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교수체제개발에 기초한 놀이교육 프로그램 개발
Play and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Based on the 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4, 2019년, pp.19 - 27  

박혜진 (건국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  김귀옥 (중앙탑초등학교) ,  김용영 (건국대학교 국제비즈니스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교수체제개발에 기초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놀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DDIE모형을 활용하여 협동학습과 프로젝트 기반의 과제 수행이 가능한 놀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내부 연구진, 교수설계 전문가, 내용 전문가의 검토 및 수정 과정을 거쳐 개발된 최종 놀이교육 프로그램은 디자인 및 계획 세우기, 놀이 공간 모형 만들기, 전시회 준비 및 작품 감상하기의 총 세 가지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학생들이 자신이 원하는 놀이공간을 또래 학생들과의 협업을 통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을 본 프로그램의 목적으로 세웠다. 개발된 놀이교육 프로그램은 충주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놀이교육 프로그램이 종료된 시점에 1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FGI를 시행하여 본 프로그램의 지속가능성 여부를 포함한 놀이교육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가치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놀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 향후 놀이교육 및 프로젝트에 대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lay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 (ISD). To achieve the goal, play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ADDIE model. Internal researchers, teaching design experts, and subject matter...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구체적인 놀이의 대상과 해당 대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협동학습과 프로젝트 기반의 과제 수행이 가능한 놀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해당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 Evaluation)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내부 연구진, 교수설계 전문가, 내용전문가(Subject Matter Expert: SME)의 검토 및 수정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놀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였다.
  • 아동이 진정으로 놀이를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게 하려면 적극적으로 놀이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17]. 이에 본 연구에서는 ADDIE 모형을 토대로 놀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놀이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는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원하는 놀이 공간을 스스로 만들어 가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ADDIE 모형을 토대로 놀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놀이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는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원하는 놀이 공간을 스스로 만들어 가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놀이 규칙을 포함한 놀이 공간 사용 방법 및 활용에 대한 설명서도 직접 작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또한 놀이 규칙을 포함한 놀이 공간 사용 방법 및 활용에 대한 설명서도 직접 작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학습 성과 영역 중 지적기능(intellectual skill)과 인지전략(cognitive strategies)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놀이공간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무언가를 창안해 낼 수 있는 인지전략과 산출물에 대한 설명과 사용방법에 대해 직접 시범을 보일 수 있는 지적기능을 학습목표로 설정하여 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의 놀이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운영하고자 개발하였다. 특히, 학생들이 자신이 원하는 놀이 공간을 또래 학생과의 협업을 통해 공간 조성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지금 세대의 학생들이 4C(Creativity, Communication, Critical thinking, Collaboration)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의 놀이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운영하고자 개발하였다. 특히, 학생들이 자신이 원하는 놀이 공간을 또래 학생과의 협업을 통해 공간 조성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지금 세대의 학생들이 4C(Creativity, Communication, Critical thinking, Collaboration)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하였다. 놀이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작성된 과정개요서는 Table 2와 같다.
  • 놀이교육 프로그램 과정개요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주제 및 대상과 프로그램을 통해 함양될 수 있는 역량을 표기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개요는 본 프로그램을 통해 달성될 수 있는 교육목표와 프로그램의 특징을 기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모듈(Module)로 세우고, 각각의 모듈 안에 주요 내용을 객체(Object)단위로 설계하여 학습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차시를 구성하였다.
  • 놀이교육 프로그램은 프로젝트 학습으로 진행되며, 해당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완료시키는 시점까지 철저하게 학습자 중심의 학습이 가능하도록 독려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창의성과 협업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였으며, 나아가 자기 주도적 문제해결능력까지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놀이교육 프로그램은 실제 놀이 공간을 계획하고 만드는 과정을 토대로 실제 공간이 구현되었을 때, 활용될 수 있도록 작품에 대한 설명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교수체제개발에 기초하여 놀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ADDIE 모형을 토대로 초등학생 대상의 놀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수체제개발란 무엇인가? 교수체제개발(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 ISD)이란,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교수체제를 개발하기 위해 이와 관련된 주요 요소들과 그 요소들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개발 과정 및 절차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일종의 절차적 모형이다[16]. 교수체제개발은 교수-학습을 일종의 ‘체제’로 보는 관점에서 출발하여 교수-학습 체제를 개발하는 것을 말한다.
협동학습이 놀이 영역에 적용됨으로써 나타나는 효과는 무엇인가? 협동학습의 구조와 효과는 놀이 영역에서도 보편화 되어 적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학습 과정에서 자신의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지식을 구성하지만, 놀이의 경우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을 공유하기 때문에 통찰력과 문제해결에 대한 시너지 효과가 나타난다. 즉, 놀이는 또래와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의 과정으로 인지적·정의적 측면의 긍정적인 효과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개인 위주의 활동에서 모둠활동으로 확대[2]되고 놀이를 통한 협동학습도 강조되고 있다.
ADDIE 모형의 특징은 무엇인가? 교수체제개발 모형 중 학교와 기업을 포함한 대부분의 교육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은 ADDIE 모형을 토대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ADDIE 모형은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 (Development), 실행(Implement), 평가(Evaluation)의 절차를 거치며 다양한 교수체제개발 모형의 기초가 된다. 본 연구의 놀이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ADDIE 모형을 토대로 이루어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D. K. Kim & I. W. Park. (2018). A Qualitative Case Study o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ion in the Cooperative Learning Teambuilding Program.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66, 87-120. 

  2. M. P. Driscoll. (2005). Psychology of Learning for Instruction(3rd ed.). Allyn & Bacon. 

  3. S. M. Lee. (2015). The Effects of Parent-Child Play and Private Education on Children's Happiness.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4. Y. S. Jeon, S. K. Shim & K. H. Ryu. (2014). The Effects of Creative Traditional Play on Creativ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ies among Five-year-old Children.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18(1), 141-163. 

  5. E. S. Kim. (2013). Impact of Play in the Forest on Children's Creativity. Journal of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17(2), 23-42. 

  6. E. H. Lee & S. H. Kim. (2016). The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ity and Playfulness on Infant's Creativity.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1(2), 593-612. 

  7. A. S. Shin. (2018). The Effect of Dramatic Play Using Sociality Story-Telling 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Linguistic Expression.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2), 359-380. 

  8. C. Schaefer & D. Cangelosi. (2002). Play therapy techniques. NJ: Jason Aronson Inc. 

  9. J. A. Chafel. (1991). The Play of Children: Developmental Processes and Policy Implications. Child & Youth Care Forum, 20(2), 115-132. 

  10. J. Piaget. (1962). Play, Dreams and Imitation in Children. New York: Norton. 

  11. W. Y. Shim. (2011). Children's Play and Teachers' Knowledge.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4(4), 143-164. 

  12. J. L. Frost, S. C. Wortham, & S. Reifel. (2005). Play and Child Development(2nd ed.). NJ : Prentice Hall. 

  13. Science Daily(April 1, 2009). Physical Activity May Strengthen Children's Ability to Pay Attention. 

  14. S. Smilansky, & L. Shefataya. (1990). Facilitating Play. Gaithersburg, MD: Psychology and Educational Publication. 

  15. S. H. Kim. (2011). The Proposition of Linkage Education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with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Play-centered - Nuri Curriculum and the Elementary Curriculum of 2009. Research of Waldorf Education, 3(2), 99-121. 

  16. S. I. Park, C. I. Lim, J. K. Lee, J. I. Choi. (2015). Educational Technology Understanding of Instructional Methods. Seoul: Kyoyookbook. 

  17. E. S. Na. (20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lay Flow Scale for Young Children.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14(4), 589-608. 

  18. G. Kearsley, & B. Shneiderman. (1998). Engagement Theory. Educational Technology, 38(5), 20-23. 

  19. H. R. Markus & S. Kitayama. (1991). Culture and the Self. Psychological Review, 98, 224-253. 

  20. K. H. Lee. (2003). The Effects of Structure-centered Cooperative Learning on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cheon. 

  21. S. C. Kim. (2005). The Effects of Kagan's Structure Based Cooperative Learning o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Master's Thesis.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22. S. S. Kang. (2011). Effects of the Home Project Method on Capabilities of Self-Directed Learning of Elementary Students in Practical Art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15, 183-212. 

  23. W. G. Jang. (1998). The Effects of the Project Approach in Teaching Integrat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24. J. M. Keller. (1983). Motivational design of instruction. In C. M. Reigeluth(Ed.),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