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identify of the level and effect of the e-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 in health science majors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5 to March 15, 2018 for student majoring in health science at a university in the C cit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1.0. Results: First, the e-health liter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grades (F=5.769, p=0.001), health interest (F=10.553, p<0.001) and health care time (F=3.841, p=0.023), and health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ubjective health condition (F=5.476, p=0.05), health interest (F=16.716, p<0.001), and health care time (F=28.479, p<0.001). Second, the e-health literacy were correlated with grades, health care time, economic level and health interest, and health behavior were related to health care time, e-health literacy,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health interest. Third, health behavior related factors were health care time, e-health literacy, grade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health interest. Conclusion: The related knowledge and skills should be applied to basic classes in order to ensure that health science majors care can accurately utilize the information on the e-health.
이처럼 건강관심도가 높은 사람은 인터넷 건강정보를 정확히 탐색하고 습득할 것이고, 건강행위 수준도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건학전공 대학생들의 e헬스리터러시와 건강행위의 수준을 분석하고, e-헬스 리터러시와 건강행위 간에 영향을 파악하여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증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 되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우리나라 국민의 인터넷 이용률 | 2017년 인터넷이용실태를 보면, 우리나라 국민의 인터넷 이용률은? |
2017년 인터넷이용실태를 보면, 우리나라 국민의 인터넷 이용률은 90.3%
2017년 인터넷이용실태를 보면, 우리나라 국민의 인터넷 이용률은 90.3%로 2008년 76.5%보다 13. |
e헬스 리터러시 | 대학생들의 전공이 보건 및 간호계열인 경우 e헬스 리터러시의 수준이 높은 이유는? |
전공과 관련되어 획득된 정보가 비보건계열보다 많기 때문으로 해석
스마트 정보통신기기의 발달과 일반화된 보급으로 누구나 손쉽게 인터넷 매체를 통한 정보의 접근과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였다. 이처럼 대학생들의 전공이 보건 및 간호계열인 경우 e헬스 리터러시의 수준이 높은 이유는 전공과 관련되어 획득된 정보가 비보건계열보다 많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또한, 국가적으로 인터넷 발달 정도에 따라서도 e헬스 리터러시의 수준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건강에 관한 정보 탐색과 예방적 건강행위 | 건강관심도가 높은 사람은 건강에 관한 정보 탐색과 예방적 건강행위에 긍정적 태도를 가지고 지역사회의 건강 이슈에도 활발히 참여하여 건강에 긍정적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나타난 것은? |
건강행위 수준이 높은 사람은 건강정보를 체계적으로 처리하는 반면, 그렇지 않은 사람은 휴리스틱으로 처리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건강관심도가 높은 사람은 건강에 관한 정보 탐색과 예방적 건강행위에 긍정적 태도를 가지고 지역사회의 건강 이슈에도 활발히 참여하여 건강에 긍정적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Basu & Dutta, 2008). 건강행위 수준이 높은 사람은 건강정보를 체계적으로 처리하는 반면, 그렇지 않은 사람은 휴리스틱으로 처리하는 경향이 있다(이윤재, 2013). 그러므로 e헬스 리터러시가 높을수록 건강행위 수준도 높고 그에 따른 주관적인 건상상태 또한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임우령, 2014).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