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덕궁 후원의 현판(懸板)과 주련(柱聯)을 중심으로 한 중국인 관람객의 경관인식 연구
A Study on the Landscape Perception of the Chinese Visitors Through the Boards and Couplets of Changdeokgung Palace's Rear Garden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7 no.1, 2019년, pp.23 - 32  

장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과) ,  양유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과) ,  손용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창덕궁 후원의 경관요소로서 현판과 주련을 인문학적으로 해석한 연구가 많았으나 중국인 관람객의 경관인식을 실증 연구한 사례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실증연구를 통해 중국인 관람객들이 창덕궁 후원에 있는 현판과 주련을 얼마만큼 주목을 하는가, 주목을 한다면, 얼마만큼 이해하는가, 현판과 주련이 얼마나 도움이 되는가, 그리고 부용지와 옥류천 권역에서 경관인식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중국인 관람객의 97.5%가 창덕궁 후원의 현판을 읽었으며, 이는 대부분의 중국인 관람객이 한자 기호에 대해 익숙하기 때문에 현판과 주련에 대한 인식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현판과 주련에 대한 이해도'가 유의한 값(0.00 < 0.05)으로 나타났으며 평균값이 3.39 > 2.97로 현판이 주련보다는 이해도가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전체 경관을 해석에 있어서 현판과 주련에 대한 도움'이 유의한 값(0.00 < 0.05)으로 나타났고 평균값이 3.85 > 3.37로 현판은 주련에 비해 더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부용지와 옥류천 권역의 현판과 주련에 대한 인지도 차이를 검정한 결과 부용지 권역의 부용정, 옥류천 권역의 소요정 현판은 주변 경관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제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관람객들이(4인) 공통적으로 제시한 것은 현판과 주련에 대한 이해도는 자신의 교육 배경, 직장, 경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응답했다. 그 외에 응답자는 경관 감상할 때 있어서 해설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aking the boards and couplets of Changdeokgung Palace's Rear Garden as the research object, 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the humanistic interpretation of landscape elements, but there is no empirical study on Chinese visitors' landscape percep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이 통계를 활용하여 창덕궁 후원의 현판과 주련을 중심으로 중국 관람객의 경관인식을 정량화시킨 것으로 이 점이 본 연구의 큰 의의라고 한다. 중국인 관람객들은 현판과 주련을 얼마만큼 주목을 하는가, 주목을 한다면, 얼마만큼 이해하는가 그리고 전체 경관을 해석에 있어서, 현판과 주련이 얼마나 도움이 되는가 알아보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창덕궁 후원의 현판과 주련을 통한 중국인 관람객의 경관인식에 관한 고찰이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현판 해석, 이용행태, 주련 시에 담겨 있는 경관요소를 파악하였다[14][15]. 다음으로 창덕궁 후원 관람객을 대상으로 실증조사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이에 개별적인 차원에서 특성이 드러날 것이라 생각하여 소수의 인원이지만 출신과 배경이 다른 4명을 추가적으로 인터뷰했다. 이를 통해 설문조사에서 파악되지 못했던 내용을 대략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실제 인터뷰를 통하여 살펴본 결과, 관람객들은 모두 현판과 주련에 대한 이해도는 자신의 관심, 교육 배경, 경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응답했다.
  • 이에 현판을 통한 경관인식은 개별적인 차원에서 특성이 드러날 것이라 판단되어 소수의 인원이지만 출신과 배경이 다른 4명을 추가적으로 인터뷰했다. 이를 통해서 중국인 관람객이 현판을 통한 경관인식 설문조사에서 파악되지 못했던 내용을 대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인터뷰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외 관람객들이 고궁을 선호하는 이유는? 7%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서울 중 고궁은 제3위로 상대적으로 높은 방문 비율을 보인다 [1]. 국내외 관람객들이 고궁을 선호하는 이유는 600년 고도 (古都)로서의 한국 전통문화와 정원을 방문하려는 목적이 크 다. 특히 창덕궁 후원은 한국의 역사, 전통문화, 한국인의 자연 관을 느낄 수 있는 전통공간으로서 조선 왕조의 대표적인 궁궐 정원이다[2].
현판(懸板)은 무엇인가? 같은 한자 문화권인 일본에 비해 한국과 중국의 전통정원 건물에는 한자가 있는 경우가 많다. 정원 각 건물 위에는 고 유의 명칭이 있으며 그 명칭을 써놓은 판을 ‘현판(懸板)’이라 고 하고, 기둥에는 한시(漢詩)의 문구가 새겨져 있으며 이 한 시를 대구가 되는 글귀로 써 붙였다 하여 ‘주련(柱聯)’이라고 한다. 현판과 주련은 그 건물의 용도와 성격에 맞추어 지은 것이 대부분이고 정원 경관을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이 다.
창덕궁 후원의 현판과 주련을 통한 중국인 관람객 의 경관인식 연구 결과 이해도의 결과는? 둘째, ‘현판과 주련에 대한 이해도’와 ‘전체 경관 해석에 있어 서 현판과 주련의 도움’의 유의확률(양쪽)이 모두 0.00 < 0.05 로 유의한 값이 나타났으며 ‘현판과 주련에 대한 이해도’의 평 균값이 3.39 > 2.97로 현판은 주련보다는 이해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전체 경관을 해석하는 데 있어 서 현판과 주련의 도움’의 평균값이 3.85 > 3.37로 현판은 주련 에 비해 더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ttps://www.tour.go.kr 

  2. https://www.cdg.go.kr 

  3. Kim, H. W., Kim, Y. K. and Choi, J, H.(2000). A Study on the Function of space in Palace by analyzing King's activity written in history of Cho-Sun Dynas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8(3): 41-50. 

  4. Kim, H. J. and Sim, W. K. (2007). Analysis of the Status of Pla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lanting on the Donggweol-do.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5(2): 141-154. 

  5. Jung, W. J., Oh, L. C. and Sim, W. K.(2013). Study on the Prototype of the Rear Garden in Changdeok Palace through Gang Sehwang's Record of Strolling with King in the Forbidden Garde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1): 87-97. 

  6. Lee, S. H. (2000). An Interpretation of Landscape of Changdok Palace Rear Garden - Focused on the king Jongjo's "Sangrimshipkyong" Poem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8(1): 92-108. 

  7. Son, Y. H. and Han, G. M.(2011). A Study on Yijing and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sis of Poems in Changdeokgung's Rear Garde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3): 124-133. 

  8. Kang, M. S. (2005). Landscape Interpretation Plan for Changdeok Palace, Seoul, Korea, Based on the Ten Sceneries of 'Sangrimshipkyong' Poem - With the Application of 'Narrative' -. Master Thesi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9. Zhang, L. (2016). Interpretation of the Landscape Based on Building's Hanging Boards and Couplets of Changdeokgung Palace's Rear Garden. Master Thesis of University of Seoul. 

  10. Joo, S. H. and Kim, G. I. (2012).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Landscape Cognition in Yong-In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5): 88-99. 

  11. Lee, N. R., Lee, J. Y. and Lim, S. B.(2013). Differences in the Cognition about Korean Traditional Factors between Korean and Foreigners - A Special Emphasis on the District of Insa-dong. Journal of Korea Landscape Council. 5(1): 47-58. 

  12. Min, S. H., Jang, H. J., Jeong, Y. H. and Song, J. E.(2018). Mountainous Landscape Management Value by Landscape Recogni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6(3): 70-78. 

  13. Lee, S. H. and Son, Y. H. (2018). Identifying Landscape Perceptions of Visitors' to the Taean Coast National Park Using Social Media Data - Focused on Kkotji Beach, Sinduri Coastal Sand Dune, and Manlipo Beach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6(5): 10-21. 

  14.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6). The understanding of palace couplets. Yonsei University. 

  15.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7). The boards and couplets of the palace(2). Sulyusanbang. Seoul. 

  16. Song, J. J. (2015). SPSS/AMOS Statistical Analysis Method. Paju: 21st century history. 

  17. Lee, H. S. and Lim, J. H. (2012). SPSS 20,0 Manual, Seoul: Jibhyeonjae. 

  18. www.ngii.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