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가구 특성에 따른 김치 소비량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Kimchi Consumption according to Household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4 no.2, 2019년, pp.159 - 167  

박성훈 (세계김치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improve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kimchi culture in Korea. Many Koreans are now purchasing kimchi at markets, while the proportion of self-preparation is gradually decreasing. This commodification tendency of kimchi is considered to be...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논문은 우리 시대의 김치 문화를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초 정보를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오늘날 많은 한국인들이 시장에서 김치를 구입하고 있으며 자가 조제 비율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 오늘날 많은 한국인들이 시장에서 김치를 구입하고 있으며 자가 조제 비율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최근의 소비자 조사 자료로부터 김치 소비 행태의 특징적인 양상을 몇 장면 끌어내 보고, 그것을 상품화와 연접하여 발생하는 문화 변동의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한다.
  • 이 연구의 주제는 첫째, 가구원 1인당 김치 소비량(tcon)이 가구 특성 변수들과 어떠한 함수관계를 갖는가를 이해하는 것이다.
  • 소비자 가구에 대한 조사 자료로부터 얻은 통계량을 기초로 21세기 한국의 김치 문화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생산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김치 소비 행동으로부터 특징적 변화 양상을 도출하기 위해, 가구원 1인당 김치 소비량 및 최근 2년간 연속된 김장 활동이 가구 특성 변수들과 어떻게 관계하고 있는지 계량경제 모형을 통해 추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김치 소비량은? 국내 김치 소비량은 2018년 182만 톤으로 추정되며, 2010년 이래 연평균 1.3%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그 중 상품김치 소비량은 같은 기간에 54만 톤에서 69만톤으로 연평균 3.0%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김치 상품화율은 27%에서 38%로 크게 상승하였다[Table 1]
21세기 한국의 김치 문화에 큰 영향을 주는걸로 보이는 것은? 21세기 한국의 김치 문화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사회경제적 변화는 ‘김치의 상품화’라고 할 수 있다. 상품(commodity)은 일반적으로 ‘시장에서의 교환 대상이 되는 재화 goods that are subject to market exchange’ (Patico 2015)로 이해되고 있다.
김장 풍속의 해체 또는 주변화가 촉진될 것으로 전망으로 전망 되는데 어떤 전망을 예상하는가? 조사 자료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판단할 때, 앞으로 썬 배추김치의 비중이 높아지고 1인당 김치 소비량이 감소한다면, 김장 풍속의 해체 또는 주변화가 촉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김치 상품화가 진전되고 1~2인 가구 비율이 계속 상승한다면, 국내 김치 시장 규모는 국민 1인당 소비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당분간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치 상품화는 우리가 과거로부터 물려받은 김치 문화를 변형함과 동시에 스스로 그 추세를 더욱 가속화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ameron AC, Trivedi PK. 2010. Microeconometrics Using Stata: Revised Edition. Stata Press. College Station, TX, USA. pp. 82-83, pp. 460-461 

  2. Choi T, Lee T, Jang J. 1995. Analysis of Consumers' Preferences for Commodity Kimchi (시판김치에 대한 소비자기호 분석). Kor. J. Food Marketing Econ. 12(1): 183-191 

  3. Food Journal. 2019. 2019 Food Marketing Yearbook. Seoul, Korea 

  4. Ha A, Ju S. 2016. Nutrient Intakes and Frequently Consumed Foods among Korean Adults according to the Intake Frequency of Baechu (Chinese Cabbage) Kimchi: Based on the 2012-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49(2): 125-133 

  5. Han S, Lee M, Kim K. 2017. Cultural Anthropology, Revised edition 8. SNU Press. Seoul, Korea. p. 245 

  6. Juetten T. 2010. What is Reification? A Critique of Axel Honneth. Inquiry. 53(3): 235-56 

  7. Kim J. 2013. A Study on Kimchi Consumption Pattern and Consumer's Perception about the Functional Kimchi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Korean J. Food Culture. 28(5): 480-487 

  8. Kim J, Yoon H. 2012. A Survey on the Nationwide Customers' Usage of Kimchi Consumption. Korean J. Food & Nutr. 25(2): 299-307 

  9. Literary Themes. Commodification/Commercialization. Available from: https://literacle.com/, [accessed 2019.04.02.] 

  10. Long JS, Freese J. 2014. Regression Models for Categorical Dependent Variables Using Stata, Third Edition. Stata Press. College Station, TX, USA. p.148 

  11. Park S, Jung S, Jung H, Choi J. 2018. 2017 Trend of Kimchi Industry. World Institute of Kimchi. Gwangju, Korea. p. 10, p. 31 

  12. Patico J. Commodities. Oxford Bibliographies. 23 June 2015. Available from: http://www.oxfordbibliographies.com/, [accessed 2019.03.28.] 

  13. StataCorp. 2015. Stata Base Reference Manual: Release 14. Stata Press. College Station, TX, USA. p. 1266 

  14. Yoon S, Kim Y, Lee C. 1988. A Consumer Survey in Seoul Area on Marketed Kimchi Products. Korean J. Dietary Culture. 3(4): 369-37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