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수학에서 분수 나눗셈의 알고리즘 정당화하기
Justifying the Fraction Division Algorithm in Mathematics of the Elementary School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2 no.2, 2019년, pp.113 - 127  

박중규 (이리마한초등학교) ,  이광호 (한국교원대학교) ,  성창근 (영천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수 나눗셈의 정의를 확장하여 분수 나눗셈에 적용함으로써 초등학교 수학에서 분수 나눗셈의 알고리즘을 정당화하는데 있다. 먼저 초등학교 수학에서 분수 나눗셈을 도입할 때 고려해야 할 준거들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분수 나눗셈의 표준 알고리즘을 유도하는 기존의 방식들이 분수 나눗셈 도입 과정에 적절한지를 고찰하였다. 또한 분수 나눗셈을 정의하였으며, 단위원 분할 모델과 정사각형 분할 모델을 통하여 구체적 조작 활동을 함으로써 등분제와 포함제 상황의 분수 나눗셈에서 표준 알고리즘을 자연스럽게 정당화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justify the fraction division algorithm in elementary mathematics by applying the definition of natural number division to fraction division. First, we studied the contents which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eaching fraction division in elementary mathemati...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자연수 나눗셈의 등분제와 포함제의 의미를 재음미함으로써 이를 분수 나눗셈에도 일관되게 적용할 수 있는 정의로 확장하고, 이러한 정의가 분수 나눗셈에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알 수 있는 시각적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분수 나눗셈의 표준 알고리즘 정당화 과정을 제시한다.

가설 설정

  •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연수를 학습한 후에 분수를 배우며, 나눗셈 또한 자연수에서 먼저 도입한 후에 분수에서 도입하게 된다. 학생들이 자연수에서 뿐만 아니라 분수에서 이루어지는 나눗셈의 의미를 알고 나눗셈을 할 줄 알아야 한다면, 자연수에서 이루어지는 나눗셈의 의미 그대로가 분수로 연결될 때 분수의 나눗셈을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위원 분할 모델은 무엇을 정당화하고 있는가? 둘째, 분수 나눗셈에서 표준 알고리즘을 정당화하고, 제수의 역수를 곱하는 이유와 그 의미를 이해하는데 단위원 분할 모델과 정사각형 분할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단위원 분할 모델은 등분제 상황의 분수 나눗셈에서 제수의 한 단위의 크기를 구하는 과정을 알아보는 구체적 조작 활동을 통해 표준 알고리즘을 정당화할 수 있으며, 정사각형 분할 모델은 포함제 상황의 분수 나눗셈에서 정사각형을 분할하여 재배치하는 구체적 조작활동을 통해 표준 알고리즘을 정당화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체적 조작 활동 과정에서 제수의 역수를 곱하는 이유와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준다.
나눗셈은 어떤 과정인가? 나눗셈은 피제수를 제수로 똑같이 나눌 때, 피제수가 제수의 몇 배인지를 알아가는 과정이다. 실생활 상황을 통해 도입되는 나눗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단 나눗셈식으로 나타내게 되면, 1차 단위 비율법 또는 2차 단위 비율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수학과 교과서에서는 자연수 나눗셈에서 등분제와 포함제 상황 모두를 제시하고 있는 이유는? 자연수에서 이루어지는 나눗셈의 두 상황은 곱셈과 나눗셈의 관계에서 살펴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명이 사과를 3개씩 가지고 있다면 4명이 가지고 있는 사과는 모두 12개이다.’를 곱셈식으로 나타내면, ‘3×4=12’이다. 이 곱셈식은 “곱해지는 수를 구하는 나눗셈식” ‘12÷4=3’과 “곱하는 수를 구하는 나눗셈식” ‘12÷3=4’로 만들 수 있다(교육부, 2018a, p.203). 곱해지는 수를 구하는 나눗셈식 ‘12÷4=3’은 ‘사과 12개가 있습니다. 사과를 4명에게 똑같이 나누어 준다면 한 명이 몇 개씩 가지게 됩니까?’라는 등분제 상황의 나눗셈식이며, 곱하는 수를 구하는 나눗셈식 ‘12÷3=4’는 ‘사과 12개가 있습니다. 한 명에게 3개씩 나누어 준다면 몇 명에게 나누어 줄 수 있습니까?’라는 포함제 상황의 나눗셈식이다. 이처럼 곱셈과 나눗셈의 관계를 통해 나눗셈은 두 가지 상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ang, H. K. (2014). A study on a definition regarding the division and partition of frac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8(2), 319-339. 

  2. Ministry of Education. (2015a). Mathematics 5-2. Seoul: Chunjae Education Inc. 

  3. Ministry of Education. (2015b). Mathematics 6-1. Seoul: Chunjae Education Inc. 

  4. Ministry of Education. (2015c). Mathematics Teacher's Manual 5-1. Seoul: Chunjae Education Inc. 

  5. Ministry of Education. (2018a). Mathematics Teacher's Manual 3-1. Seoul: Chunjae Education Inc. 

  6. Ministry of Education. (2018b). Mathematics 3-1. Seoul: Chunjae Education Inc. 

  7. Kim, Y. S. (2015). Understanding of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fractions through revealing unitizing.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8. Park, K. S. (2014). An analysis processes of justifying the standard fraction division algorithms in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8(1), 105-122. 

  9. Park, M. G. (2002). Why $\frac{3}{4}\div\frac{2}{5}\frac{3}{4}{\time}\frac{5}{2}$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3, 39-54. 

  10. Shin, J. S. (2013). A proposal to the construction of textbook contents of fraction division connected to problem context. The Mathematical Education, 52(2), 217-230. 

  11. Yim, J. H. (2007). Division of fractions in the contexts of the inverse of a cartesian product. School Mathematics, 9(1), 13-28. 

  12. Yim, J. H. (2016). Quotitive division and invert and multiply algorithm for fraction division.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20(4), 521-539. 

  13. Yim, J. H., Kim, S. M., & Park, K. S. (2005). Different approaches of introducing the division algorithm of fractions: Comparison of mathematics textbooks of North Korea, South Korea, China, and Japan. School Mathematics, 7(2), 103-121. 

  14. Joen, P, G., & Park, H. K. (2003). (An) Analysis on connections with related knowledge for conceptual understanding about division of fractional number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5, 71-76. 

  15. Cho, Y. J., & Hong, G. J. (2013). Teaching fractional division: A basic research for practical application context of determination of a unit rate.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6(2), 93-106. 

  16. Baroody, A. J., & Coslick, R. T. (1998). Fostering children's mathematical power: An investigative approach to K-8 mathematics instruct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권성룡, 김남균, 김수환, 김용대, 남승인, 류성림, 방정숙, 신준식, 이대현, 이봉주, 조완영, 조정수 역(2005). 수학의 힘을 길러주자 : 왜? 어떻게?. 서울: 경문사. 

  17. Ma, L. (1999). Knowing and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Fundamental Mathematic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신현용, 승영조 역(2002). 초등학교 수학 이렇게 가르쳐라. 서울: 승산. 

  18. Siebert, I. (2002). Connecting informal thinking and algorithms: The case of division of fractions. In B. Litwiller & G. Bright (Eds.), Making sense of fractions, ratios, and proportions (pp. 247-256). Reston, VA: NCTM. 

  19. Sinicrope, R., Mick, H. W., & Kolb, J. R. (2002). Interpretations of fraction division. In B. Litwiller & G. Bright (Eds.), Making sense of fractions, ratios, and proportions (pp. 153-161). Reston, VA: NCTM. 

  20. Tirosh, D. (2000). Enhancing prospective teachers' knowledge of children's conceptions: The case of division of fraction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1(1), 5-25. 

  21. Van de Walle, J. A. (2004).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ing developmentally(5th Ed.). Boston: Pearson Education, Inc. 남승인, 서찬숙, 최진화, 강영란, 홍우주, 배혜진, 김수민 역(2008). 수학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서울: 경문사.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