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인 요인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Terminal Care Stress in General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4, 2019년, pp.28 - 38  

박미선 (전북대학교병원) ,  김혜영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  김지영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J시 소재의 일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97명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12월 25일부터 31일까지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임종간호 스트레스 예측요인은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 이직의도, 존엄사에 대한 태도 및 영성이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들은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39.6%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 때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체계적으로 사정하고 이들 변인을 모두 고려한 구체적인 중재를 개발하여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redictors of terminal care stress of nurses. Participants were 197 nurses from a C university hospital in J city.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On hi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이들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경감시켜 임종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연령, 경력, 학력수준, 근무부서, 이직의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및 관련성이 있었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 존엄사에 대한 태도, 영성 및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종간호를 경험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 존엄사에 대한 태도, 영성 및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관련성이 있는 변인으로는 영성[17], 죽음에 대한 인식[18], 직무만족도[19], 죽음불안[20], 임종간호수행[19,20] 그리고 자아존중감[20] 등으로 간호사의 품위 있는 죽음과 존엄사에 대한 태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간호사의 품위 있는 죽음 및 존엄사에 대한 태도가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 영성이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므로[17] 영성이 임종간호 스트레스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은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의미 있는 일이다.
  • 또한 선행 연구에서 영성이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므로[17] 영성이 임종간호 스트레스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은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의미 있는 일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임종을 경험한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와 존엄사에 대한 태도 및 영성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간호사가 경험하는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효율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종 시 간호가 간호사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간호사는 복잡하고 세분화된 직무내용 및 과중한 업무, 환자와 보호자의 높은 기대 등으로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며[3], 그 중 임종 시 간호는 신체적, 정신 적, 영적인 측면에서 더욱 세심한 요구를 필요로 한다[4]. 따라서 간호사는 임종을 앞둔 환자를 돌보면서 육체적인 피로와 함께 환자가 사망할 경우 보상 없는 헌신과 절망감 등과 같은 심리적인 고통으로 일반 환자를 간호할 때와는 또 다른 양상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5]. 임종간호의 수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임종간호 스트레스로[6], 효율적인 임종간호의 수행을 위해서는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간호사의 영성이란 무엇인가? 간호사의 영성은 임종 단계에 진입한 환자들의 심리 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며[13], 환자에게 통합적인 전인간호를 제공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14]. 영성은 죽음에 대한 직관적인 인식과 통찰을 하게하고 다양한 증상고통을 극복하게 하는 원천으로 작용한다.
간호사에서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중요 개념들은 무엇인가? 이렇듯 종합병원 간호사에서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 존엄사에 대한 태도 및 영성은 무엇보다 중요한 개념들이라고 볼수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관련성이 있는 변인으로는 영성[17], 죽음에 대한 인식[18], 직무만족도[19], 죽음불안[20], 임종간호수행 [19,20] 그리고 자아존중감[20] 등으로 간호사의 품위 있는 죽음과 존엄사에 대한 태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Statistics Korea. (2018). Expected life tables for Korea. Statistics Korea(Online).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2/3/index.board?bmoderead&bSeq&aSeq366414&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2. S. N. Kim & S. O. Choi (2011). Effects of a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meaning in life on attitudes toward end-of-life care and meaning in life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4), 454-463. DOI : 10.5977/JKASNE.2011.17.3.454 

  3. H. K. Moon, M. R. Jung & W. J. Noh. (2019). Convergence Study of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f Nurs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3), 146-151. DOI :10/22156/CS4SMB.2019.9.3.146 

  4. M. Y. Lee (2012). Nurses' End-of-life care stress and coping and solution plan.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5. S. Y. Kang & B. S. Lee. (2001).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care for the dying patient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7(2), 237-251. 

  6. M. J. Ko & S. H. Moon. (2016).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of end-of-life care by ICU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5(4), 327-337. DOI : 10.12934/jkpmhn.2016.25.4.327 

  7. Y. M. Park (2007). Death with dignity.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8. G. H. Ko & I. S. Cho. (2015). Attitudes towards death and euthanasia among nurses and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3), 229-240. DOI : /10.5392/JKCA.2015.15.03.229 

  9. S. S. Park. (2009). A discussion on euthanasia and an examination of euthanasia Bill directions - Focusing on passive euthanasia (dead with dignity). Law Review, 17(1), 43-57. 

  10. A. K. Kim. (2012). The study of attitude to passive euthanasia among Korean nurses.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9(1), 76-85. 

  11. S. N. Kim & H. J. Kim. (2016). Recognition of good death, attitude towards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attitude towards euthanasia in nurses.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9(2), 136-144. 

  12. Y, M. Lee, K. A. Jung & M. A. Son. (2015). Attitudes towards death and euthanasia among nurses and nursing students : In Convergence era.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3(6), 213-224. DOI :10.14400/JDC.2015.13.6.213 

  13. K. J. Lee & Y. S. Park. (2015). Nurses' spirituality and attitude toward terminal care in geriatric hospita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2), 347-357. DOI : 10.14400/JDC.2015.13.12.347 

  14. L. P. Lewinson, P. McSherry & P. Kevern. (2015). Spirituality in pre-registration nurse education and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Nurse Education Today, 35(6), 806-814. DOI : 10.1016/j.nedt.2015.01.011 

  15. M. O. Yoon. (2009). The spiritual well-being and the spiritual nursing care of nurses for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2(2), 72-79. 

  16. Y. S. Seo & K. W. Sung. (2012). Influence of nurses' spirituality on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4(1), 12-20. 

  17. S. I. Ji, & H. S. You. (2014). The Impact of Clinical Nurses' Terminal Care Attitude and Spiritual Health on Their Terminal Care Stress.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7(4), 232-240. DOI : 10.14475%2Fkjhpc.2014.17.4.232 

  18. J. O. Lee. (2017). Nurses's perception of death and death nursing stress.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Pusan. 

  19. E. K. Baek & E. J. Cho. (2015). Terminal care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for nurses in internal medicine wards.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8(4), 267-275. DOI : 10.14475/kjhpc.2015.18.4.267 

  20. W. S. Kim, H. H. Cho & S. H. Kwon. (2016). The influence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death anxiety and self-esteem on terminal care stress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9(2), 154-162. DOI : 10.14475/kjhpc.2016.19.2.154 

  21. Y. W. Woo, K. H. Kim & K. S. Kim. (2013).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stress among nurses and the relationship to terminal care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6(1), 33-41. 

  22. K. H. Jo. (200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Dignified Dying Scale for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3), 313-324. 

  23. A. K. Kim. (2001).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attitude euthanasia by Korean nurses.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8(1), 95-105. 

  24. K. Y. Lee, C. H. Kim & D. W. Kim. (2003), Development of the Spirituality Scal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5(4), 711-728. 

  25. Y. O. Lee. (2004). A study of cancer unit nurses' stress from bereavement support.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26. Y. A. Yoon. (2010). Clinical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end of life care stress. Master's thesis. Kwungbook University. Daegu. 

  27. J. H. Yang & S. R. Shin (2016).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death perception, spiritual well being and terminal care stress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6), 510-520. DOI : 10.5762/KAIS.2016.17.6.510 

  28. S. A. Yang. (2015). Convergenc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erminal care attitud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4), 73-88. DOI : 10.15207/JKCS.2015.6.4.073 

  29. S. A. Yang. (2016). Convergenc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end-of-life attitude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4), 141-154. DOI : 0.15207/JKCS.2016.7.4.141 

  30. H. Y. Lee, Y. O, Lee. E. Y. Choi & Y. M. Park. (2007). A comparison on stress and coping of bereavement care between nurses in the cancer unit and nurses in the general unit. Asian Oncology Nursing, 7(1), 26-35. 

  31. K. H. Jo & Y. J. Kim. (2013). The impact of nurses' attitude toward dignified death and moral sensitivity on their end-of-life care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6(4), 223-231. DOI : 10.14475/kjhpc.2013.16.4.223 

  32. K. H. Jo & H. J. Han. (2001) Nurses' painful experiences through terminal pati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 1055-1066. 

  33. S. S. Han, I. S. Sohn & N. E. Kim. (2009). New nurse turnover intention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6), 878-887. 

  34. M. J. Chung & Y. Eun. (2011).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spiritual care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5), 673-683. DOI : 10.4040/jkan.2011.41.5.6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