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간호사의 죽음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New Nurse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8 no.4, 2019년, pp.230 - 241  

박은주 (경상대학교병원) ,  서민정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노인건강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death anxiety, terminal care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ew nurses, as well 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using descriptive correlation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43 new nurses who had 3 to 12 months of ex...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죽음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 직무만족도를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확인하고 상관관계를 파악하며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신규간호사들은 3개월 미만에서 처음 죽음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3개월 미만에서 죽음불안이 가장 높았고, 임종간호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죽음불안이란 무엇인가? 간호사는 고통 속에 임종을 맞는 대상자들을 돌보면서 자신과 타인의 죽음에 대한 불안이 높아질 수 있으며(Samson & Shvartzman, 2018), 환자에게 감정이입을 하면서 환자가 느끼는 고통과 불안을 함께 경험하게 된다(Liu & Chiang, 2017). 죽음불안은 죽음이라는 사건을 통해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하는 심리적 상태를 말하며, 죽음불안이 높은 간호사는 죽음을 회피하고 싶은 경향이 있어 생애말기 환자에게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는 데 장애요인이 된다(Nia, Lehto, Ebadi, & Peyrov, 2016). 면허 취득 후 1년 미만의 병원 근무 경력을 가진 신규간호사는 실무현장에서 간호업무 수행의 미숙함과 심적 압박감 등을 경험하며, 빠르게 변하는 실무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해야 할 일에 대한 적절한 의사결정과 독립적인 간호업무 수행에 어려움을 느끼면서 좌절, 불안, 혼란 등을 경험하게 된다 (Ng Chok, Mannix, Dickson, & Wilkes.
환자의 임종이 간호사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간호사는 고통 속에 임종을 맞는 대상자들을 돌보면서 자신과 타인의 죽음에 대한 불안이 높아질 수 있으며(Samson & Shvartzman, 2018), 환자에게 감정이입을 하면서 환자가 느끼는 고통과 불안을 함께 경험하게 된다(Liu & Chiang, 2017). 죽음불안은 죽음이라는 사건을 통해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하는 심리적 상태를 말하며, 죽음불안이 높은 간호사는 죽음을 회피하고 싶은 경향이 있어 생애말기 환자에게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는 데 장애요인이 된다(Nia, Lehto, Ebadi, & Peyrov, 2016).
높은 직무 만족도는 간호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간호사의 환자 임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죽음불안은 직무 만족의 장애 요인 중 하나이다(Nia, Lehto, Ebadi, & Peyrov, 2016). 직무만족도는 자신의 의무를 수행하거나 경험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즐거움 또는 긍정적인 정서 상태를 의미하며, 직무만족도가 높으면 간호업무 수행이 향상되고 서비스의 질과 간호사의 사기를 높여 재직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Lee et al.,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ek, E. K., & Choi, E. J. (2015). Terminal care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for nurses in internal medicine ward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8(4), 267-275. 

  2. Caton, A. P., & Klemm, P. (2006). Introduction of novice oncology nurses to end-of-life care.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0(5), 604-608. 

  3. Collett, L. J., & Lester, D. (1969). The fear of death and the fear of dying. Journal of Psychology, 72(2), 179-81. 

  4. Collins, H., & Raby, P. (2019). Palliative care after the liverpool care pathway: a study of staff experiences. British Journal of Nursing, 28(15), 1001-1007. 

  5. Dimoula, M., Kotronoulas, G., Katsaragakis, S., Christou, M., Sgourou, S., & Patiraki, E. (2019).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knowledge about palliative care and attitudes towards end-oflife care: A three-cohort, cross-sectional survey. Nurse Education Today, 74, 7-14. 

  6. Flannery, L., Ramjan, L. M., & Peters, K. (2016). End-of-life decisions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exploring the experiences of ICU nurses and doctors-A critical literature review. Australian Critical Care, 29(2), 97-103. 

  7. Han, C. B., & Mun, H. J. (1996). A study on role conception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1), 115-124. 

  8. Hong, E. M., Jun, M. D., Park, E. S., & Ryu, E. J. (2013). Death perceptions,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 death in oncology nurses. Asian Oncology Nursing, 13(4), 265-72. 

  9. Jo, K. H., & Han, H. J. (2001). Nurses' painful experiences through terminal pati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6), 1055-1066. 

  10. Kang, J. H., & Han, S. J. (2013). A study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death, death anxiety, death concern and respect for life.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6(2), 80-89. 

  11. Kim, H. S. (2018). The lived experience of new graduate nurse within the first 4monthes of employment: "How soon can we escape from difficult tim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2. Kim, H. S., Choi, E. K., Kim, T. H., Yun, H. Y., Kim, E. J., Hong, J. J., et al. (2019). Difficulties in end-of-life care and educational needs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a mixed methods study. Korean J Hosp Palliat Care, 22(2), 87-99. 

  13. Kim, S. R., No, M. J., Moon, K. E., Cho, H.J., Park, Y., Lee, N. J., et al. (2018). Intensive care unit nurses' death perception, end of life stress and end of life nursing attitud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4(2), 255-262. 

  14. Kim, W. S., Cho, H. H., & Kwon, S. H. (2016). The influence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death anxiety and self-esteem on terminal care stress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9(2), 154-162. 

  15. Koo, J. E. (2017). A comparative study on spirituality, death anxiety,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hospice nurses and gener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16. Lee, M. H., et al. (2003). Nursing professionals and ethics. Seoul: Hyunmoonsa. 

  17. Lee, V. L., & King, A. H. (2014). Exploring death anxiety and burnout among staff members who work in outpatient hemodialysis units. Nephrology Nursing Journal, 41(5), 479. 

  18. Lee, Y. O. (2004). A study of cancer unit nurses' stress from bereavement suppo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19. Liu, Y. C., & Chiang, H. H. (2017). From vulnerability to passion in the end-of-life care: the lived experience of nurses.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31, 30-36. 

  20. Ng Chok, H., Mannix, J., Dickson, C., & Wilkes, L. (2018). Experiences of registered nurses from a refugee background: A scoping review.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7(7-8), e1275-e1283. 

  21. Nia, H. S., Lehto, R. H., Ebadi, A., & Peyrovi, H. (2016). Death anxiety among nurses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A review article.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ty Based Nursing and Midwifery, 4(1), 2. 

  22. Noh, J. H., Eom, J. Y., Yang, K. S., & Park, H. S. (2009). New nurses' experience on care of dying patients.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10(1), 51-62. 

  23. Pereira, S. M., Fonseca, A. M., & Carvalho, A. S. (2011). Burnout in palliative care: a systematic review. Nursing Ethics, 18(3), 317-326. 

  24. Saifan, A. R., Al Zoubi, A. M., Alrimawi, I., & Melhem, O. (2019). Exploring the psychological status of Jordanian nurses working with cancer patient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7(1), 215-222. 

  25. Samson, T., & Shvartzman, P. (2018). Association between level of exposure to death and dying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mong palliative care workers. Palliative & Supportive Care, 16 (4), 442-451. 

  26. Seo, M. J., Kim, J. Y., Kim, S. H., & Lee, T. W. (2013). Nurses attitudes toward death, coping with death and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regarding EOL care: focus on nurses at ED, ICU and oncology department.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6(2), 108-117. 

  27. Stamps, P. L., Piedmont, E. B., Slavitt, D. B., & Haase, A. M. (1978). Measurement of work satisfaction among health professionals. Medical Care, 16(4), 337-352. 

  28. Statistics Korea. 2018 Death statistics. Retrieved June 01, 2019,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2/1/index.-board?bmoderead&aSeq373361 

  29. Thorn, H., & Uhrenfeldt, L. (2017). Experiences of non-specialist nurses caring for patients and their significant others undergoing transitions during palliative end-of-life cancer care: a systematic review. JBI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and Implementation Reports, 15(6), 1711-1746. 

  30. Woo, Y. W., Kim, K. H., & Kim, K. S. (2013).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stress among nurses and the relationship to terminal care performance.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6(1), 33-41. 

  31. Yang, Y. S., & Kang, Y. H. (2013). ICU new nurse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Health & Nursing, 25(2), 47-5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