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들깨 유전자원의 지방산 변이 및 rosmarinic acid와 caffeic acid의 함량에 따른 항산화 활성 비교
Variation in Fatty Acid Composition, Caffeic and Rosmarinic Ac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erilla Accessions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7 no.2, 2019년, pp.96 - 107  

김다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정이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전영아 (농촌진흥청 국제기술협력과) ,  이재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이명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이호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이주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성정숙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atty acid composition,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content of two major phenolic acids, caffeic and rosmarinic acids, of 45 Perilla accessions collected from Russia. Methods and Results: A total of 45 accessions of the genus Perilla were used i...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러시아 지역에서 수집한 들깨 자원을 대상으로 종자의 지방 조성과 들깻잎의 항산화 활성 평가를 하였으며 그 결과에 따라 유용 지방성분 또는 천연 항산화제로 이용가치가 높은 우수한 들깨 유전자원을 선발하여 기능성 천연물 관련 연구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의 특징? 최근 다양한 질병의 원인으로 알려진 활성산소 (reactive oxygen radical, ROS)는 쌍을 이루지 못한 전자에 의해 높은 반응성을 가지며 이는 산화적 스트레스의 직접적 원인이 된다. 활성산소는 체내 고분자들을 공격하여 세포와 조직에 손상을 일으키며, 돌연변이, 세포독성, 심혈관계 질환, 암, 동맥경화, 신경 전달물질에 영향을 미치는 등 인체 내 치명적인 문제를 주게 된다.
들깨 종실의 성분과 효능은 무엇인가? 들깨 종실은 예로부터 기름을 짜거나 가루로 만들어 식용으로 많이 이용되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기능성 식품으로 체내에서 생성하지 못하여 필수로 섭취해야하는 오메가-3 지방산이 많이 포함되어있어 들기름에 대한 주목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들깨 종실에는 α-linolenic acid가 높은 함량으로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체내에서 DHA와 EPA로 변하여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며, 항암 효과, 뇌의 기능을 촉진하는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천연 항산화제를 통해 활성산소를 제거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한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다양한 질병의 원인으로 알려진 활성산소 (reactive oxygen radical, ROS)는 쌍을 이루지 못한 전자에 의해 높은 반응성을 가지며 이는 산화적 스트레스의 직접적 원인이 된다. 활성산소는 체내 고분자들을 공격하여 세포와 조직에 손상을 일으키며, 돌연변이, 세포독성, 심혈관계 질환, 암, 동맥경화, 신경 전달물질에 영향을 미치는 등 인체 내 치명적인 문제를 주게 된다. 따라서 체내 활성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을 뿐 아니라 (Jennings and Barnett, 1988; Fridovich, 1989) 천연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U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sif M. (2012). Phytochemical study of polyphenols in Perilla Frutescens as an antioxidant. Avicenna Journal of Phytomedicine. 2:169-178. 

  2. Benzie IFF and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ytical Biochemistry. 239:70-76. 

  3. Cho MS. (2003). A study of intakes of vegetables in Korea. Korean Journal Food Culture. 18:601-612. 

  4. Choi HG, Tran PT, Lee JH, Min BS and Kim JA. (2018).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affeic acid derivatives isolated from the roots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41:64-70. 

  5. Fridovich I. (1989). Superoxide dismutase an adaption to paramagnetic ga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64:7761-7764. 

  6. Ganguly R, Hasanally D, Stamenkovic A, Maddaford TG, Chaudhary R, Pierce GN and Ravandi A. (2018). Alpha linolenic acid decreases apoptosis and oxidized phospholipids in cardiomyocytes during ischemia/reperfusion. Molecular and Cellular Biochemistry. 437:163-175. 

  7. Han HM, Kwon YS and Kim MJ. (2016).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water chestnut(Trapa japonica Flerow).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4:14-20. 

  8. Hong YP, Kim SY and Choi WY. (1986). Postharvest changes in quality and biochemical components of perilla leave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8:255-258. 

  9. Hyun KW, Kim JH, Song KJ, Lee JB, Jang JH, Kim YS and Lee JS. (2003). Physiological functionality in geumsan perilla leaves from greenhouse and field cultivation.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5:975-979. 

  10. Jennings PE and Barnett AH. (1988). New approaches to the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diabetic microangiopathy. Diabetic Medicine. 5:111-117. 

  11. Jeong HS, Jeong JT, Lee JH, Park CG, Choi JH, Jang GY, Kim JW, Chang JK, Kim DH and Lee SE. (2018).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Atractylodes interspecific hybrid cultivar roo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6:391-400. 

  12. Jo JH, Bae EY, Lee TK, Kim MH, Lee SW, Kim BS and Lim CH. (2016).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anguisorba officinalis L. in diabetic ra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4:152-158. 

  13. Lee AY, Choi JM, Lee MH, Lee JM, Lee S and Cho EJ. (2018). Protective effects of perilla oil and alpha linolenic acid on SH-SY5Y neuronal cell death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12:93-100. 

  14. Lee HS, Lee HA, Hong CO, Yang SY, Hong SY, Park SY, Lee HJ and Lee KW. (2009). Quantification of caffeic acid and rosmarinic acid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water extracts from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1:302-306. 

  15. Oh SI and Lee MS. (2003).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capacities in 7 common vegetables taken by Kore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2:1344-1350. 

  16. Park JH, Lee CO, Yoo JH, An NTL, Yoo NH and Kim MJ. (2018). Antioxidative and inhibitory activities of extract and juice powder from Hippophae rhamnoides L. against nitric oxide and elastase production.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6:119-126. 

  17. Piao XM, Jang EK, Chung JW, Lee GA, Lee HS, Sung JS, Jeon YA, Lee JR, Kim YG and Lee SY. (2013). Variation in antioxidant activity and polyphenol content in tomato stems and leaves. Plant Breeding and Biotechnology. 1:366-373. 

  18.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and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26:1231-1237. 

  19. Ryu HS and Kim HS. (2008). Studies on the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mixture of pine needles, Sedum sarmentosum bunge, hijkiaorme, buckwheat, and perilla leaves on the immune function activation.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1:269-274. 

  20. Seong ES, Kim SK, Lee JW, Choi SH, Yoo JH, Lim JD, Na JK and Yu CY. (2018).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byproducts of Abies holophylla extract.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6:134-140. 

  21. Shekarchi M, Hajimehdipoor H, Saeidnia S, Gohari AR and Hamedani MP. (2012). Comparative study of rosmarinic acid content in some plants of Labiatae family. Pharmacognosy Magazine. 8:37-41. 

  22. Sung JS, Jeong YJ, Kim DJ, Assefa AD, Jeon YA, Hur OS, Ro NY, Ko HC, Ok HC, Rhee JH, Lee MC and Baek HJ. (2018). Oi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afflower germplasm collected from east asi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6:32-41. 

  23. Um JN, Min JW, Joo KS and Kang HC. (2017). Antioxidant, anti-wrinkle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fermented mixture extracts of Angelica gigas, Paeonia lactiflora, Rehmannia chinensis and Cnidium officinale.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5:152-159. 

  24. Villalva M, Jaime L, Aguado E, Nieto JA, Reglero G and Santoyo S. (2018).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from the basolateral fraction of caco-2 cells exposed to a rosmarinic acid enriched extract.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66:1167-1174. 

  25. Waterhouse AL. (2002).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s. In current protocols in food analytical chemistry. I1.1.1-I1.1.7.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NY, USA. p.1-4. 

  26. Yamazaki M and Saito K. (2006).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hocyanin 5-O-glucosyltransferase in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by differential display. Differential Display Methods and Protocols. 317:255-266. 

  27. Yen GC and Chen HY. (1995).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tea extracts in relation to their antimutagenicity.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43:27-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