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심 옛 마을 내 빈집활용의 방향성 도출에 관한 연구 - 청주시 안덕벌 일원을 중심으로 -
Reuse of Vacant Houses in the Old Settlements of Urban Area - Focused on the Andeokbeol in Cheongju City, Korea - 원문보기

韓國農村建築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v.21 no.1, 2019년, pp.17 - 24  

조상민 (청주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김태영 (청주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reuse of vacant houses in the old settlement of urban area, focused on the Andeokbeol in Cheongju city, Korea.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ly, the maintenance and reuse methods of vacant houses are made for a number of house type as well as a variety of l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청주 도심의 옛 마을인 안덕벌 일원의 빈집을 대상으로 하여, 현황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활용을 모색하고자 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의 결과와 과제를 도출해낼수 있었다.
  • 본 연구의 전개에 앞서서, 그동안 정부와 지자체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빈집정비 정책 및 추진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고, 국내와 일본을 대상으로 빈집정비 및 활용사례에 대하여 검토한다.
  • 안덕벌 일원에 거주하는 주민, 빈집 소유주, 전문가 및 문화 예술인을 대상으로, 빈집 활용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 하고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기간은 2018년 11월 13일∼2012년 12월 12일이고, 조사대상은 주민 23인, 전문가 13인, 일반인 53인 총 89인이며, 조사방법은 설문지, 인터뷰 및 E-mail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지방도시 청주시를 대상으로, 빈집의 증가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는 도심 소재 옛 마을의 하나인 ‘안덕벌’을 대상으로 하여 빈집의 현황 실태를 파악하고, 빈집정비 정책 및 국내외사례와의 비교를 통하여 빈집활용을 위한 방안 및 과제를 도출해내고자 한다.
  • 그리고 안덕벌 일원의 거주현황, 각종 문화공간의 문화적 재생현황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서, 43개 동의 빈집을 대상으로 현황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특징을 도출하고서, 주민・소유주・전문가 및 문화예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행한다. 현황조사는 가능한 인터뷰를 시행하면서, 사진 촬영과 함께 추후의 활용 방안에 초점을 두고서 진행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 법에 따른 빈집의 특징은 무엇인가? 2012년 8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으로 가로주택정비사업 도입이 되었고, 2016년 ‘건축법’ 개정을 통해 빈집 직권 철거의 근거가 마련되었다. 동 법에 따른 빈집은 ‘농어촌정비법’에서 규정하는 빈집을 제외하여 도시지역으로 영역을 한정하고 있으나, 빈집정비에 대한 절차는 ‘농어촌정비법’의 규정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도심공동화에 따른 도심쇠퇴의 원인은 무엇인가? 도심공동화에 따른 도심쇠퇴는 곧 바로 공실과 공가의 증가 현상으로 나타나면서, 도심의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도심보다는 농어촌 내에서 이미 발생하여 왔던 문제로, 도시화 과정뿐만 아니라 재건축과 재개발에 의한 아파트의 대량 보급이 원인이라 할 수 있다.
도시재생사업에서의 빈집정비 관련 사업은 무엇이 있는가? 도시재생사업에서의 빈집정비 관련 사업으로는 도시재생 선도지역사업, 도시활력 증진지역개발사업, 그리고 새뜰마을 사업을 들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권영상, 빈집활용의 세 가지 유형과 사례, 도시문제, 52(581), 2017 

  2. 권혁삼, 빈집정비활용 정책 현황 및 제도개선 방향, 주거복지포럼, 2016 

  3. 남해경, 고도보존지구의 빈집 변화추이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전라북도 금마고도보존지구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9(2), 2017 

  4. 박헌춘.박재엽.유타로 고토(後藤 隆太郞), 일본의 빈집대책 정책방향 조사 연구 -사가현(佐賀縣) 사가시(佐賀市) 및 아리타죠(有田町)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9(2), 2017 

  5. 양소영.문정민, 장소적 측면의 지역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빈집 활용 연구-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8(5), 2017 

  6. 인천발전연구원, 빈집정보시스템을 통한 빈집 활용정책방안 연구, 2018 

  7. 임준홍.최용준, 일본의 빈집정비 사례와 시사점, 열린충남, 73, 2015 

  8. 임준홍 외, 충남 빈집 실태와 도시재생과의 연계방안, 충남연구원, 2016 

  9. 전영미.김세훈, 구시가지 빈집 발생의 원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 17(1), 2016 

  10. 청주시, 안덕벌 일원 빈집을 활용한 문화공간 컨설팅 연구보고서,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