199-3 

  22. 허황. 2017. 한국에서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에 관한 최신 논의의 개관, 2017 한.터키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 228-246 

  23. InterPARES 2 Glossary. 2019, April. 검색일자 : 2019.4.23. http://www.interpares.org/ip2/display_file.cfm?docip2_glossary.pdf&CFID18646737&CFTOKEN14415532 

  24. SAA Glossary. 2019. 검색일자 : 2019.4.23. https://www2.archivists.org/glossary/terms/r/record 

  25. 미디어 오늘, 당신을 간첩 만들지 모를 지문없는 하드디스크, [인터뷰] 오길영 신경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왕재산 사건, 엉터리 디지털 증거 재판이었다". 2013. 01.18. 검색일자 : 2019.4.23.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1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