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인의 환자안전활동 경험, 환자안전인식 및 환자참여 의지 간의 관계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atient Safety Activity Experience, Patient Safety Perception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General Popula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9, 2020년, pp.405 - 415  

신선화 (삼육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환자안전활동 경험, 환자안전인식 및 환자참여 의지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또한, 일반인의 환자안전 참여를 증가시키기 위한 환자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9년 11월에 온라인 설문을 통해 195명의 단면 조사를 수행하였다. 대상자는 최근 1년 이내에 종합 병원에 입원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으로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환자안전활동 경험은 환자안전인식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고, 환자안전인식은 환자참여 의지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환자안전인식은 환자안전활동 경험과 환자참여 의지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일반인의 환자참여 의지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의료기관에서 수행하는 환자안전활동에 대한 홍보와 교육을 통해 환자안전인식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cross-sectional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three factors related to patient safety activities: (1) Experiences, (2) Perceptions, and (3) Willingness to Participate.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195 people in November 2019. Participants were admitted to a general hospital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환자참여 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자기효능감을 들 수 있는데,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는 개인이 환자안전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확인하는 환자안전인식으로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환자안전활동 경험이 환자안전인식에 영향을 주어 환자참여 의지를 변화시키는 매개경로를 탐색해 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고, 개념적 기틀은 Fig. 1과 같다.
  • 본 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환자안전활동 경험과 환자참여 의지 간의 관계에서 환자안전인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최근 1년 이내에 입원 경험이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의료기관에서의 환자안전활동 경험이 환자안전에 대한 환자참여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환자안전활동 경험과 환자참여 의지 간의 관계에서 환자안전인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입원 경험이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환자안전활동 경험과 환자안전인식, 환자참여 의지를 조사하고, 환자안전활동 경험과 환자참여 의지 간의 관계에서 환자안전인식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고자 한다.
  • 환자안전에 대한 환자참여 의지를 탐색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국내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안전에 관한 참여 의지를 조사한 결과, 의료진의 손 씻기 확인하기와 의료진이 준 약물이 정확한지 확인하는 참여 의지가 낮게 나타났다[10].
  • 환자안전활동 경험은 의료기관에서 수행하는 환자안전활동을 경험했는지 여부를 측정하였다. 환자안전활동의 내용은 의료질관리(Quality improvement, QI) 부서의 팀장 3명과 수간호사 2명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10가지 항목 중 8가지 항목을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의료과학 및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의료현장의 복잡해진 업무 프로세스 무엇을 증가시키는가? 최근 의료과학 및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의료현장의 복잡해진 업무 프로세스는 수많은 에러와 실수가 발생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1]. 이로 인해 환자안전은 보건의료 분야에서 중요한 사안이고, 의료기관에서는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 및 환자안전 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의료진은 환자에게 질문하거나 특정 행동에 참여하도록 격려함으로써 환자들이 적극적으로 환자안전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반대로 국외의 경우에는 자신에게 의료오류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다고 인식한 환자들이 의료진에게 잠재적 오류를 알리거나 손 위생을 준수하도록 요청하는 등의 예방적 보호 행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였다[13]. 이처럼 환자안전에 관한 참여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안전사고의 경험, 의료제공자와의 관계, 의료기관 시스템과도 연관이 있었다[6]. 환자참여 의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의료인-환자 관계가 무엇보다 중요하게 작용하였고[14], 자신의 질병에 관한 의료정보를 잘 인지할수록 환자안전을 위한 참여 의지를 긍정적으로 증가시켰다[15]. 환자가 자신에 대한 의료정보를 아는 것은 환자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자기효능감과 위험 인식을 증가시켜 환자안전의 행동 의지를 상승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16]. 따라서 의료진은 환자에게 질문하거나 특정 행동에 참여하도록 격려함으로써 환자들이 적극적으로 환자안전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8,17].
환자안전사고는 무엇을 포함하는가?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1차 및 외래를 통해 치료를 받는 환자의 10명 중 4명은 환자안전사고에 노출되어 있고[2],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50% 이상은 예방이 가능한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2,3]. 이렇듯 환자안전사고는 환자에게 끼치는 피해와 상관없이 의료기관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위험(risks), 에러(errors), 위해(harm), 실수(mistake)를 포함한다[4]. 현재 국가별로 수행하는 보건의료체계에 따라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문제 발생에는 차이가 있으나, 공통적으로 병원 내 감염, 투약 오류, 의사소통 오류와 같은 환자안전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Patient safety. Geneva: WHO.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pa tient-safety 

  2. L. Slawomirski, A. Auraaen & N. Klazinga. (2018). The economics of patient safety in primary and ambulatory care: flying blind, Paris: OECD. http://www.oecd.org/health/health-systems/The-Econ omics-of-Patient-Safety-in-Primary-and-Ambulatory- Care-April2018.pdf 

  3. E. N. de Vries, M. A. Ramrattan, S. M. Smorenburg, D. J. Gouma & M. A. Boermeester. (2008). The incidence and nature of in-hospital adverse events: a systematic review.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17(3), 216-223. DOI : 10.1136/qshc.2007.023622 

  4. The Joint Commission. (2018). Sentinel event data - general information. Geneva: The Joint Commission Resources, Inc (JCR). https://www.jointcommission.org/-/media/tjc/docume nts/resources/patient-safety-topics/sentinel-event/ge neral_information_4q_2018pdf.pdf 

  5. R. E. Davis, N. Sevdalis & C. A. Vincent. (2011). Patient involvement in patient safety : how willing are patients to participate? British Medical Journal, 20(1), 108-114. DOI : 10.1136/bmjqs.2010.041871 

  6. C. Doherty & C. Stavropoulou. (2012). Patients' willingness and ability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e reduction of clinical error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Social Science & Medicine, 75(2), 257-263. 

  7. S. N. Weingart et al. (2011). Hospitalized patients' participation and its impact on quality of care and patient safety.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3(3), 269-277. DOI : 10.1093/intqhc/mzr002 

  8. H. Rainey, K. Ehrich, N. Mackintosh & J. Sandall. (2013). The role of patients and their relatives in 'speaking up' about their own safety- a qualitative study of acute illness. Health Expectations, 18(3), 392-405. DOI : 10.1111/hex.12044 

  9. The Joint Commission (2017). Speak Up Campaigns. Geneva: The Joint Commission Resources, Inc. (JCR). https://www.jointcommission.org/speakup.aspx 

  10. K. H. Lee. (2018). Willingness toward patient participation in patient safety. Master's Degree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11. K. E. An, J. E. Kim, M. Kang & Y. Y. Jung. (2006). Reducing medical errors: patients' self protect behaviors and involvement in decision making.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16(3), 70-85. 

  12. S. W. Hwang & C. J. Choi. (2006). Patient-centered attitudes in primary care pati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7(12), 998-1004. 

  13. Y. Longtin, H. Sax, B. Allegranzi, S. Hugonnet & D. Pittet. (2009). Patients' beliefs and perceptions of their participation to increase healthcare worker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Infection Control & Hospital Epidemiology, 30(9), 830-839. DOI: 10.1086/599118 

  14. D. Bolster & E. Manias. (2010). Person-centred interactions between nurses and patients during medication activities in an acute hospital setting: qualitative observation and interview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7(2), 154-165. DOI:10.1016/j.ijnurstu.2009.05.021 

  15. R. Forsyth, C. A. Maddock, R. A. M. Iedema & M. Lassere. (2010). Patient perceptions of carrying their own health information: approaches towards responsibility and playing an active role in their own health e implications for a patient-held health file. Health Expectations, 13(4), 416-426. DOI : 10.1111/j.1369-7625.2010.00593.x 

  16. E. Smythe. (2010). Safety is an interpretive act: a hermeneutic analysis of care in childbirth.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7(12), 1474-1482. DOI : 10.1016/j.ijnurstu.2010.05.003 

  17. V. A. Entwistle, D. McCaughan, I. S. Watt, Y. Birks, J. Hall, M. Peat, B. Williams & J. Wright. (2010). Speaking up about safety concerns: multi-setting qualitative study of patients' views and experiences.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19(6), 1-7. DOI : 10.1136/qshc.2009.039743 

  18. S. N. Weingart et al. (2007). Patient reported safety and quality of care in outpatient oncology. Joint Commission Journal on Quality and Patient Safety, 33(2), 83-94. DOI : 10.1016/S1553-7250(07)33010-9 

  19. C. Rathert, N. Huddleston & Y. Pak. (2011). Acute care patients discuss the patient role in patient safety. Health Care Manage Review, 36(2), 134-144. DOI: 10.1097/HMR.0b013e318208cd31 

  20. J. Y. Kim & E. A. Hwang. (2014). A study on improvement of consumer safety in medical services-based on patient safety. Korean Consumer Agency Policy Research Report, 12, 1-158. 

  21. J. E. Kim, N. J. Lee, S. M. Jang & Y. M. Kim. (2013). Healthcare service consumer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0(2), 133-140.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Patient Safety Act. Korea. http://www.law.go.kr/lsSc.do?tabMenuIdtab18§ion&eventGubun060101&querypatient+safety#J5092930 

  23. S. J. Kang & J. Y. Park. (2019). Patient safety perception and patient participation among hemato-oncology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19(4), 224-232. DOI : 10.5388/aon.2019.19.4.224 

  24. I. Ajzen.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79-211. DOI : 10.1016/0749-5978(91)90020-T 

  25. J. C. Nunally.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 McGraw-Hill book company. 

  26. K. J. Kim, E. H. Lee & S. H. Shin. (201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atient safety perception scale for hospitalized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0(4), 404-416. DOI : 10.7475/kjan.2018.30.4.404 

  27. S. J. Giles, R. J. Lawton, I. Din & R. R. C. McEachan. (2013). Developing a patient measure of safety (PMOS).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22(7), 554-562. DOI : 10.1136/bmjqs-2012-000843 

  28. H. Y. Kim & E. S. Lee. (2013). Effects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9(1), 46-54. 

  29. N. J. Lee & J. H. Kim. (2011).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among nurses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17(4), 462-73. 

  30. J. Y. Kim. (2016). Nurse's patient safety activities observed by nursing students.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22(1), 71-90. DOI : 10.14371/QIH.2016.22.1.71 

  31. J. H. Park. (2020). Effects of nurses' patient safety management importance, patient safety culture and nursing service quality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tertiary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6(3), 181-191. DOI : 10.11111/jkana.2020.26.3.181 

  32. N. Y. Kim. (2020). Analysis of patient safety incident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6(2), 151-159. DOI : 10.11111/jkana.2020.26.2.151 

  33. I. Ricci-Cabello, M. Pons-Vigues, A. Berenguera, E. Pujol-Ribera, S. P. Slight & J. M. Valderas. (2016). Patie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patient safety in primary care in England. Family Practice, 33(5), 535-542. DOI : 10.1093/fampra/cmw046 

  34. J. H. Pyo, W. Lee, E. Y. Choi, S. G. Jang, M. S. Ock & S. I. Lee. (2018). Promoting awareness of patient safety and patient engagement through patient safety education for the general public: pilot study.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4(3), 65-88. 

  35. Y. S. Kim, M. J. Kwak, M. S. Kim, H. A. Kim, H. S. Kim, J. H. Chun & J. I. Hwang. (2019). Safety education programs for patients and families in overseas institutions. Korean Society for Quality in Health Care, 25(1), 2-10. DOI : 10.14371/QIH.2019.25.1.2 

  36. Y. S. Kim et al. (2019). Experiences in patient safety education of patient safety officer using focus group interview. Korean Society for Quality in Health Care, 25(2), 2-10. DOI : 10.14371/QIH.2019.25.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