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랭크 운동 동안에 머리와 다리 위치가 몸통근육과 위등세모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d and Leg Positions on Trunk and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ies during Plank Exercise 원문보기

PNF and movement, v.17 no.3, 2019년, pp.401 - 409  

김수한 (가야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박세연 (가야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uscular activity of abdominal muscles during a variety of plank exercises following changes in the leg and head positions. Methods: Thirty healthy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performed six variations of plank exercises, including three changes 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선 선행 논문들과 달리 머리위치와 다리위치 변화에 따른 근활성도를 확인할 뿐만 아니라, 다른 선행 논문들에서는 확인할 수 없었던 위등세모근의 근활성도를 추가하여 조사할 것이다.
  • 머리를 폄하거나 굽힘하는 동작이 간접적으로 척추세움근을 활성화에 추가적인 이점을 가질 수 있는지, 그리고 다리를 벌리는 동작이 복부근육의 활성화에 이점을 가질 수 있는지를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플랭크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머리위치와 다리위치에 따른 체간근육의 근활성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이 본 연구의 플랭크운동 시 머리위치에 따른 허리 굽힘 보상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연구원이 주시하여 대상자의 자세를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랭크운동의 효과는 무엇인가? 플랭크운동은 체간안정성의 척추정렬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기능적 활동에 대한 적절한 제어를 제공하며. 배속빗근(internal oblique), 배가로근(transvers abdominis), 배곧은근(rectus abdominis) 및 배바깥빗근(external oblique)을 포함하고 있다(Behm et al.
플랭크운동은 무엇인가? 플랭크운동은 엎드린 교각 자세로 아래팔과 양 발을 이용해서 몸을 지탱하는 동작이다(Snarr & Esco, 2014). 플랭크운동을 통한 코어근육의 강화는 허리 손상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운동수행능력을 증진 시킬 수가 있다(Duncan, 2009).
최근 코어 안정성운동이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코어근육은 척추, 골반, 엉덩이, 배근육들로 구성되어져 있다. 신체의 움직임을 안정시키는 작용을 통하여 신체균형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Kendall et al., 2005), 또한 현대인들의 잘못된 습관으로 인해 무너진 체간을 코어운동을 통해 요통 감소와 유연성, 근력 강화 등을 향상시켜준다(Choi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ehm DG, Leonard AM, Young WB, et al. Trunk muscle electromyographic activity with unstable and unilateral exercises.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005;19(1):193-201. 

  2. Cameron MH, Monroe LG. Physical rehabilitation. Evidence-based examination, evaluation, and intervention. Philadelphia. Saunders. 2007. 

  3. Choi SH, Lim JH, Cho HY, et al. The effects of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using swiss ball and core stabilization exercise on balance and gait in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12;7(1):49-58. 

  4. Cram JR, Kasman GS, Holtz J. Introduction to surface electromyography. Gaithersburg MD. Aspen. 1998. 

  5. Digiovine NM, Jobe FW, Pink M, et al. An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the upper extremity in pitching. Journal of Shoulder and Elbow Surgery. 1992;1(1):15-25. 

  6. Do YC. A comparison of different type of surface during plank exercise on transversus abdominis and internal obliques thickness using an ultrasound imaging. Inje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4. 

  7. Duncan M. Muscle activity of the upper and lower rectus abdominis during exercises performed on and off a swiss ball. Journal of Bodywork and Movement Therapies. 2009;13(4):364-7. 

  8. Hwang JH. Comparsion trunk muscle activation according to shoulder angle by plank exercis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4. 

  9. Imai A, Kaneoka K, Okubo Y, et al.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s on both a stable and unstable surface.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2010;40(6):369-75. 

  10. Kim SB, Khil JH. Effects of chiropractic treatment and low back rehabilitation exerciseons EMG, foot pressure and MVAS in low back pain patients. Health & Sports Medicine. 2009;11(1):53-64. 

  11. Kendall FP, McCreary EK, Provance PG, et al.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5th Ed. Baltimore. Lippincottwilliams and Wilins. 2005. 

  12. Kim SY, Kang MH, Kim ER, et al. Comparison of EMG activity on abdominal muscles during plank exercise with unilateral and bilateral additional isometric hip adduction.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2016;30(1):9-14. 

  13. Kook YJ, Kim CW, Lim JH, et al. Effects of trunk muscle strength exercise and deep abdominal muscle stabilization exercise on oswewtry disability, abdominal muscle strength, and deep muscle activity.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Movement Science 2013;52(2):471-481. 

  14. Lee JS, So YS, Kim MJ, et al. Effects of th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scoliosis, local muscle area, VAS and muscle function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Exercise Science. 2011; 20(1):61-70. 

  15. Lee J, Jeong KH, Lee HN, et al. Comparison of three different surface plank exercises on core muscle activity. Physical Therapy Rehabiliation Science. 2016;5(1):29-33. 

  16. Lee GW, Yoon TL, Kim KS, et al. EMG Activity of abdominal muscles during lumbopelvic stabilization exercises. Physical Therapy Korea. 2014;21(2):1-7. 

  17. Lee SC, Lee DT. Effects of exercise therapy on lower back pain patients. Health & Sports Medicine. 2007;9(2):69-78. 

  18. Neumann DA.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foundation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St Louis. Mosby. 2002. 

  19. Park MC. The effects of hip abduction angles on abdominal muscle activity during leg rais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12;7(2):165-171. 

  20. Park SY, Yoo WG, Kim MH, et al. Differences in EMG activity during exercises targeting the scapulothoracic region: a preliminary study. Manual Therapy. 2013;18(6):512-518. 

  21. Sahrmann SA. Diagnosis and treatment of movement impairment syndromes. Maryland Heights. Mosby. 2002. 

  22. Snarr RL, Esco MR. Electromyographical comparison of plank variations performed with and without instability devices.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014;28(11):3298-3305. 

  23. Stevens VK, Coorevits PL, Bouche KG, et al. The influence of specific training on trunk muscle recruitment patterns in healthy subjects during stabilization exercises. Manual Therapy. 2007;12(3):271-279. 

  24. Tampier C, Drake JD, Callaghan JP, et al. Progressive disc herniation: an investigation of the mechanism using radiologic, histochemical, and microscopic dissection techniques on a porcine model. Spine (Phila Pa 1976). 2007;32(25):2869-2874. 

  25. Yoon KS, Park SD. The effects of ankle mobilization and active stretching on the difference of weight-bearing distribution, low back pain and flexibility in pronated-foots subjects. Journal of Exercise Rehabilitation. 2013;9(2):292-2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