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욕기 첫 출산 부부를 위한 산후관리 행동기술 강화 프로그램 효과
Effects of a Reinforcement Program for Postpartum Care Behavioral Skills of Couples with Their First Bab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9 no.2, 2019년, pp.137 - 148  

박미라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  박경민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reinforcement program for behavioral skills in postpartum care for couples with their first baby. Methods: The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and pretest-posttest design. It was conducted from January 14 to April 10, 2016 at a po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산욕기 첫 출산 부부의 산후관리 행동기술 강화프로그램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연구이다(Figure 1).
  • 본 연구는 산욕기 첫 출산 부부의 산후관리 행동기술 강화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Fisher 등[9]의 IMB를 기초로 하여, 산후관리 행동기술을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결과, 첫 출산 부부의 신생아와의 애착형성과 부부친밀감이 높아지며,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이 되었다.
  • 본 연구는 산욕기 첫 출산 부부의 효과적인 산모간호[3,4]와 신생아양육[5,6]을 위해 Fisher 등[9]의 IMB model을 기초로 하여 산후관리 행동기술 강화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기존의 선행연구는 주로 정보제공 위주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으며, 산모간호[3,4]나 신생아양육의 한 측면에 관한 중재연구이었다[22].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산후관리 행동기술 강화프로그램은 산후관리에 대한 정보제공과 산후관리에 필요한 행동기술을 강화하였며, 산욕기에 중요한 간호요소인 산모간호와 신생아양육에 관한 내용을 함께 제공하였다. 그러나 본 프로그램은 산모의 교육요구가 가장 높았던 핵심적인 유방관리법, 좌욕법, 신생아 목욕법, 모유수유방법 등의 행동기술 강화에 중점을 두었고 중재기간의 제한 때문에 산욕기에 필요한 산후식이, 산후운동 등 다양한 관리 내용을 포함하지 않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욕기 첫 출산 부부의 산후관리 행동기술 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확인하는 것으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Fisher 등[9]은 정보-동기 행동기술 모델(Information-Motivation Behavior skill model; IMB 모델)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동기를 부여하여 행동기술을 강화하면, 행동이 변화하고 긍정적인 건강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하였다. 이에 효과적인 산모간호[3,4]와 신생아양육[5,6] 등의 산후관리 행동기술 강화를 위해, Fisher 등[9]의 IMB 모델을 기초로 한 산욕기 첫 출산 부부의 산후관리 행동기술 강화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연구진행을 위해 연구보조원은 각 산후조리원에 근무하는 근무자로 선정하여 교육 진행 보조와 대상자 모집, 프로그램 전 준비, 설문조사 등을 도움 받았다. 자료수집 전 연구보조원에게 설문지에 대한 내용을 이해시키고 설문지 작성 시 유의점에 대해 교육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욕기에는 남편이 산모를 돕는 것이 어떤 긍정적인 면이 있는가? 산욕기에는 남편 역시 가족부양부담 증가와 신생아양육을 함께 하는 지지자로서의 역할과 아버지로서의 역할변화를 경험하게 된다[1,2]. Na [8]는 남편이 부인을 돕고 육아에 참여하면 부인의 산후피로를 감소시키고, 부부관계를 향상시키며, 아기와의 애착형성에 도움이 되고, 한 사람에게만 과중된 양육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고 보고하여 남편의 산후관리 참여의 긍정적인 면을 강조하였다. 2015년 고용노동부의 자료에 따르면 남편의 육아휴직이 2010년 819명에서 2014년 3,421명으로 크게 증가하는 등 육아에 대한 남편의 관심과 육아참여가 증가하고 있다[7].
산후관리란 무엇인가? 이 시기의 관리는 임신·분만과 함께 모성간호의 중요한 요소이고, 여성의 평생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산후관리는 청결유지와 유방관리 등의 산모간호[3,4]와 신생아 목욕, 기저귀 갈기, 신생아 안기 등의 신생아양육을 도와주는 일련의 행동으로[5,6], 부적절한 산후관리는 임신전 상태로의 회복이 지연되고 신생아양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7] 부정적인 정서변화를 유발시킬 수 있다.
부적절한 산후관리가 미치는 영향은? 이 시기의 관리는 임신·분만과 함께 모성간호의 중요한 요소이고, 여성의 평생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산후관리는 청결유지와 유방관리 등의 산모간호[3,4]와 신생아 목욕, 기저귀 갈기, 신생아 안기 등의 신생아양육을 도와주는 일련의 행동으로[5,6], 부적절한 산후관리는 임신전 상태로의 회복이 지연되고 신생아양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7] 부정적인 정서변화를 유발시킬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aplan G, Mason EA, Kaplan DM. Four studies of crisis in parents of prematures. 1965.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2000;36(1):25-45. 

  2. Fahey JO, Shenassa E. Understanding and meeting the needs of women in the postpartum period: The perinatal maternal health promotion model. Journal of Midwifery & Women's Health. 2013;58(6):613-621. https://doi.org/10.1111/jmwh.12139 

  3. Menard MK, Kilpatrick S, Saade G, Hollier LM, Joseph Jr GF, Barfield W, et al. Levels of maternal care.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2015;212(3):259-271. https://doi.org/10.1016/j.ajog.2014.12.030 

  4. Chalmers B, Mangiaterra V, Porter R. WHO principles of perinatal care: The essential antenatal, perinatal, and postpartum care course. Birth. 2001;28(3):202-207. https://doi.org/10.1046/j.1523-536x.2001.00202.x 

  5. Sink KK. Seeking newborn information as a resource for maternal support. Journal of Perinatal Education. 2009;18(3):30-38. https://doi.org/10.1624/105812409X461207 

  6. Askelsdottir B, Lam-de Jonge W, Edman G, Wiklund I. Home care after early discharge: Impact on healthy mothers and newborns. Midwifery. 2013;29(8):927-934. https://doi.org/10.1016/j.midw.2012.11.001 

  7.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tatus of maternity and parental leave (2001-2015)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2015 [cited 2016 May 15].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04. 

  8. Na SE. The possibility of caring masculinities in the practice of fatherhood: Focusing on fathers in the middle class. The Korean Cultural Studies. 2015;28:173-212. 

  9. Fisher JD, Fisher WA, Amico KR, Harman JJ. An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of adherence to antiretroviral therapy. Health Psychology. 2006;25(4):462-473. https://doi.org/10.1037/0278-6133.25.4.462 

  10. Kim TK, Yoo EK. A correlational study on the level of importance & performance of postpartal care and its relationship with women's health status. Journal of Korean Women's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998;4(2):145-161. 

  11. Choi JS, Choi SE, Yeum AR, Yoon JY, Jeong HR, Seo NK, et al. A report on the Korea health panel survey of 2011 [Internet].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c2013 [cited 2016 Mar 9]. Available from: http://repository.kihasa.re.kr:8080/handle/201002/11320. 

  12. Kim JY. The degree of paternal attachment to neonate.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1995;25(2):330-340. https://doi.org/10.4040/jnas.1995.25.2.330 

  13. Barimani M, Vikstrom A. Successful early postpartum support linked to management, informational, and relational continuity. Midwifery. 2015;31(8):811-817. https://doi.org/10.1016/j.midw.2015.04.009 

  14. Jeong GH, Koh HJ, Kim KS, Kim SH, Kim JH, Park HS, et al. A survey on health management of during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ostpartum of immigrant women in a multi-cultural famil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9;15(4):261-269. https://doi.org/10.4069/kjwhn.2009.15.4.261 

  15. Pugh LC, Milligan R, Parks PL, Lenz ER, Kitzman H. Clinical approaches in the assessment of childbearing fatigue.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1999;28(1):74-80. 

  16. Song JE, Chang SB, Son YJ. The influencing factors on postpartum fatigue in parturien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7;19(4):670-681. 

  17. Abidin RR. Parenting stress index: Manual (PSI). 3rd ed.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1990. p. 53. 

  18. Kim MN, Choi SY. A comparative study of postpartum stress, postpartum depression, postpartum discomfort and postpartum activity, between women who used and those women did not used Sanhujori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3;17(2):184-195. https://doi.org/10.21896/jksmch.2013.17.2.184 

  19. Kim DH. Comparative study of parenting stress between mothers of normal neonate and low birth weight neonate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1998. p. 1-73. 

  20.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2):175-191. https://doi.org/10.3758/bf03193146 

  21.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p. 52 

  22. Park MK. Effects of postpartum care program for primiparous women and care-givers on the knowledge and behavior of postpartum care and postpartum recovery in primiparous women [dissertation]. Gwangju: Chonman National University; 2003. p. 1-112. 

  23. Muller ME. A questionnaire to measure mother-to-infant attachment.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994;2(2):129-141. https://doi.org/10.1891/1061-3749.2.2.129 

  24. Han KE. The relationship of maternal self-esteem and maternal sensitivity with mother-to-infant attachment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2. p. 1-75. 

  25. Park HR. Effects of postbirth integrated contact on father-infant attachment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8. p. 1-64. 

  26. Sternberg RJ. Construct validation of a triangular love scale.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997;27(3):313-335. https://doi.org/10.1002/(SICI)1099-0992(199705)27:3 3.0.CO;2-4 

  27. Kwon SM. Psychology of Human Relationships. 3rd ed. Seoul: Hakjisa; 2012. p. 258-268. 

  28. Rodrigues DP, Dodou HD, do Lago PN, Mesquita NS, de Melo LPT, de Sousa AAS. Care for both mother and child immediately after childbirth: A descriptive study. Online Brazilian Journal of Nursing. 2014;13(2):227-238. https://doi.org/10.5935/1676-4285.20144231 

  29. Joo EK. A study on the husband's level of importance of Sanhujori, Korean traditional postpartum care, needs of education, and family strength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4. p. 1-67. 

  30. Kim ME, Hur MH. Sleep quality, fatigue, and postpartum depression of mother at six months after deliver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20(4):266-276. https://doi.org/10.4069/kjwhn.2014.20.4.2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