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학전공 대학생의 e헬스 리터러시가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Health literacy on Health Behavior in Health Science Majors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19 no.2, 2018년, pp.77 - 86  

이승민 (남서울대학교 멀티미디어학과) ,  남영희 (남서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identify of the level and effect of the e-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 in health science majors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5 to March 15, 2018 for student majoring in health science at a university in the C cit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처럼 건강관심도가 높은 사람은 인터넷 건강정보를 정확히 탐색하고 습득할 것이고, 건강행위 수준도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건학전공 대학생들의 e헬스리터러시와 건강행위의 수준을 분석하고, e-헬스 리터러시와 건강행위 간에 영향을 파악하여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증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7년 인터넷이용실태를 보면, 우리나라 국민의 인터넷 이용률은? 2017년 인터넷이용실태를 보면, 우리나라 국민의 인터넷 이용률은 90.3%로 2008년 76.5%보다 13.
대학생들의 전공이 보건 및 간호계열인 경우 e헬스 리터러시의 수준이 높은 이유는? 스마트 정보통신기기의 발달과 일반화된 보급으로 누구나 손쉽게 인터넷 매체를 통한 정보의 접근과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였다. 이처럼 대학생들의 전공이 보건 및 간호계열인 경우 e헬스 리터러시의 수준이 높은 이유는 전공과 관련되어 획득된 정보가 비보건계열보다 많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또한, 국가적으로 인터넷 발달 정도에 따라서도 e헬스 리터러시의 수준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건강관심도가 높은 사람은 건강에 관한 정보 탐색과 예방적 건강행위에 긍정적 태도를 가지고 지역사회의 건강 이슈에도 활발히 참여하여 건강에 긍정적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나타난 것은? 이는 건강관심도가 높은 사람은 건강에 관한 정보 탐색과 예방적 건강행위에 긍정적 태도를 가지고 지역사회의 건강 이슈에도 활발히 참여하여 건강에 긍정적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Basu & Dutta, 2008). 건강행위 수준이 높은 사람은 건강정보를 체계적으로 처리하는 반면, 그렇지 않은 사람은 휴리스틱으로 처리하는 경향이 있다(이윤재, 2013). 그러므로 e헬스 리터러시가 높을수록 건강행위 수준도 높고 그에 따른 주관적인 건상상태 또한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임우령,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한국인터넷진흥원, 2017 인터넷이용실태조사, 2018. 

  2. 김남진. 예비노인 집단과 노인집단의 건강관심도 및 건강행위 주관적인 건강상태와의 관련성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0;17(2):99-110. 

  3. 김정은, 김석화, 신윤주. 인터넷 건강정보가 의사 - 환자 계에 미치는 향에 한 의사들의 인지도 조사. 사이버커뮤니이션 학보 2007;21;279-301. 

  4. 류시원, 하유정. 인터넷 건강정보 이용실태 분석. 보건복지포럼, 2004;97:71-87. 

  5. 박정우, 김미영. 간호대생과 비보건계열 여대생의 e-헬스 리터러시와 자가간호역량 비교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2017;23(4):439-449. 

  6. 이병관, 변웅준, 임주리. 개인의 e-헬스 리터러시(e-Health Literacy)가 의사 - 환자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 커뮤니케이션학보 2010; 27(3):89-125. 

  7. 이성심, 손현정, 이동숙, 강현욱. e헬스리터러시 주관적 건강상태 및 인터넷에서의 건강정보 추구행위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2017;12(4):55-67. 

  8. 이윤재. 건강신념이 건강정보처리과정과 건강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9. 임우령. 개인별 헬스 리터러시가 온라인 의료정보에 대한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4. 

  10. 조문효. 중국 간호대학생의 e-헬스 리터러시와 건강행위 중앙대학교 대학원[서울]석사학위논문, 2017. 

  11. Baker, C., Wagenr, H., Singer, J., & Bundorf, K. Use of the internet and E-mail for health care inform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3;289(18):2400-2406. 

  12. Basu, A., & Dutta, M. J.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information seeking and community participation: the roles of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and efficacy. Health Communication 2008;23(1):70-79. 

  13. Benigeri, M. and Pluye, P. "Shortcomings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003;18(4):381-386. 

  14. Britt, R. K., & Hatten, K. N. Need for cognition and electronic health literacy and subsequent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among university undergraduate students. SAGE Open, 2013;3(1):1-10. 

  15. Dashti S, Peyman N, Tajfard M, Esmaeeli H. E-health literacy of medical and health sciences university students in Mashhad, Iran in 2016: a pilot study. Electronic physician 2017;9(3):3966-3973. 

  16. Dutta-Bergman, M. J. Developing a profile of consumer intention to seek out additional information beyond a doctor: The role of communicative and motivation variables. Health Communication, 2005;17(1):1-16. 

  17. Hsu, W., Chiang, C., & Yang, S. The effect of individual factors on health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e-Health literacy. J Med Internet Res 2014;1612):e287. doi: 10.2196/jmir.3542 

  18. Koch-Weser, S., Bradshaw, Y. S., Gualtieri, L., & Gallagher, S. S. The internet as a health information source: findings from the 2007 health information national trends survey and implications for health communicatio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2010;15(S3):279-293. 

  19. Norman, C. D., & Skinner, H. A. eHEALS: the e-health literacy scale.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006;8(4):e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